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노화가 명사 전형성 및 생물성에 따른 범주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화가 명사 전형성 및 생물성에 따른 범주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ge-related changes in category decision abilities as a function of typicality and animacy of noun exemplars
Authors
박은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심현섭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age-related changes in category decision abilities according to the semantic typicality and animacy of noun exemplars. A total of 60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0 per each age group: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group. A total of 140 stimuli were employed for the categorical decision task including animate (vegetables and animals) and inanimate(transportation and clothing) categories. Each semantic category contained either typical or atypical exemplars. Participants are instructed to push the button correctly and quickly by deciding which categories the suggested words belong to. Percent of accuracy and response times(RTs) served as dependent measures in the study. Three-way mixed ANOVAs were performed for each dependent variable. Participants showed more errors and slower RTs in the atypical than typical exemplars and in the inanimate than animate categor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ypicality and animacy for both accuracy and RTs, indicating that atypical items of inanimate categories generated lower accuracy and longer RTs than the typical items of animate categor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ypicality and age group for RTs, and the effects were induced by longer RTs as a function of typicality only for the elderly group.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semantic typicality of the noun exemplars are associated with age-related decline in cognitive processing speed. These data can be us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stimuli development for naming treatment.;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노화(aging)로 인한 말․언어능력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그 이전의 연령 집단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한국노년학회, 2002) 이 집단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변화 정도나 특색을 살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김정완 · 김향희, 2009). 노년층의 경우, 기본적인 정보처리의 속도와 정확도가 떨이지고(최미선, 2012) 단어를 떠올리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며 의미론적 오류를 보이거나 비슷한 범주 내의 특징들을 우회적으로 말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김정완 외, 2013; Barresi, Nicholas, Connor, Olber, & Albert, 2000; Mortensen, Meyer & Humphreys, 2006). 이와 같은 어려움은 정상 노인뿐만 아니라 65세 이상 노인의 23.73%에게 나타나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보건복지부, 2008) 및 치매환자들의 증상 초기부터 기억력 저하와 함께 나타나는 현상이다(Appell, Kertesz, & Fisman, 1982). 또한 신경언어장애 중 하나인 실어증 환자들에게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도 단어인출의 어려움이다(Berndt, Haendiges, Mitchum, & Sandson, 1997). 이처럼 노년층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신경언어장애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가 바로 이름대기의 어려움이다(성지은 · 김진경, 2011). 이는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본보기(exemplar)보다 비전형적인 본보기에서 범주별 산출 빈도가 낮아지고, 비전형적인 본보기의 경우, 범주판단과제에서 오반응율과 반응시간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ran, & Thompson, 2003a). 이에 성지은 · 김진경(2011)은 청년층과 노년층 간에 구어유창성과제를 통해 산출한 어휘의 전형성을 평가함으로써 연령 간 차이를 연구한 결과,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본보기(exemplar)를 산출하였으며, 어휘의 전형성이 청년층보다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령 집단 간의 전형성 평정에서의 차이가 실질적인 언어처리과정을 거치는 범주판단과제(category decision task)에서의 정확도 및 반응시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일반 청년 20명, 중년 20명, 노년 20명이었다. 대상자는 화면에 제시되는 단어를 보고 제시되는 상위 범주에 속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예’ 혹은 ‘아니요’의 범주판단을 하였다. 범주판단 정확도는 대상자가 정반응한 문항만을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범주판단 반응시간은 대상자에게 자극이 제시되는 순간부터 대상자가 버튼을 눌러 판단하는 시간(ms)까지를 자동 측정하여 정반응한 문항의 평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판단 정확도(%)는 연령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비전형적인 과제보다 전형적인 과제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무생물 범주보다 생물 범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명사 전형성과 생물성에 대한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즉, 비전형적인 과제일 때, 생물성에 따른 정확도의 차이가 유의하게 컸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판단 정확도가 명사 전형성 및 생물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주었다. 범주판단 반응시간은 청년 및 중년 집단에 비해 노년 집단의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느렸으며, 비전형적인 과제에서의 반응시간이 전형적인 과제보다 유의하게 더 느렸고, 무생물 범주에서의 반응시간이 생물 범주의 반응시간보다 유의하게 느렸다. 연령 집단과 명사 전형성에 대한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는데 이는 노년 집단의 전형성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컸기 때문이었다. 명사 전형성과 생물성에 대한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즉, 비전형적인 과제에서의 생물성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컸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판단 시, 노년층이 유의하게 느렸으며, 비전형적인 과제 및 무생물 범주판단 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명사 전형성 및 생물성에 따른 범주판단능력에서의 연령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청년, 중년, 노년에게 범주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령 집단 간의 범주판단 정확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전형성에 따른 범주판단에 있어 노년 집단은 청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형성의 반응시간이 노년 집단과 다른 연령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의미 기반 중재 시, 본 자료를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