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백선혜-
dc.creator백선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29-
dc.description.abstract음성은 사람의 성격이나 첫인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고, 타인과의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직업적으로 음성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음성이 의사소통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음성이 자신의 직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음성이 직업적으로 주요한 도구이고, 음성 사용량이 많은 사람들을 직업적 음성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라고 한다. 이들의 경우 직업적으로 음성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음성장애에 노출될 위험이 크고 음성문제를 가지게 될 경우 직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에 해당하는 교사는 다른 직업적 음성사용자에 비해 음성문제를 더욱 빈번하고 다양하게 느낀다. 이것은 교사의 재직 환경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사는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평소 자신의 목소리보다 큰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교사가 담당하는 과목도 음성문제의 인식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가 담당하는 과목에 따라 교실 환경은 다양하기 때문에 담당과목에 따라 자신이 인식하는 음성문제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교사의 성별에서도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데, 여자교사는 남자교사에 비해 자신의 음성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인식했다. 교사는 음성이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 결과에서는 음성문제가 심각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음성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교사는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인 음성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따라서 교사들의 음성을 평가할 때는 음성위생법 준수 정도도 함께 알아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담당과목 유형과 성별에 따른 음성장애지수 영역 간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음성장애지수 영역과 음향학적 측정치 사이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와 음성위생법 준수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주지교과(국어, 과학, 사회) 교사 30명(남: 15명, 여: 15명)과 예체능교과(미술, 음악, 체육) 교사 30명(남: 15명, 여: 15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등교사의 담당과목 유형과 성별에 따라 음성장애지수 영역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음성장애지수 영역과 음향학적 평가 간의 상관성을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등교사의 담당과목 유형과 성별에 따라 음성장애지수 총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영역 점수는 정서적 영역, 기능적 영역, 신체적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능적 영역은 음성문제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항, 신체적 영역은 음성 자체의 문제에 대한 문항, 정서적 영역은 음성문제가 대상자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된다. 신체적 영역과 정서적 영역에서 담당과목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영역에서의 집단 간 차이가 정서적 영역에서의 집단 간 차이보다 더 컸다. 다음으로 음성장애지수 영역과 음향학적 측정치 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당과목에 따라 살펴본 결과, 주지교사 교과의 음성장애지수 총점과 PPQ, shimmer, APQ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기능적 영역과 shimmer, APQ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영역과 APQ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예체능교과 교사의 기능적 영역과 shimmer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자교사의 기능적 영역과 shimmer, APQ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여자교사의 음성장애지수 총점과 NHR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기능적 영역과 shimmer, APQ, NHR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하지만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측정치 간에 상관이 있는 경우에도 그 상관이 낮게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측정치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음성위생법 준수 정도를 살펴본 결과, 하루에 섭취하는 물의 양이 일일 섭취 권장량에 속하는 경우는 절반 정도였다. 음주와 흡연 비율은 예체능교과 교사와 남자교사가 주지교과 교사와 여자교사보다 높았다. 그리고 수업 중 사용하는 목소리는 평소 목소리보다 큰 경우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서적 영역보다 신체적 영역에서 교사의 담당과목 유형에 따른 점수 차이가 더 컸다. 즉, 중등교사는 자신의 음성문제를 신체적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음성장애의 정도와 음향학적 측정치는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 음성이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주관적인 평가 결과와 객관적인 평가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대체로 음성위생법을 준수하지 않는 교사가 자신의 음성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인식했으나, 음주와 흡연을 모두 하는 교사는 자신의 음성문제에 둔감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음성에 대해 평가할 경우 객관적 평가 외에 음성장애지수와 같은 주관적 평가와 음성위생법 준수 정도도 함께 살펴보아야 하며, 결과 해석 시에도 유의해야함을 시사한다.;Voice is an important indicator that allows others to determine a person's personality and character. It is important to have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It has an influence on people's career, especially for people who are required to use their voice in their profession to communicate. People, who are required to use their voice as a primary tool in their profession, are referred to as professional voice users. They are heavy voice users, so they have high risk of having voice problems and these problems can cause other problems in their profession. Teachers are one of the professional voice users. Because of their working environment, they seem to have more voice problems than other professional voice users. Teachers consistently speak in a loud voice during class in order to reach most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Also, their teaching subjects have an influence on how one perceives his or her own voice problems. Depending on the subject, a teacher's self-perception of the level of his or her voice problems may turn out to be different. The reason is their teaching environment can differ each time as their subjects change, and consequently leads to possibly different causes for the voice problem. In addition, self-perceived voice problems are different between genders. Female teachers are more serious about their voice problems than male teachers. Because issues related to voice can affect teachers significantly, they perceive their voice problems serious although the problems may not be actually so serious. Also, teachers may not know the importance and how to take care of their voice. In addition, vocal hygiene is also an important requisite in examining voic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voic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iddle school teachers' subject categories and gender, using the Korean Voice Handicap Index (K-VHI) and gender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e K-VHI to the acoustic analysis. The level of vocal hygiene was also examined. The study comprised of 60 middle school teachers. One group consisted of 30 teachers (male: 15, female: 15) who teach Korean, Science, or Social Science. The other group consisted of 30 teachers (male: 15, female: 15) who teach Art, Music, or Physical Education. The comparison of the K-VHI in their subject categories and gender was assessed in both groups using the three-way mixed ANOVA.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VHI and acoustic analysis were assessed in both groups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VHI total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achers' subject categories and genders. The functional score was higher than the emotional score, and the physical score was higher than the functional score. The functional aspect comprised of questions about the influence of voice problems in daily life. The physical aspect comprised of questions about voice itself. The emotional aspect comprised of questions about the influence of voice problems on their psychology. The physical and emotional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subject categori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was higher in the physical aspect than the emotional aspect. Second, results upo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VHI and acoustic analysis are as follows. With Korean, science, and social science teachers, the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K-VHI total score and PPQ, shimmer and APQ. The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functional score and shimmer and APQ.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the emotional score and APQ. With art, music, 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the functional score and shimmer. In male teachers, the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functional score and shimmer and APQ. In female teachers,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the K-VHI total score and NHR. The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functional score and shimmer, APQ and NHR. However, the correlations were low overall. General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K-VHI and acoustic measurements. Third, related to vocal hygiene, only half of the teachers drink the recommended 1~2 L of water per day. The level of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was higher with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male teachers than Korean, science and social scienc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respectively. Also, the teaching voice was mostly louder than the usual voice. It is evident, that the physical score was the highest among the K-VHI and the difference was higher in the physical score than the emotional score in their subject categories. It means that teachers perceive their voice problems as physical problem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elf-perceived voice problems and acoustic measurements are different. Because voice is the primary tool in teachers' career, there can be some difference between their self-perceptions and objective evaluations of their voice problems. Teachers who did not follow the vocal hygiene practice were sensitive to voice problems. However, teachers who drink and smoke were not sensitive to voice problems. Therefore, when assessing middle school teachers' voice, the K-VHI and vocal hygiene need to be examined and the results need to be interpreted as well as acoustic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A.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 10 B. 음향학적 평가 12 C.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측정치의 상관성 14 D. 교사의 음성위생법 준수 정도 16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자료 및 수집 절차 20 C. 자료 분석 20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21 E. 신뢰도 21 Ⅳ. 연구 결과 23 A. 음성장애지수의 집단 비교 23 B.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측정치의 상관성 27 C. 중등교사의 음성위생법 준수 정도 31 Ⅴ. 결론 및 논의 35 A. 결론 및 논의 3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2 참고문헌 43 부록 48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0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담당과목 유형 및 성별에 따른 중등교사의 음성문제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Voice Problems Associated with Teaching Subject and Gender in Middle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Baek, Seon Hye-
dc.format.page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