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황진화-
dc.creator황진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학교 쓰기 영역의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청소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청소년 학습자들에게 자아 성찰적 글쓰기는 자아개념 형성, 정체성 확립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매우 중요한 학습 내용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교과서가 어떠한 양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자아 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바람직한 교과서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Ⅱ장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자아 성찰의 개념,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내용을 살펴본다.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A절에서는 자아와 성찰의 개념을 각각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아 성찰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상위 개념인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개념을 먼저 확인하고 이후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C절에서는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는 ‘청소년 학습자와 자아 정체성의 관계’, ‘자기 이해’, ‘타자 이해’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D절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중학교 <쓰기> 영역의 내용과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과목의 내용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원리를 도출하여 ‘경험의 반추’, ‘관찰과 거리두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학교의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중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의 단원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쓰기 교육 내용은 ‘경험적 글쓰기’와 ‘자서전 쓰기’이다. 따라서 경험적 글쓰기와 자서전 쓰기 단원의 제재와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제재 분석의 경우 ‘자아 성찰에 영향을 주는 타자’와 ‘자아 성찰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과서 학습 활동 분석의 경우 ‘학습자 개인의 경험 선택 활동 방식’과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활동 방식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교과서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경험적 글쓰기와 자서전 쓰기 단원은 학습자가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성찰 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해야 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방식으로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교과서 구성 방안으로 ‘시간의 연속성을 통한 자아 성찰’과 ‘성찰하는 공간의 확대’, ‘성찰하는 사회적 관계 확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쓰기 영역에서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는 주로 문학 영역에서 특정한 문학 작품과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연구 범위를 넓혀 쓰기 영역과 관련하여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를 진행하였다. 쓰기 영역에서의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쓰기 영역의 교과서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는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쓰기 교육 내용으로 경험적 글쓰기와 자서전 쓰기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는 경험적 글쓰기와 자서전 쓰기가 독립되어 연구되어 왔다. 자아 성찰 교육에 중점을 두고 경험적 글쓰기 단원과 자서전 쓰기 단원을 함께 다루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education methods for self-reflective writing by analyzing the writing sections in middle school textbooks. The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ies for writing education for self-reflection targeted at teenage learners. Self-reflective writing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eenage learners who struggl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have the concept of "self". Accordingly, writing education for self-reflection is crucial for learn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sees how textbooks concerning writing education for self-reflection are composed and suggests the appropriate ways of composing those text books. Chapter two regard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looks through the concept of self-reflection, the concept of writing for self-refle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of self-reflective writing. Section A examines the concept of self-reflection by individually seeing the concept of "self" and the concept of reflection to take a close look at the concept of writing for self-reflection. Section B examines the concept of writing for expressing "self", which is a super ordinate concept of self-reflective writing. Section C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self-reflective writing and those effects are covered in three classification in the following: relations between teenage learners and their identities, "understanding self" and "understanding others". Finally, section D examines education materials for the Korean language and self-reflective writing by taking a look at the writing sections in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textbook "the speech and writing". In addition, to drive principles for self-reflective writing, it examines "ruminating on experiences", and "observing and keeping a distance" which come from college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Chapter 3 looks through units for the writing sections in middle school text books for the Korean language to examine aspects of education for self-reflective writing. The study focuses on "writing with experiences" and "writing autobiographies" to take a look at how writing education for self-reflection is done in middle school. In this regard, the study analyzes class materials and class activities for the writing sections regarding "writing with experiences" and "writing autobiographies." The two parts, "others influencing self-reflection" and "rooms for self-reflection" are divided for analysis on the class materials. "Learners behaviors to choose their personal experiences for writing" and "analysis on ways of interaction with peers" are the 2 parts for the analysis on class activities for the writing sections. Chapter 4 suggests how to compose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on the chapter 3. Those textbooks should be composed to promote self-reflection for learners through writing with experiences and writing autobiographies. Accordingly, the study suggests to compose the textbooks with "self-reflection through time continuity", "expanding rooms for self-reflection" and "expanding social relations for reflection". There are two significant meanings of this study. The first one is that this study focuses on writing education for self-reflection in the writing section. Specific works in literature have conventionally been targeted for research for self-reflective wiring. In that perspec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s focus is on analyzing the writing sections in textbooks, and also reflects the importance and necessities for research for self-reflective writing in the writing sections. The second meaning is that the focus is on both writing with experiences and writing autobiographies as education materials for writing. Both of them have been divided areas for conventional research.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o deal with units for both of them at the same ti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2 C. 연구 대상 및 방법 7 Ⅱ. 이론적 고찰 13 A. 자아 성찰의 개념 13 B. 자기 표현적 글쓰기와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 16 1.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개념 17 2.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 19 C.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 22 1. 청소년 학습자와 자아 정체성의 관계 22 2. 자기 이해 25 3. 타자 이해 27 D.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양상 29 1.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내용 29 2.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원리 33 Ⅲ. 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내용의 교과서 분석 36 A. 교과서 제재 분석 36 1. 자아 성찰에 영향을 주는 타자 분석 36 가. 타자를 통한 자아 성찰 38 나. 타자를 매개로 한 자아 성찰 41 다. 타자가 드러나지 않는 자아 성찰 43 2. 자아 성찰이 이루어지는 공간 분석 45 가. 일상적 공간 47 나. 비일상적 공간 49 B. 교과서 학습 활동 분석 51 1. 학습자 개인의 경험 선택 활동 방식 분석 51 가. 경험적 글쓰기의 경험 선택 활동 방식 52 나. 자서전 쓰기의 경험 선택 활동 방식 60 2.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활동 방식 분석 66 가. 동료 평가를 위한 상호작용 활동 방식 69 나. 타인의 반응 경험을 위한 상호작용 활동 방식 71 Ⅳ. 자아 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교과서 구성 방안 75 A. 시간의 연속성을 통한 자아 성찰적 글쓰기 75 1. 시간의 연속성 75 2. 제재를 통한 시간의 연속성 인식 77 3. 학습 활동을 통한 현재 중심의 경험 선택 80 B. 성찰하는 공간의 확대를 통한 자아 성찰적 글쓰기 83 1. 성찰하는 공간의 확대 83 2. 학습 활동에서의 사이버 공간 활용 86 C. 성찰하는 사회적 관계의 확대를 통한 자아 성찰적 글쓰기 89 Ⅴ. 결론 91 참고문헌 93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96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자아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쓰기> 영역의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education for self-reflective writing : analysis of the writing sections of middle schoo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Hwang, Jin Hwa-
dc.format.pageix, 99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