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감성원-
dc.creator감성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0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094-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우리나라는 국제 사회에서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만큼 경제적・문화적 영향력이 커졌다. 단기간 동안 양적 성장이 가능했던 이유는 ‘교육’과 관련이 있다. 자녀의 사회적 성공에 대한 학부모의 의지는 교육 서비스의 진화를 촉진시켜오게 되었다. 치열해지는 교육 환경 속에서 학부모와 사교육 시장은 학생의 성적 향상을 목적으로 구체적 세분화된 학습 프로그램을 기획, 소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식의 양적 축적만을 강조하는 경쟁적 교육 현실에 사람다움을 가르치는 인격 교육은 설자리를 잃어 왔다.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이루어졌던 배려의 나눔을 통한 인격 교육은 더 이상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배려의 요구들이 가정에서 더 이상 충족되지 못한다면 학교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를 교육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학교에서 ‘배려 교육’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리더인 교장의 배려심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배려적 인간 양성을 위해 학교 교육이 지어야 하는 책임이 더욱 무거워진 현실을 인지할 때 교장의 배려는 모든 배려 교육의 시작점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의 교장은 교육자이자 행정가이지만 그 이전 학생들이 보고 배울 수 있는 훌륭한 롤모델이자 스승이다. 학생과 교사를 도와 학교라는 공동체가 올바른 교육 공동체로 설 수 있도록 인도 하는 것이 또한 교장이다. 이러한 교장의 역할과 위치를 고려 할 때 교장의 배려성은 성공적 학교 운영을 위해 반드시 지녀야 할 자세일 것이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배려를 측정하는 연구와 중학생의 배려를 측정하는 배려 척도 그리고 성인의 배려를 측정하는 배려 척도가 각 연령별로 실행되었음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학교장의 배려성 정도를 측정하는 배려 준거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배려 전문가 집단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교장과 교사들이 합의할 수 있는 초등학교장 배려성 평가 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학교장이 배려심이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준거를 제시함으로 배려의 관계 속에서 학교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는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는가? (1) 학교장의 교사 배려성 평가 준거는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는가? (2) 학교장의 학생 배려성 평가 준거는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는가? 둘째, 학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의 측정 문항은 무엇인가? (1) 학교장의 교사 배려성 평가 준거의 측정 문항은 무엇인가? (2) 학교장의 학생 배려성 평가 준거의 측정 문항은 무엇인가? 셋째, 개발된 배려성 평가 준거 측정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1) 교사 대상 배려성 평가 준거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2) 학생 대상 배려성 평가 준거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먼저 배려의 철학적 의미, 교육학적 의미에 대한 기초 자료를 탐색하여 잠정적인 평가 준거와 요소를 선정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 사용할 조사지를 4회에 걸친 전문가 세미나를 실시하여 수정・보완 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초등 학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을 위한 1, 2, 3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새로운 이론을 구상하기 때문에 전문가 패널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려와 관련된 전문가를 학교에서 직접 학생을 교육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와 국가 연구 기관, 교육청, 대학에서 연구하고 있는 이론 전문가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육 현장 전문가 14명, 교육 이론 전문가 13명으로 전문가 그룹을 구성했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된 내용을 바탕으로 초등 학교장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 예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완성된 예비 설문 조사를 학생과 교사에게 실시하여 설문 조사지가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을 위해 적절한지 점검하였다. 문항 선정 기준에 따라 각 준거별로 문항들이 삭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도출된 문항은 교사의 경우 인지 17문항, 행동 14문항, 공감 19문항, 순환 12문항이 최종 확정 되었다. 학생의 경우 인지 6문항, 행동 11문항, 공감 15문항, 순환 10문항이 최종 확정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는 인지, 행동, 공감, 순환의 네 가지로 연구 되었다. 인지는 학교장이 교사와 학생에게 배려가 필요한 상황에 관심을 갖고 지각하게 되는 단계로 배려의 첫 번째 준거이다. 행동은 배려 상황을 인지하여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직, 간접적 행위를 취하는 과정으로 실질적인 배려적 행위가 실행되는 준거이다. 공감은 배려 상황을 인지한 교장이 학생과 교사를 위해 배려 행동을 한 뒤에 과연 배려 행동이 적절했는가에 대하여 확인하는 준거이다. 마지막으로 순환은 학교장 배려의 인지, 행동, 공감이 학생과 교사의 상호 관계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됨으로 인해 배려가 순환된다는 준거이다. 둘째, 학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을 위한 설문지는 학생과 교사용으로 각각 구안되었다. 학생의 경우 네 가지 준거 배려의 인지, 행동, 공감, 순환과 관련된 교장의 배려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이 인지 6문항, 행동 11문항, 공감 15문항, 순환 5문항으로 최종 개발되었다. 교사의 경우도 학생과 같이 배려의 인지, 행동, 공감, 순환 네 가지 준거가 인지 17문항, 행동 25문항, 공감 19문항, 순환 12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문항을 살펴보면 인지는 교장이 깊은 관심을 지니고 학생과 교사가 배려가 필요한 상황인지 살피는 내용이었다. 행동은 학교장이 학생과 교사를 위한 배려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내용이었다. 공감은 학교장이 행동한 배려가 학생과 교사에게 적절한 것이었는가를 확인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마지막으로 순환은 배려를 감사하고 칭찬하는 과정을 통해서 배려가 격려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문항들로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기 위한 요인 분석과 타당도 검사 결과를 통해 초등 학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인 인지, 행동, 공감, 순환 네 가지 준거가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준거로 연구되었다. 초등 학교장이 학생과 교사를 배려하는 준거를 확인 하는 문항이 모두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학교장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인지, 행동, 공감, 순환의 배려의 네 가지 준거는 배려를 측정하기 위한 타당하고 신뢰성을 갖는 유의미한 평가 준거로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 준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안된 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를 교육 평가 기관과 교육 정책 기관에서 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배려의 네 가지 준거, 인지, 행동, 공감, 순환은 교사 연수, 도덕 교과를 비롯한 교육과정 개발, 학생 생활 지도 매뉴얼, 학생 상담 매뉴얼, 교유 관계 지도 매뉴얼, 학부모 상담 매뉴얼 등 다양한 분야에 구체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셋째로, 배려성 평가 준거인 인지, 행동, 공감, 순환은 초등학교에서만 적용 되는 준거가 아니며 유치원,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과 더 나아가 기업에서도 배려성 평가와 교육을 위해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배려성 평가 준거인 인지, 행동, 공감, 순환은 배려성 평가에 그치지 않고 배려를 학습하기 위해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체적인 배려 교육방법이 인지, 행동, 공감, 순환의 네 가지 평가 준거를 통해 개발되고 실시된다면, 과거 대가족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익혔던 인간답게 사는 타당한 방법을 이제는 학교가 맥락을 이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 연구는 초등학교 교장에게 배려자로서 학부모와 동료교사로서의 시각을 갖도록 도와 줄 수 있을 것이다.;In the 21st century, Korea has grown its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s as much as it has served as a leader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reason for qualitative growth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considered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education. Parents' intention of the social success of their children came to foster evolution of educational service. In the fierce educational environment, commercialized education services and parents planned and consumed specialized learning programs aimed at improving students' academic grades. However, such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cusing on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knowledge threw out the moral education based on character building. The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caring and sharing, which was traditionally educated in families, seems not to play its roles enough. If the requirements of caring are not met enough in families, efforts should be made to educate caring more actively in school. To make education of caring possible in school, caring of a headmaster, a school leader, is required. Given the reality that schoo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o raise a person with a sense of caring, caring of a headmaster seems to be the starting point of all kinds of caring education. Up to now, there is few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which is used to measure a level of caring of a headmaster. Therefor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tried to develop the caring scale standards of headmasters in elementary schools, on which a group of experts on caring, headmasters and teachers can ag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thereby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necessary to develop school in caring relationship.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study issues: First, what factors constitute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1) What factors constitute the teacher-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2) What factors constitute the student-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Secondly, what are the questions to measure the 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1) What are the questions to measure the teacher-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2) What are the questions to measure the student-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Thirdly, how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questions? (1) How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eacher-caring questions? (2) How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tudent-caring questions? To address the study issues,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was performed: First,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hilosophical meaning and educational meaning of caring were explored to choose latent evaluation standards and factors.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1st Delphi Survey was completed in the course of change and supplementation after four times of expert seminars and interviews with an academic adviser. Next, the 1st, 2nd, and 3r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develop 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third step, based on the analysis of delphi surveys,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s necessary to develop caring standards of headmasters, and then changed, supplemented and completed the questions after performing seminars with experts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terviewing an academic adviser, and discussing experts on caring. Before conducting this questionnaire survey, a preliminary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with students and teachers to check if this questionnaire was proper to develop caring standards. After the preliminary survey, this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and teacher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In such a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questions would be applicable to measure caring scale standards of headmasters in actual educational fields. Based on the factors drawn from the delphi surveys on the teacher-caring and student-caring of headmasters,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nd this main survey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which were used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tudy results drawn from the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proves four areas: consciousness, performance, confirmation, and repetition. Secondly, the questionnaire necessary to develope the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was designed for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As for student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was comprised of 6 questions related to Consciousness, 11 questions related to Performance, 15 questions related to Confirmation, and 5 questions related to Repetition. As for teacher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was comprised of 17 questions related to Consciousness, 25 questions related to Performance, 19 questions related to Confirmation, and 12 questions related to Repetition. Thirdly,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make preliminary questions for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he results drawn from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survey were applied to the questions for the main survey.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questions about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for students and about his/her caring for teachers were reliable. Given th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can be applied, as useful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standards, to educational fields. This study suggested the new addition of circulation into the existing caring areas- perception, behavior, and empathy-for caring standards. A caring person and a person in care can change their position depending on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a caring person turns into a person in care, and vice versa. In this sense, if a headmaster continues to care for students and teachers, both students and teachers turn to caring people from people in care. Caring is not an one-way and one-time event, but mutual and circulatory. Today, it is essential to give consideration to others. In the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aring scale standards of headmasters, measure a level of caring of a headmaster, and reflect on something improper in four caring standards: consciousness, performance, confirmation and repetition. By doing so,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caring through school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배려에 대한 철학적 접근 7 1. 동양과 서양의 배려 철학 7 2. 교육 철학에서 나타난 배려 16 B. 학교에서의 배려 교육 23 1. 배려의 교육사적 의미 23 2. 배려적 교육과정 28 C. 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 34 1. 초등학교 교육과 교장의 리더십 34 2. 배려성 평가 준거 추출 39 Ⅲ. 연구방법 50 A. 연구 대상 50 B. 연구 절차 55 C. 연구 도구 57 D. 자료 분석 59 Ⅳ. 연구결과 64 A. 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 요인 개발 64 1. 교사 대상 1차 델파이 조사 64 2. 교사 대상 2차 델파이 조사 68 3. 교사 대상 3차 델파이 조사 73 4. 학생 대상 1차 델파이 조사 80 5. 학생 대상 2차 델파이 조사 84 6. 학생 대상 3차 델파이 조사 90 B. 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의 측정 문항 97 1. 교사 대상 배려성 평가 준거의 측정 문항 97 2. 학생 대상 배려성 평가 준거의 측정 문항 103 C. 개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111 1. 교사 대상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111 2. 학생 대상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131 Ⅴ. 결론 149 A. 요약 및 결론 149 B. 논의 및 제언 154 참고문헌 160 부록 169 Abstract 2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60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 교장의 배려성 평가 준거 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Standards in Evaluating Care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dc.creator.othernameKam, Sung Won-
dc.format.pagex, 24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