View : 12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진영-
dc.contributor.author최나영-
dc.creator최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092-
dc.description.abstract학교에서의 음악이 학습자가 실제 삶에서 경험하는 음악 활동과 거리를 두면서 학습 동기를 부여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이는 음악과 교육과정이 학습자로 하여금 연주 기술을 습득하게 하거나 음악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음악 지식을 배워 악보를 읽고 노래를 부르며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보다 중요한 것을 간과하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음악적 경험, 활동을 통해 음악의 의미가 학습자 자신은 물론 학습자 주변의 삶과 사회·문화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기능과 지식 습득 위주의 기계적으로 학습했던 전통적인 접근을 넘어 음악을 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사회·문화에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이와 같은 자성과 개혁의 목소리는 이해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해란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에 대해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 이것을 새로운 상황에서 유연하고 유창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습자는 이러한 이해를 학교에서의 학습은 물론 학교 밖 더 나아가 학업을 마친 이후에도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갖고 있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해는 교과가 기반하고 있는 학문에 근거한다. 학습자는 교과가 기반하는 학문의 구조에서 하위 단계에 있는 사실적인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보다는 이러한 사실과 기능들을 포괄하는 상위 단계의 원리 및 일반화를 중심으로 한 앎의 방식을 통해 이해에 이를 수 있다. 이미 해외의 국가 수준 및 주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이해를 교육과정에 함께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그 동안의 교육과정에서 과도하게 치중했던 것과 소홀했던 것을 반성하고 음악을 한다는 것의 개인적, 사회·문화적 의미를 함께 이해하고 학습자 주변의 사회·문화에 연결시키는 방향, 즉 이해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으로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음악교과의 이해 진술문을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최종 선정된 이해 진술문을 가지고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을 교사에게 제공할 때에 교사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의 사례 연구를 토대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사수준에서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음악교과의 이해 진술문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어떠한가? 둘째,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재구성과 비교할 때 교사별로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재구성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어떠한가? 셋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재구성(교육과정 사용, 수업 계획, 수업 이후의 변화)에 있어서 교사 간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먼저, 델파이 사전 조사를 거쳐 문헌연구 및 국내외 교육과정 분석에 따른 음악교과의 이해 진술문에 대한 전문가 6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델파이 조사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2회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음악 분야와 교육과정 분야의 전문가 및 초·중등 교사로 구성된 26~27명의 전문가 패널이 참여하였다. 다음으로,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에 대하여 네 명의 초등교사 사례를 연구하였다. 현행 및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라 재구성을 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사용, 수업 계획, 수업 이후 교사의 변화에 대하여 교사별 및 교사 간에 따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델파이 조사에서는 이메일을 사용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델파이 조사 연구의 경우, 평균, 내용타당도(CVR), 합의도 수렴도의 판단 준거에 따라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는 교사와의 면담, 수업 계획안, 수업일지를 수집하여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NVivo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을 하였다. 위의 연구 방법에 따라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를 선정하기 위한 델파이 조사 결과,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감상, 생활화의 세 영역을 확장·수정하여 표현, 반응, 연결의 세 영역에서 각각 8개, 6개, 7개의 이해 진술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했을 때 각각의 교사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나타난 특징으로, 김 교사의 경우에는 교과의 구조를 그리며 음악을 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사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교육과정을 사용하면서 음악과 사회·문화를 연결하는 것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학습자를 경험했고, 이에 따라 교사로서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재고하게 되었다. 이 교사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을 사용하면서 음악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는 학습 기회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나,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 계획이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 계획보다 교과의 구조를 고려하는 측면에서 더 활발하게 재구성되었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는 활동에 신경을 쏟은 나머지 정작 자신이 가르치고 싶어 했던 음악에 대해 철학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면서 깊이 있는 이해로 학습자를 이끌지 못했다. 정 교사의 경우에는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서는 이전과는 달리 맹목적인 지도서 수용에서 벗어나 재구성을 했고,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과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사이에서 갈등을 보였다. 채 교사의 경우에는 능동적으로 교육과정을 사용하였고, 음악에 대한 생각과 경험을 나누는 활동도 음악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의 지평을 넓혔다. 그러나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이 일반적인 교사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점을 우려하였다. 셋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교사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사용에 있어서는 교사가 보다 심층적으로 교육과정을 읽고, 학습 활동의 이유를 인식하며, 학습자가 기능만을 습득하기보다는 깊이 있게 이해하기를 기대하고, 교사 학습의 양상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계획에서의 변화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목표를 적극적으로 재구성하였고, 이해 진술문 및 핵심 아이디어와 학습 활동을 연계시키는 정도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에 있어서는 현행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가 없었다.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 이후 교사가 경험한 변화로는 음악교육의 범위를 폭 넓게 인식하게 되었고, 학습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함으로써 학습자 중심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교사 반성의 내용과 수준이 변화했다는 점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논의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가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교사가 기능·지식 위주의 학습, 작품 중심의 음악 수업을 넘어 음악의 사회·문화적 측면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방향, 음악을 하는 과정이 회복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 학습의 모습으로 미루어, 교과에 대한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으로서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의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던 구체적인 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보다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재구성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 원인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기존의 교육과정과 새로운 교육과정 사이에서 겪는 교사의 갈등을 최소화시키는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과 간의 통합이 반드시 높은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을 평가하는 기준을 재고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 간 통합의 과정적 측면도 결과와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이해의 모습이 성취기준으로 어떻게 나타날 수 있고 학년별로 어떻게 심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들에서 어떠한 요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연구 기간 및 연구 대상을 다각화하여 보완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음악의 전반적인 영역에 걸친 이해를 교사가 어떻게 사용해서 재구성하는지 또 그 변화와 지속은 어떠한지, 실제로 학습자들이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이해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and validate enduring understandings of music curriculum. Additional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manner of curriculum use, lesson plans, and experience on instructional change in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in comparison to these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this study, enduring understandings in music curriculum focused on realizing the meaning of music and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music beyond mere knowledge acquisition and the traditional skills-centered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When teachers are provided with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their methods of reconstructing curriculum can change. The procedur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lphi method was used in order to extract enduring understandings of music curriculum. Before the Delphi survey, 6 experts in music education, music, and curriculum validated contents of the first round Delphi. Then, to validate these enduring understandings in music curriculum, a two round-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with 26~27 professional panelists of music educators, musicologists, instrumentalists, vocalists, composers, conductors, curriculum specialists,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he Delphi survey was analyzed with mean, content validity ratio, the degree of consensus, 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Second,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eachers’ manner of curriculum use, lesson plans, and experience on instructional change, compared to the reconstruct of the current curriculum. Four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case study. According to the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interview transcriptions, lesson plans and teachers’ logs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se qualitative data, NVivo 10, a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re-Delphi and two round-Delphi surveys, 8 enduring understandings in expression area, 6 enduring understandings in responding area, and 7 enduring understandings in connecting area were validated. The classification of the sub area of music curriculum and each meaning of these three areas were more expansive than those of the current national music curriculum. Second, the following features could be found from the within-case analysis. For the teacher Kim, she considered the structure of the subject,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usic, and reflected teacher’s roles. For the teacher Lee,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hilosophical approach in the subject, but reconstructed the current curriculum better than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Also, he did not lead his students to deep understanding because he focused on class activity. For the teacher Jeong, she actively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compared to just following every instruction from the teacher’s edition previously, and recognized how significant students do their own music. However, she was hesitant to accept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and confused between two curricula. For the teacher Chae, she actively used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and expanded her horizon of music. However, she criticized the curriculum on the grounds that it was difficult for regular teachers to read. Third, the following features could be found from the cross-case analysis. When elementary teachers used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they read the curriculum in depth,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acher’s edition, and expected their students to understand in depth rather than merely gain performance skills. Additionally, the teachers’ curriculum use had an effect on teacher learning. When teachers planned instructions with the curriculum, they actively reconstructed instructional objects, and their methods of planning could be categorized by the degree of coherence between learning activities and the big ideas that they chose. However, their ways of planning assessments were not changed, and some teachers appeared confused. After the instructions with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teachers broadened their views on music education and did not limit themselves to traditionally increasing knowledge and the usual skill-centered learning. They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by observing students’ constructive changes. Also, contents and the level of teachers’ reflection were enhanc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can be suggested. First, music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leads music education towards recognizing and practicing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usic and recovering the meaning of music beyond the customary knowledge and skill-oriented music learning. Second, music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is a significant help in supporting teacher learning on the subject. Third, there should be additional focus on when and why the teacher recogniz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 in the curriculum. Fourth, the level of instructional content in textbooks and the presentation form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must be changed. Fifth, the support necessary to resolve teachers’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new curricula is required. Sixth, the existing criteria to evaluate teachers’ reconstructing curriculum must be reconsidered in that curriculum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does not guarantee a high level of reconstructing curriculum. Seventh,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examine when, why, and how teachers have difficulty in using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and consider optional curricular documents or appropriat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Eighth, to develop the national level music curriculum, the following studies are needed: a study to determine how benchmarks correspond to enduring understandings, and how they can develop by the school level or grades. Ninth, a study on student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under the curriculum for enduring understandings is needed. This can be done by including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9 A. 음악과 교육과정의 동향 9 1. 음악과 교육과정의 제 문제 9 2. 음악과 교육과정의 방향 15 B. 교육과정에서의 이해와 이해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 25 1.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25 2. 이해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 34 C.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45 1.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관점 45 2. 국가 교육과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51 Ⅲ. 연구 방법 59 A. 델파이 조사 59 1. 전문가 구성 59 2. 연구 절차 61 3. 연구 도구 64 4. 자료의 수집 및 분석 66 B. 사례 연구 69 1. 연구 참여자 69 2. 연구 절차 73 3. 자료의 수집 및 분석 75 Ⅳ. 연구 결과 81 A. 음악교과의 이해 진술문 선정 81 1. 델파이 사전 조사 결과 81 2. 1차 델파이 결과 94 3. 2차 델파이 결과 99 4. 음악교과의 이해 진술문 확정 102 B. 교사별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징 105 1. 김 교사 105 2. 이 교사 115 3. 정 교사 123 4. 채 교사 131 C.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에 따른 재구성의 교사 간 공통점과 차이점 140 1. 교육과정 사용 140 2. 수업 계획 155 3. 수업 이후 교사의 변화 174 Ⅴ. 요약 및 결론 191 A. 요약 및 논의 191 B. 결론 및 제언 200 참고문헌 206 부록 218 Abstract 2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714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이해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constructing National Music Curriculum towards Enduring Understandings : The Case of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dc.creator.othernameChoi, Na Young-
dc.format.pagex, 281 p.-
dc.contributor.examiner이성은-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김성혜-
dc.contributor.examiner이경진-
dc.contributor.examiner최진영-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