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태제-
dc.contributor.author전은정-
dc.creator전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78-
dc.description.abstract진학하는 고등학교 유형은 고교 재학 시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뿐 아니라 졸업 이후 상급학교 진학 혹은 사회 진출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진학할 고교 유형을 선택하고 실제로 진학하는 과정에는 학생에게 주어진 배경변수들이 많은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고 진학과 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공고, 자사고 진학에 영향을 주는 학생의 배경변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고교 유형별로 진학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배경변수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데이터 중 2012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데이터와 해당 학생의 학부모 데이터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유형별 독립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일반고 진학 학생과 다른 유형의 고교 진학 학생 간 배경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일반고를 기준집단으로 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셋째, BIC값을 통해 회귀계수의 효과크기를 구하여, 고교 유형별로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수의 효과크기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넷째,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시행하여 학생의 배경변수 중 진학할 고교 유형을 잘 변별해줄 수 있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갖는 변수를 분석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 결과를 보완하였다. 일반고와 다른 유형의 고교에 진학한 학생 간 배경변수 차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인 부 학력, 모 학력, 가구소득, 맞벌이 여부의 변수를 투입하자 자공고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학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학력은 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사고 진학에, 가구소득은 외고, 과학고, 자사고 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모 직업이 없는 경우 외고, 과학고, 자사고 진학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맞벌이 가정 학생의 중학교 외벌이 가정의 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투입된 모형 1에 부모 특성인 부모-자녀 활동, 부모 태도, 부모의 교육적 지원, 부모의 교육적 기대 변수를 투입하자 모형 1의 영향력은 상당부분 감소하였다. 즉, 부모 학력이나 가구소득이 부모와 자녀 간 관계와 부모의 지원 및 기대 등으로 발현되어 학생의 진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형 1의 변수의 영향력이 일부 여전히 유의했고 특히 자사고의 경우 그 영향력이 모든 변수에서 비교적 크게 나타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그 자체로 학생의 고교진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부모 특성이 투입된 모형 2에 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성별, 중학교 성적, 중학교 때의 사교육 여부, 교육포부 변수를 투입하자 중학교 성적의 영향력이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사교육 여부의 경우, 외고는 국어, 사회 교과 사교육 경험이 진학 확률을 높였고 과학교과 사교육 경험은 진학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과학고는 과학교과 사교육 경험이 진학 확률을 높였고, 국어, 사회, 영어교과 사교육 경험이 진학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고는 외고와 마찬가지로 과학 교과 사교육 경험이 진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자사고는 사회교과 사교육 경험이 진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는 개인적 특성을 투입한 뒤에도 여전히 가정배경 특성의 영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적 특성이 동일하다 할지라도 가정배경특성에 따라 진학 고교 유형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정배경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투입된 모형 3에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를 투입하자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가 대도시인 경우 외고, 국제고, 자공고, 자사고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고등학교 소재지를 비교해본 결과, 고등학교의 소재지가 중학생의 고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유형별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수의 효과크기에 대한 연구 결과, 모든 변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가정배경특성 변수 중 진학에 큰 효과를 미치는 변수가 일부 존재하였는데 학교 유형에 따라 해당 변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외고는 모 학력이, 자사고는 가구소득이, 과학고는 부모의 교육기대가 진학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성적은 모든 유형의 고교에서 큰 영향을 발휘하고 있었다. 학생의 교육포부는 과학고 진학에 있어 큰 효과를 나타냈고, 자공고, 자사고에서는 학생이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가 큰 효과를 나타냈다. 각 고교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중학교 성적, 과학교과 사교육 여부, 사회교과 사교육 여부, 중학교 소재지가 대도시인 경우, 부모의 교육기대, 모 학력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의 영향력은 부모 특성이 투입되자 대부분 감소하여 부모와 자녀 간 관계나 부모의 교육적 관심의 차이가 고교 진학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부모와 자녀의 대화나 부모의 열의는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진학이나 진로에 대한 가치관을 갖게 하고 관련 정보 및 필요한 교육내용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부모의 역할이 부족한 학생들을 보완해주기 위해 학교 차원에서 진학 및 진로교사나 상담교사의 수를 늘리고 그들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야 하며 담임교사 역시 해당 역량을 키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진학 관련 최신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여 부모에 의한 정보 획득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생의 중학교 성적이 이미 가정배경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음에도 중학교 성적 투입 이후 가정배경특성의 영향력이 여전히 존재하여 중학교 성적이 동일하더라도 가정배경특성이 고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학 고교 사교육 여부가 고교 진학 확률을 높이지만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이 여전히 자체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동일하게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라 할지라도 가정배경특성에 의해 진학 확률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에서는 2011년 이후로 특목고 및 자사고에 자기주도 학습전형을 도입하여 사교육을 방지하고자 하였고 학생의 배경변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2011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의 정책이 크게 효과를 미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정부차원에서는 자기주도 학습전형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지원과 관리・감독이 필요하며 일선 학교에서도 학생 선발에 있어 해당 전형의 의미를 깊이 고려하여 실행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자사고의 가구소득 변수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일부 자사고의 수업료는 일반 국・공립고 수업료에 비한다면 상당히 높게 책정되어 있어 자사고 진학에 가구소득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사고 수업료가 과도하게 책정되지 않았는지 정부차원에서의 점검 및 규제가 필요하고 학교차원에서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을 투명하게 운영할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성별요인의 BIC는 외고, 과학고, 자사고에서 일관되게 큰 효과를 보였는데 외고는 여학생, 과학고와 자사고는 남학생일 경우 진학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성별에 의한 진학 고교 유형의 결과를 선천적 요인으로 받아들일 것인지,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적 노력을 기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생들이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가 대도시일 경우 자공고 진학 확률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공고가 대도시에 소재한 비율(약 59%, 중소도시 약 28%, 읍면지역 약 12%)이 높은데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자공고는 공립 일반고 중 주변 환경이나 교육여건이 불리한 지역의 학교, 신설된 학교, 학력수준이 낮은 학교를 대상으로 지정한다. 자공고 지정에 있어 중소도시나 읍면지역에 관심을 가지고 확대해 나간다면 지역격차에서 오는 고교 유형별 진학 확률 차이와 학력 차이 등의 교육격차를 완화할 수 있고 지역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differences, if any,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tudents that would have effects on their advancement to a general, foreign language, science, international, autonomous public,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nd analyze which of the variables would have huge impacts on their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 thus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finding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used the data of eleventh graders and their parents in 2012 in the "Analysis of School Education in the Current State and Level"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s research materials. The method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 seco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general high schools as a reference group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background variables between the students advancing to a general high school and those advancing to one of the other types; third, the effect size of a regression coefficient was obtained with BIC values to analyze whether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of background variables influencing students'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 and finally, discrimina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variables that would distinguish the types of high school well and commonly showed prominent difference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and supplement the results. The findings regarding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between the students that advanced to a general high school and the students that did to one of the other type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types of high school except for autonomous public schools when such variables as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ather,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 household income, and vocation of mother, which were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were put in. Parent-child activities, parent's attitude, parent's educational supports,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which were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ere put in Model 1 in which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had been put.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Model 1 dropped considerably. But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of Model 1 were still significant partially. Gender, middle school grades, private education received during the middle school years, and educational aspirations, which wer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put in Model 2 in which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had been put. As a result, middle school grades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big influences.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remained in general even after the input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 that a student graduated from was put in Model 3 in which the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been put. As a result, the location in a big city had impacts on advancement to a foreign language, international, autonomous public,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sizes of background variables influencing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 household income,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had huge impacts on advancement to a foreign language, autonomous private, and science high school, respectively. Middle school grades had huge influences on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ross all the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inspirations had great effects on advancement to a science school, whereas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 that a student graduated from did to an autonomous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influences of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mostly decreased when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ere put in, which indicates that difference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s educational interest have much influence on students'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Parent-child conversations and parent's enthusiasm allow students to establish a value for their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or career and obtain concerned information and required educational content easily. Second, even though it can be said that middle school grades had already been affected by the family backgrounds,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remained after the input of middle school grades, which means that the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students'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even when their middle school grades are the same. Third, private education for admission into high schoo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but the other variables still had their influences, which suggests that students that received the same private education can vary in the probability of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cording to their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constant supports, management, and supervision to help the system perform its functions right, and schools should deeply consider the meanings of the system when recruiting students before its implementation. Fourth, the effect size of household income was relatively big in autonomous private schools. The government thus needs to check whether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charge excessively expensive tuitions and apply necessary regulations when needed, and schools are required to run the social consideration system in a transparent manner. Fifth, the BIC of gender consistently had huge effects among foreign language, science,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Girls and boys enjoyed a higher probability of advancement to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a science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respectively. Those findings require a decision between whether to accept gender as an innate factor for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 and whether to make educa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social perceptions. Finally, when students graduated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in a big city, the probability of them advancing to an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was very high. If the scope of their designation is expanded based on interest in small sized cities, it will be able to alleviate the differences in the probability of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intra-regional disparity and the educational gaps including the gap in academ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 and further make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mm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Ⅱ. 이론적 배경 6 A. 고교다양화 6 1. 고교 평준화 정책 배경 6 2. 특수목적고등학교 설립 배경 7 3. 자율형 고등학교 설립 배경 8 B. 고교 유형별 현황 10 1. 유형별 고교 설립 현황 10 2. 고교 유형별 운영현황 및 입학전형 12 가. 일반고등학교 및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12 나. 과학고등학교 13 다. 외국어고등학교 및 국제고등학교 15 라.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17 C. 선행연구 19 1. 상급학교에 대한 학생 배경변수의 영향 19 2. 고교 유형별 성취도 21 Ⅲ. 연구방법 24 A. 연구자료 24 B. 연구변수 25 1.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 25 2. 부모 특성 25 3. 개인적 특성 26 4. 중학교 소재지 26 C. 분석방법 28 1.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28 2. 판별분석 31 3. 분석모형 33 D. 연구문제 35 Ⅳ. 연구 결과 36 A. 고교 유형별 학생의 배경변수 차이 분석 36 B. 고교 유형별 학생 배경변수의 영향력 분석 42 C. 고교 유형별 학생 배경변수의 효과크기 분석 50 D. 진학 고교 유형 판별을 위한 배경변수 영향력 비교 53 Ⅴ. 결론 58 A. 결론 및 논의 5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3 참 고 문 헌 65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75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고교 유형별 진학에 대한 가정배경 및 개인특성의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Family Background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Their Advancement to a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Jeon, Eun jeong-
dc.format.pagevii, 75 p.-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contributor.examiner임현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