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김세미-
dc.creator김세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4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466-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에서 과학은 수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해 왔기에 과학교육에서 의사소통을 활용한 집단학습과 교수법이 강조되고 있다. 집단의 의사소통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과정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지성을 활용한 집단 글쓰기활동을 제공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온/오프라인에서 집단 글쓰기를 수행해 나가는지를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발현되는 집단지성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논리논술 교과를 수강하는 29명의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정기술의 필요성이라는 사회 속 과학쟁점 주제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집단 글쓰기과정을 탐색하였다. 이 활동은 학생들의 자유로운 참여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위키 기반의 환경인 온라인상에서 진행되었으며, 모든 학생들이 충분히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다른 학생들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달의 기간이 주어졌다. 참여방식은 한 학생이 관련 정보를 제시하면 다음 학생은 기존정보를 읽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조합 및 수정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실시되었으며, 참여횟수는 제한하지 않았다. 또한 질문지를 제시하여 참여자가 해당 글을 수정하거나 정보를 추가한 이유를 기술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크게 4단계의 과정을 통해 집단 글쓰기를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정보가 팽창하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가치정보가 축적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논리·비판적 사고단계이며, 마지막으로 검토단계를 거쳐 예비과학교사들이 개인의 지성들을 모아 집단 글쓰기를 완성해 나갔다. 또한 위키 기반의 온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을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과 비교하기 위해 토의를 포함한 8차시의 수업을 설계하였다. 모든 토의 과정을 분석하고, 제출한 글을 비교하여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을 탐색하였으며, 해당 과정에서 발현되는 집단지성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19명의 예비과학교사들이었으며, 이들은 4개의 집단을 이루어 수업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수업에 포함된 토의 녹음 자료, 활동지, 연구자의 게시판 등이 수집되었고, 글쓰기 과정 별 토의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와 Hayes(1980)의 글쓰기 과정을 바탕으로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토의를 포함한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는 정보 공유 및 탐색 단계, 정보 판별 단계, 정보의 논리적 조직 단계, 정보에 대한 반성적 사고 단계, 검토 단계를 거쳐 집단의 글을 완성해 나갔다. 온라인 집단 글쓰기와는 상대적으로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에서는 집단의 판단이나 반성적 사고 등 정보에 대한 판별과 과업을 되돌아보는 과정 요소가 더욱 많이 탐색되었다. 그러나 발현되는 집단지성의 요인은 각 단계에서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은 정보팽창, 가치정보의 출현, 논리·비판적 사고, 그리고 검토의 단계를 거쳐 글쓰기를 완성해 나가며, 각 단계에서 다양성, 독립성 통합의 집단지성이 발현되었다. 둘째,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는 정보 공유 및 탐색 단계, 정보 판별 단계, 정보의 논리적 조직 단계, 정보에 대한 반성적 사고 단계, 검토 단계를 거쳐 집단의 글을 완성해 나가며, 각 단계에서 다양성, 독립성, 성찰의 집단지성이 발현되었다. 이처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집단 글쓰기는 동일한 집단의 과업임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요소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수업의 전략이나 방법에 따라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적절한 학습상황과 학습 목표에 맞게 학습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계한 집단 글쓰기 활동들이 사회 구성적 관점에서 제시한 ‘참여로서의 학습’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과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group writing in on-line/off-line and what collective intelligence factor was revealed in the writing process. We selected the ‘Appropriate Technology’(A.T.) as the subject for on line science group writing. 29 preservice teachers were freely participated in posting their information whenever they want. They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assessed the other' information in website for a month. The way of posting was as follows. After one preservice teacher has written the information about A.T. in the website, the other assessed the text and added or modified the writing. This process was repeatedly continued. We analyzed every writing they post and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the reason why they modified the text. The result is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write the text through 4 stages. First, preservice teachers started to fi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and they just added the information behind the other’s writing. In the second stage, information was added, too. But a difference was that the information they selected was involving values having various view. Third, they organized their writings with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Finally, they revised their overall writing. In the on-line group writing, diversity, independence and aggregation factor of collective intelligence was revealed. In the off-line group writing, 29 preservice teacher divided 4 group. They had discussion before writing. Preservice teachers write the text through 5 stages. First, preservice teachers started to find thd information and they shaare the information with their group member. In the second stage, they judged the information they collect. In the next stage, they organized information and then they think reflectively. Finally, they revised their writing each other. In the off-line group writing, diversity, independence and reflection factor of collective intelligence was reveal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critical thinking and they could learn the way of communication from the process of collective intellig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D. 연구의 제한점 6 II. 이론적 배경 7 A. 과학 글쓰기 7 B. 구성주의와 과정중심 글쓰기 9 C. 협동적 글쓰기 14 D.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집단 글쓰기 16 1.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16 2. 온라인 집단 글쓰기 18 E. 집단지성 21 1. 집단지성의 개념 21 2. 집단지성의 원리 26 III. 연구 방법 32 A. 연구 설계 32 B. 연구 대상 35 1. 온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요인 탐색 35 2.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요인 탐색 36 C. 온라인과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활동 및 수업 개발 36 1. 온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요인 탐색 36 2.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수업설계 44 D. 자료 수집 52 1. 온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탐색 52 2.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탐색 52 E. 자료 분석 55 1. 온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탐색 55 2.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탐색 64 IV. 연구 결과 67 A. 온라인 집단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요인 탐색 67 1. 정보팽창 단계 67 2. 가치정보의 출현 단계 68 3. 논리·비판적 사고 단계 73 4. 검토 단계 83 B.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탐색 85 1. 정보공유 및 탐색 단계 86 2. 정보의 판별 단계 90 3. 정보의 논리적 조직 단계 94 4. 정보에 대한 반성적 사고 단계 98 5. 검토 단계 102 C.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비교 103 1.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집단 글쓰기 과정 비교 103 2.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집단 지성의 발현 요인 비교 107 3. 오프라인 집단 글쓰기에서 집단별 글쓰기 과정의 특징 비교 110 V. 결론 117 VI. 제언 121 참고문헌 123 부록 134 <부록 - 1> 연구 설명문 및 면담 동의서 134 <부록 - 2> 연구 설명문 및 면담 동의서 139 <부록 - 3> 연구 설명문 및 면담 동의서 141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4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cess of on-line/off-line group writing and factor of collective intelligence-
dc.creator.othernameKim, Se Mi-
dc.format.pagevii,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