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아동의 비만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부부관계 지각

Title
아동의 비만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부부관계 지각
Other Titles
Children’s perception of Maternal rearing attitude and Conjugal relationship according to Children’s degree of obesity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uthors
최경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후기 아동이 비만도에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부부관계의 지각을 성차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이 발견된다면 후기 아동기의 비만여부와 성별에 따라서 어머니와의 관계 형성 및 부부관계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한 초등학교 4, 5, 6학년 남녀학생 총 352명 중 응답이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된 12부를 제외한 340부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부부관계에 대하여 아동의 성별, 비만정도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을 실시하였고,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의 사후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에서 어머니 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행동통제, 심리통제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아동의 비만정도에 따라서는 경도비만인 경우 정상체중이나 과체중인 경우보다 어머니 지지를 비교적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별과 비만정도의 상호작용에 의해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행동통제와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 경도비만 집단이 나머지 집단보다 어머니 지지와 행동통제에 대한 지각이 유의한 수준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남자아동이 여자아동 보다 부부 친밀감과 부부상호소통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비만도가 경도비만인 경우 정상이나 과체중인 경우보다 부부 친밀감을 비교적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성별과 비만정도의 상호작용 결과 여자 경도비만 집단이 나머지 집단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부부 친밀감과 부부상호소통을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후기 아동의 비만도와 성별에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부관계를 지각하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소아비만의 원인으로 한정되었던 연구영역에서 확장하여 아동과 부모의 관계에서 비만아동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새롭게 조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survey comprehensively how late-school children perceive the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and conjugal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gender in relation with the degree of obesity of the late-school children and help providing necessary basic data in understanding the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children by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obesity of late-school children and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and conjugal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gender when co-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re found. To perform this study, a total of 34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analysis objects after deducting the 12 the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total of 352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4th, 5th and 6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and Pearson's co-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among each variable.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ain effect of the degree of obesity and the gender and co-relationship of the children o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onjugal relationship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 One-way ANOVA and the Duncan's posteriori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posteriorly the main effect and the effect of co-relationship.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mother's support perceived by the childr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go the gender of the children and the main effect on the mother's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perceived by the childre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of the children, in the case of the mild obesity, the children perceive the mother's support 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normal or overweight cases. Second,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behavior control perceived by children depending on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and degree of obesity of the children. Female mild obesity group showed to recognize the mother's support and behavior control much less to a significant degree compared to other groups. Third, it was judged that male children perceived the conjugal intimacy and conjugal communication higher than the female children and in the case of mild obesity, the children perceived the conjugal intimacy relatively lower than in the case of normal or overweight cases. Fourth, according to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and degree of obesity of the children, female mild obesity group perceived the conjugal intimacy and conjugal communication lower to a significant degree than other groups. It is expected that the psychosocial problems of the obese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 children and the parents can be cast light on after expanding the study scope which used to be limited only to the cause of the child obesity, by verifying degree of perception of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onjugal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degree of obesity and gender of the late-school children through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