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영찬-
dc.contributor.author이연숙-
dc.creator이연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1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10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손 안의 컴퓨터인 스마트 폰을 가지고 다닌다. 스마트 폰은 보급률과 활용도가 높고, 스마트 폰의 기능은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매체이다. 또한 교육계에도 스마트러닝이 주목받고 있고, 국가에서도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역사 교육계에서도 스마트러닝을 접목한 수업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교육의 여러 가지 수업 모형들 중 현장체험학습을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역사과목은 유물과 유적을 토대로 탐구하는 과목이기 때문에 역사 현장에 직접 가서 체험하는 역사 현장체험학습 꼭 필요하다. 그런데 서울의 D여중의 문화 탐방반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더니 기존의 역사 현장체험학습은 교사 주도로 진행하고 있어서 학생들이 역사 현장체험학습에 몰입하거나 능동적인 참여가 어려웠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래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인 역사 현장체험학습 수업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현행 중학교 <역사2> 교과서를 분석하여 서울 정동의 덕수궁을 현장체험학습의 장소로 선정하였다. 덕수궁은 근대와 전통의 문화가 조화롭게 이루어져 있는 아름다운 문화재이다. 덕수궁을 자기주도적으로 답사하기 위하여 덕수궁 관련 애플리케이션 5가지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모바일 궁’을 선택하였다. 서울 D여중의 ‘체험학습의 날’을 맞이하여 덕수궁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였는데 2~5명씩 조별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의 미션을 수행하면서 덕수궁의 여러 건물들을 탐색하고 사진 찍으며 학생들은 자유롭게 답사를 하였다. 이 때 교사는 함께 동행하며 안전지도 및 애플리케이션 조력자 정도의 역할만 수행하였다. 약 1시간의 덕수궁 현장체험학습을 마친 후,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은 ‘모바일 궁’ 앱은 이해가 잘 되었으며,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덕수궁 역사현장체험학습은 흥미를 높여 능동적인 수업참여로 이끌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이번 덕수궁 현장체험학습은 그저 놀이 위주의 역사 현장체험학습이 아닌 덕수궁 문화재를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도 하였다. 하지만 실험수업을 통해 앞으로 더 다양하고 보완된 역사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연구와 콘텐츠 개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의 역사 현장체험학습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은 첫째, 철저한 사전학습과 사후학습을 해야 하며 둘째, 학습자가 체험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이 사라지지 않도록 형성평가나 감상문, 포트폴리오, 역사신문 등의 과제물을 피드백하여 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셋째, 체험학습을 주도하는 교사들도 체험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Nowadays, a lot of people have smart phones that are called potable computer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 smart phone is highly distributed and easy to be used so that it is good enough to be utilized for education. Also Smart learning is coming to the fore in the education department and government is planning to develop smart learning. A teaching process with the smart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in the history education. This research chose a field experience study among many models of instruction. Experiencing in the field in person is essential because history is the subject which is based on relics and ruins. I conducted a survey of 44 students in the culture reporting group of D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that students have a trouble of positive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field experience study. Because teachers take the lead the study. So, I researched self-learning history field experience study by utilizing a application with a smart phone. I chose Deok-su Palace in Seoul as the field study location after analyzing the second volume history textbook now in use. The palace is in harmony with modern and traditional culture. After analyzing 5 applications about the palace, I finally selected 'Mobile Palace" to make students explore palaces in self-directed leaning. I progressed the field study with a group activity by twos and fives on 'The field study day' of D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Students explored by accomplishing some missions of the application, observing and taking pictures of buildings in the palace. At that time, teachers were just safety directors and helper of the application. After the study progressed for an hour, I conducted a surve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lass. Students answered that they understood the application that is called 'Mobile Palace’ well. Also it drawn their interests and help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class positively. Some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more than just fun history class so that it would be helpful to study Deok-su palace and culture. On the other hand, I need more various and complemented contents development of the field study and technical support through to experimental class. There are three supplement points. First, thoroughly preparing and reviewing is very important and the next one is feedback like fomative evaluation, report, portplio and history news paper is significant, too for keeping learner's knowledge. Third, teachers need to try new approach for a field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선행연구 분석 4 B. 스마트러닝 이론 5 1.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전략 5 2. 스마트러닝의 학습유형과 교육효과 8 C. 현장체험학습 11 1. 현장체험학습의 개념과 학습유형 11 2. 역사과 현장체험학습의 필요성 13 Ⅲ. 스마트 폰 앱을 활용한 덕수궁 현장체험학습 수업지도안의 실제 15 A. 수업지도안의 계획 및 설계 15 1. 사전 설문조사 분석 15 2. 현행 중학교 『역사 2』교과서 분석 27 3. ‘모바일 궁’ 선정 이유 31 4. 수업진행 및 수업지도안 설계 41 B. 수업 후 결과 분석 52 Ⅳ. 결론 및 제언 59 A. 결론 59 B. 제언 61 참고문헌 64 부록 67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394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역사 현장체험학습 수업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덕수궁 현장체험학습을 사례로-
dc.title.translatedHistory field experience study a teaching progress by utilizing a application with smart phone : A case study of Deok-su Palace History field experience study-
dc.creator.othernameLee, Yeon Sook-
dc.format.pagevii, 76 p.-
dc.contributor.examiner오영찬-
dc.contributor.examiner차미희-
dc.contributor.examiner노대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