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9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906-
dc.description.abstractEBS 교재는 공식적인 교과서는 아닐지라도, 모든 교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읽기 자료’이자 보조 학습 자료로서 기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시라는 목표에 맞추어 어느 때보다도 능동적이고 수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학교 수업에서 사용되는 읽기 자료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중 사회탐구 교과에서 가장 선택자 수가 많아 사회탐구영역의 대표성을 띄는 <사회・문화> 과목을 선택하였고, <사회・문화> 과목의 여섯 단원 중 가장 <사회・문화> 교과의 정체성과 목적을 모두 함축하고 있다고 판단한 대단원 Ⅳ단원인 사회 불평등을 다루는 단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능시험의 사회탐구 영역과 연계되는 EBS 수능연계 교재로는 1년에 한 번씩 발행되는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2책이 있으며, 공통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3년~2014년에 발행된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총 4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수능연계 <사회・문화>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잘 따르고 있었으나, 교재 구성 중 일부분에서는 일부 개념에 해당하는 서술이나 문항이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 불평등에 관한 이론적 관점을 다루는 문항일 경우 갈등론적 관점 보다는 기능론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된 반면, 여러 사회 불평등의 사례를 다루는 문항에서는 주로 갈등론적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수능 연계교재 문항을 자료와 답지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자료와 답지가 모두 추상적인 형태와 자료와 답지 모두 구체적인 형태를 묻는 문항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EBS 수능연계 교재가 사회과 교재로서 적합한지의 여부를 총체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EBS 수능연계 <사회・문화> 교재는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의 흐름 및 필수적으로 담아야 할 내용 요소는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특정 관점에 편중되어 사회 불평등 문제를 다루는 문항이 다소 분포되어 있다는 점, 인지적 능력은 향상시킬지라도 사회과에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정의적 목표를 다루기에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교재가 아니므로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참고서가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편적이고 기계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고력의 신장이나 정의적인 측면을 기르는데 활용되기에는 다소 어려울 것이라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EBS 수능연계 <사회・문화> 교재에서 나타난 사회 불평등 현상 단원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수능연계 <사회・문화> 교재가 교육 현장에서 보다 적합한 읽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려면 사회 현상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균형적인 관점에서 서술한 문항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EBS 수능연계 교재의 문항은 자료와 답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해야 한다. EBS 교재가 다양한 문항 자료를 개발하고 답지를 고심한 교재가 되기 위해서는 교재 개발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적・물적 지원이 요구될 것이다. 셋째, 입시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교재로 개발되어야 한다. EBS 수능연계 교재가 다양한 자료와 활동을 품어야 수능 문항의 질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가능하다. 본 연구는 EBS 수능연계 교재의 사회적 중요성에 기반하여 <사회・문화> 교과의 특정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나, 추후 이 밖의 단원 및 기타 사회탐구 영역의 교재에 대한 분석 및 비판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읽기 자료로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EBS 수능연계 교재의 질적 향상을 꽤할 수 있을 것이다.;Though not official course books, EBS published textbooks serve as 'reading materials' which can be commonly used in all the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as aid learning materials. Thus, this study sought to review the suitability of reading materials which are used in classrooms at a time when both active learning occurs more frequently than ever with succes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in mind. This study chose the subject of society & culture as study object because it is chosen by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thereby representing the social studies subjects, and it analyzed the fourth unit of the subject which deals with social inequality because it was deemed to cover both identity and objective of the subject of society &culture more faithfully than any other 5 units in the subject.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s of social studies include ‘SAT Special lecture’ and ‘SAT Completion’ which are published annually, an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 books as analysis objects and analyzed the textbooks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14 when common curricula were implemented. First, it was found regarding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 of Society & culture that while it faithfully follow the system of curricula of social studies, some portions of its text structure leaned too much towards descriptions and questions concerning some specific concepts. Second, it was found that questions regarding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ocial inequality tended to be focused on functional viewpoints rather than on aspects of conflict theories while in questions addressing social inequality, the cases were described mainly in the perspectives of the conflict theories. Third,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ed data and answer choices of the questions in SAT prep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largest number of questions involved the presented data and the answer choices, both of which were either abstract or concrete. Based on the this, we investigated overall the suitability of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s as teaching materials for social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can be pointed out that, while reflecting the basic streams of curricula and containing all the necessary contents and elements, the textbook of Society & Culture leaned too much towards specific perspectives as in questions about social inequality, and that the textbook was not suitable because it did not involve various activities to achieve a variety of affective objectives which are diversely needed in social studies, though it might improve cognitive abilities. It is hardly deniable that such a reference book can help satisfy learners' needs in that it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ut it is equally blamable that it has piecemeal and mechanical contents and therefore, is not appropriate for increasing thinking skills, and for cultivating affective aspect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ions were drawn concerning the unit of the textbook addressing social inequality phenomena as follows: First, if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 of Society & Culture is to be utilized as a more suitable reading material in the education field, it should contain various cases of social phenomena and be composed of questions that describe the cases in balanced perspectives. Second, the presented data and answer choices of questions in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s should be produced in various forms. Enough time and physical support will be needed if EBS published textbooks are to be learning materials with various questions and elaborate answer choices. Third,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for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s but also for various activities. Only when they contain various materials and activities will the quality SAT questions be improved. This study selected as study object a specific unit of the textbook of Society & Culture based on the social importance of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s.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 widely used as reading materials may be achieved if further discussions about the other units and other textbooks in social studies take pl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동향 4 Ⅱ. 이론적 배경 8 A. EBS 교재 활용 실태 8 1. 학교 정규 수업시간 EBS 교재 사용 현황 8 2. EBS 교재 사용 현황에 관한 심층 면접 10 B. 사회과 교수 학습 자료의 의의와 특성 16 1. 사회과 교수 학습 자료의 종류 17 2. 사회과 읽기 자료 선정의 유의사항 19 3. 사회과 교재 분석의 기준 20 C.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문항 유형 23 1.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의 평가 영역 23 2.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문화> 문항의 새로운 분류 유형 24 3. <사회・문화> 문항의 유형별 특징 및 문제점과 개선 방안 26 Ⅲ.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8 A. 연구 문제 및 연구 절차 28 B. 분석 준거 31 Ⅳ. 분석의 주요 결과 및 해석 37 A. 사회 불평등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부분의 양적 분석 37 1. 중단원별 사회 불평등 관련 주제의 내용 비중 37 2. 중단원별 개념 서술 및 문항 구성의 특징 41 B. 이론적 관점에 따른 내용 분석 44 C. 연계 교재의 문항 분류 46 1. EBS 수능 연계 <사회・문화> 교재의 문항 유형 분석 47 2. 수능 문항 유형과 연계 교재 문항 유형의 차이 53 Ⅴ. 결론 56 참고문헌 63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67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EBS 수능 연계 교재의 적합성 검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EBS <사회・문화> 교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view on the Suitability of EBS Published SAT Prep Textbooks : Centering on the Textbook of Society & Culture-
dc.creator.othernameKim, Min Jung-
dc.format.pagevi, 69 p.-
dc.contributor.examiner김성훈-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최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