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김수경-
dc.creator김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22-
dc.description.abstract시 교육의 방법에 대해서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학습자들이 시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교사 역시 시 감상 및 반응의 표현에 대한 별다른 안내 없이 학습자들을 지도함으로써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매체와 친밀하다는 점, 의사소통의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체를 통한 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시는 음성 언어의 특징, 이미지를 언어로 표현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시의 장르적 특성은 매체와 결합하게 되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시 교육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매체를 통한 시 교육의 방법 중 하나로 영상 시 창작 교육을 제안한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영상 시는 다양한 문자로 표현된 시와는 다른 새로운 텍스트로 이해하고 해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음성, 문자, 소리, 이미지, 동영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의미를 형성하는 영상 시는 각각의 고유한 의미실현 방식이 존재한다고 보고 영상 시에 각 양식의 의미 실현 방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매체로 변용을 통해 각각의 양식의 의미 실현 방식의 원리를 도출하고 그 효과를 찾는데 집중했다. 활동 위주가 아닌 원리를 분석하고 사례를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감상과 창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영상 시 ‘창작’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학습자의 영상 시 창작 경험은 영상 시 텍스트의 해석에서 주체적으로 영상 시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며, 학습자는 시 창작에 대한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목적 아래 이 논문은 매체 변용을 통한 영상 시 창작 교육에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와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최근 복합 양식화되는 변화를 인지하고 복합 양식 텍스트의 국어교육적 가치를 밝힌다. 이후 최근에 생산되는 영상시의 현황을 살폈다. 영상 시를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사이트의 영상 시 현황을 살피고, 그 중 영상 시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사이트인 사이버문학광장에서 제공하는 영상 시를 분석한다. 이후 이차텍스트로서 영상시의 개념을 살피며, 영상 시 교육의 국어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개념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 영상시의 변용 양상을 분석한다. 문학집배원 ‘시 배달’을 중심으로 영상 시 표현에 따른 변용 양상과 효과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출한다. 사이버문학광장 내 시 배달의 영상 시를 이미지, 낭송, 배경음악의 분석을 통해 영상 시로의 변용을 통한 변화와 그 효과를 찾는데 주력하였다. 각 양식의 변용 양상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도출해냄으로써 이후 교육현장에서 각 양식의 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 구조를 밝혀 기본적인 원리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관련 수업 모형을 탐색하고 영상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데, 이때 교육적으로 변형하여 영상 시 창작 방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계획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미지, 낭송, 음악 각 양식의 삽입 활동 및 전략을 밝힌다. 이미지의 변용과정을 4단계로 위계화하여 이미지를 구성해 보는 활동을 제안한다. 낭송은 정형적 시 낭송과 개성적 시 낭송을 구분하여 낭송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고찰해본다. 또한 배경 음악 선정 활동을 제안한다. 음악이 시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경우와 시에 대한 반응의 하나로 이차 텍스트화된 음악을 삽입하는 활동과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주로 매체 변용에 따른 영상 시 창작 교육의 원리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다양한 원리와 효과를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다양한 방법적 측면과 함께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다루어 질 수 있는지 현실적인 문제와 영 상시 창작 교육 시 적용될 수 있는 기준 확립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나 이 논고에서는 본격적인 논의를 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와 같은 영상 시 창작에 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영 상시 창작의 전 과정의 연관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There have been numerous debates on poetry teaching methods. At the teaching field, however, students still have difficulties understanding poetry, and teachers likewise have not yielded enough educational outcomes by failing to instruct students how to express reactions and to appreciate poetry. In this study, I strongly believe that the poetry education via mass media is necessary, considering that students are more open to the media, and the environment of communication has changed. Poetry is a language of sound, which expresses images in words. This characteristic of poetry as genre, when it is combined with mass media, can be an effectual teaching method at the teaching field. As one of educational methods via mass media, I suggest film poetry creative education. First, it is essential to interpret and apprehend film poetry in different texts, while other poetry is expressed in different words. Because film poetry is formed, and contains meanings when sounds, texts, voices, images, and movies are compounded, thereby having each unique meaning actualizing methods, which may require analysis. Therefore, I focused on drawing principles of each meaning actualizing methods by varying media, and on reaching the results. Through analyzing and suggesting preceding cases, not doing activities, appreciation and creation must be performed. Under this perception of problems and the purpose, I attempt to advocate beneficial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nd theoretical evidence that aid the film poetry creative education to be advantageous through various mass media. In Chapter II, I perceive the current multi-raising changes, and fin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values of the multi-raising texts. I then observe the present condition of recently produced film poems. I observe a variety of websites that provide film poems, and analyze film poems from Cyber Literature Square, which is a leading website that produces film poems. After that, I examine the concept of film poetry as second texts, and discuss the valu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film poetry education. In Chapter III, I inspect the varying aspects of film poems, which are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Centering on Literature Postman ‘Poetry Delivery,’ I drive a basic structure of varying aspects and effects on film poetry expressions. I focus on finding differences and consequences through film poetry’s varying aspects by researching images, recitations, and background music of ‘Poetry Delivery’ within Cyber Literature Square. After analyzing varying aspects and drawing the conclusions, I strive to find the fundamental principle that aid to achieve a combination of two ways at the teaching field. In Chapter IV, accordingly, all of these findings mentioned above lead to search related teaching models, and to suggest film poetry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us planning film poetry creative methods an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 also suggest image, recitation, sound, and other interpolat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By grading the process of image being transformed into four levels, I recommend forming image activities. By dividing standardized and personalized recitation, I examine the way of reciting poems and the effect. Furthermore, I suggest background music selecting activities. Finally, I propose a case when the music forms the mood of poetry, and another case when the music, which has become second texts, is inserted as one of reactions to po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Ⅱ. 영상시 창작을 통한 시 교육의 의미 12 A. 복합 양식으로의 변화 12 1. 복합 양식 텍스트로의 변화 12 2. 복합 양식 텍스트의 교육적 가치 14 B. 영상시 현황 탐색 19 1. 문학집배원 시배달 현황 21 2. 문학집배원의 추천시 연구 24 가. 추천자의 시세계와 선정시 관련 양상 24 다. 추천시 분석의 교육적 의의 39 C. 영상시의 교육적 성격 41 1. 이차텍스트로서의 영상시 개념 41 2. 영상시 교육의 국어교육적 가치 43 Ⅲ. 영상시 표현에 따른 변용 양상 : 문학집배원 시배달을 중심으로 47 A. 영상 텍스트로의 변용과 그 효과 49 1. 언어텍스트에 충실한 시각적 변용 51 가. 묘사중심 시 변용과 그 효과 52 나. 서사중심 시 변용과 그 효과 55 2. 변용자의 의도에 따른 시각적 변용 59 가. 묘사중심 시 변용과 그 효과 59 나. 서사중심 시 변용과 그 효과 64 B. 낭송의 삽입과 그 효과 69 1. 낭송을 통한 운율의 표출 70 2. 육성 낭송으로 독자와 만남 73 3. 방언 낭송으로 생동감 획득 76 4. 독자의 정서적 위안 형성 79 C. 음악의 삽입과 그 효과 83 1. 시적 분위기 형성 86 2. 정서적 익숙함 형성 90 Ⅳ. 영상시 창작을 통한 시 교육 93 A. 영상시 창작 유형 탐색 93 1. 영상시 창작 교육을 위한 기존 수업 모형 재개념화 93 2. 영상시 창작 교수 학습 모형 98 B. 영상시 창작을 통한 시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 102 1. 이미지의 변용 활동 및 전략 102 가. 객관적 묘사를 통한 변용 104 나. 주관적 묘사를 통한 변용 108 2. 낭송 활동 및 전략 111 가. 정형적 시 낭송 112 나. 개성적 시 낭송 113 3. 음악 선정 활동 및 전략 115 가. 기존 음악 삽입 116 나. 음악의 생산 118 Ⅴ. 결론 121 참고문헌 125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06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매체 변용 원리를 활용한 영상시 창작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ilm poetry Creation Education by Using Basic Structures of Media Conversion-
dc.creator.othernameKim, Su-Kyung-
dc.format.pagevi,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