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4 Download: 0

문학감상 수업에서의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Title
문학감상 수업에서의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Response-Based Educational Dram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xpression Ability in Literature Class
Authors
이경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본 연구는 문학감상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자기표현력이란 의사소통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감정과 권리를 존중하면서 자신의 생각, 느낌, 감정, 권리, 입장 등을 분명하고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소로는 언어적 표현력의 말의 내용과 어휘, 반언어적 표현력에 음성과 어조, 비언어적 표현력에 태도와 표정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 작품을 읽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기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한 C초등학교의 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조사 결과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를 수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동일 학교의 5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6주간 22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 개개인의 자기표현력 양상의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반응중심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위 구성요소별 t검정 결과, 언어적 표현력의 내용 및 어휘, 반언어적 표현력의 음성과 어조, 비언어적 표현력의 태도 및 표정 모두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가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하위 구성요소별 t검정 결과,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것은 비언어적 표현력이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교육연극 방법에 익숙해지고 편안해지면서 신체적 긴장감이 해소되어 말하는 자세, 몸짓, 표정이 한결 자연스러워진 까닭이다. 가장 낮은 향상은 반언어적 표현의 음성 요소이다. 목소리의 성량이나 발음은 몸에 체화되어 있거나 습관화 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쉽게 변화하지 않는 까닭이다. 이에 각 요소별 기본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학생 개개인의 자기표현력 양상의 질적 분석을 통해 개별화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개별적 분석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학생의 자기표현력별 유형화를 통해 맞춤형 기본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좀 더 학생들의 자기표현력에 더 큰 향상을 위해서는 1년간의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진행, 좀 더 세부적인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소 선정 및 적용, 구체적인 기본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response-based educational drama program geared toward fostering children’s self-expression ability in literature class. Self-expression ability showed respect for oneself and others by stating one's opinion and letting others know how you feel and what you want. It involved demonstrating the following traits: verbal language(good contents and vocabulary); semi-verbal language (moderate voice volume and tone); non-verbal language(gesture and face expression). The program intended to enhance the three abilities: verbal, semi-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To achieve the aim, the two mai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main contents of the response-based educational drama program? 2. Does the response-based educational drama program affec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elf-expression ability? The program was developed via Tyler's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goes through setting a goal in educatio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evaluating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 students who were in their 5 grade in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ong-gu, Seoul.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22 sessions during an six-week period of time. To test the validity and effect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After their self-expression abilities were assessed in the pretest, the response-based educational drama program was provided, and then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data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and t-test was utiliz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 over the pretest and posttest date. The conclusion which be drawn form this study were these. First, the response-based educational drama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self-expression abilities. Especially, non-verbal language ability showe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verbal and semi-verbal languages. As the program went along, children made a feel comfortable and relax relieving physical tension and nervous.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a possibility of students individualized education, which analyzing the merits and demerits to each student and giving a personalized basic skill training program on self-expression ability. In this study, however, the only six facts could not demonstrate entire self-expression ability, so follow-up study on more detail facts is needed as well as a long term program session and a basic skill training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