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수미-
dc.contributor.author김영은-
dc.creator김영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312-
dc.description.abstractPiano education is provided with theory and practic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South Korea, so there is a natural need to develop piano teaching methods to help learners study theory and apply it to practice. Having started to develop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1960s, comprehensive musicianship refers to the musical abilities to handle musical elements in a comprehensive manner through playing, analysis, and composition activities. Students need to study both theory and practice in a comprehensive manner based on diverse repertoires and learn in the role aspects as appreciators, players, and composers in order to develop their comprehensive musicianship.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in the music curriculum in the nation,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its development in piano education. This study thus chose Quaderno musicale di Annalibera, a solo piano piece by Dallapiccola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counterpoint and the 12-tone technique, one of the composition techniques in contemporary music, to help to develop comprehensive musicianship with piano education.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examined the life and list of works of the composer according to six periods and also the theories about the 12-tone technique and counterpoint to understand Quaderno musicale di Annalibera. The main body analyzed the piece in the aspects of appreciator, one of the functions of musician, and proposed creative practice methods in the creative aspects as composer. In the main body, the investigator analyzed all the 11 movements of the piece and sorted out the ways the tone rows of the 12-tone techniques were used in the piece in four major groups: first, when tone rows were used simply, he added more complexity by making complex rhythms and changing time signatures often; second, he clearly divided the piece into the melody and accompaniment parts by using tone rows; third, he adopted the hexachord form of putting together six notes in a tone row; and finally, he also used the counterpoint composition technique, which allows each vocal part to claim equal or even significance by using tone rows. The creative practice methods proposed in the study were categorized in five types: the first one involves practicing the parts where rhythms should well be highlighted with rhythm beating on the keyboard lid; the second one involves first-hand mapping; the third one involves first-hand singing or playing the left-hand melodies with the right hand in order to express melodies fully; the fourth one involves practicing by changing the scores on purpose to personally listen to and experience when it is played according to the scores and when it is not played according to the scores and thus express music more effectively; the fifth one presents an approach proper for each movement with the practice to perceive the B-A-C-H motive in the first movement and the practice to play tremolo in pianissimo(pp) in the tenth movement. There are two types which repeatedly proposed practice methods; the first one involves counting one beat by eighth note or sixteenth note for accurately count rhythm; the second one involves deciding position of left hand and right hand.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be followed by many other studies on methods to teach the 12-tone technique in piano education. In future, there should be many researches on teaching methods for the piano to give instructions on piece analysis in the aspects of appreciator and on creative practice in the aspects of composer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their comprehensive musicianship regardless of the times.;한국의 피아노 교육은 이론과 실기가 분리된 학습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학습자가 이론을 배우고 실기에 적용하여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피아노 교수법이 필요하다. 이미 1960년대 미국에서 발달되기 시작한 포괄적 음악성이란 개념은 음악요소들을 연주, 분석, 작곡 활동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음악적 능력을 의미한다. 포괄적 음악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레퍼토리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기를 종합적으로 배우며, 감상자, 연주자, 작곡가로서의 역할 측면에서 학습해야 한다. 국내에서 음악 교육과정을 통하여 포괄적 음악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반면, 피아노 교육 분야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교육으로 포괄적 음악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대위법과 현대 작곡기법 중 하나인 12음기법이 융합된 달라피콜라의 피아노 독주곡 “안나리베라를 위한 음악적 스케치(Quaderno musicale di Annalibera)”를 선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작곡가 달라피콜라의 간단한 생애와 작품목록을 6개의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안나리베라를 위한 음악적 스케치”를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12음기법과 대위법에 대한 이론을 알아보았다. 이어 피아노 교육에서 포괄적 음악성 개발을 주장한 페이스의 피아노 초급 교재에서 어떻게 12음기법을 접근하는지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이 작품을 음악가적 기능 중 감상자로서의 측면으로 악곡 분석을 하였고, 작곡자로서의 측면으로 창의적인 연습방법을 제안하였다. 본론에서 11곡을 모두 악곡 분석해 본 결과, 이 작품에 12음기법의 음렬이 사용된 방법들을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음렬을 단순하게 사용한 경우, 리듬이 복잡하거나 박자표를 자주 바꾸어 복잡성을 더했다. 두 번째, 음렬을 사용해 선율과 반주부분으로 명확히 나누어 만들기도 했다. 세 번째, 한 음렬을 6개의 음씩 묶어서 사용하는 hexachord 형태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네 번째, 각 성부가 음렬을 사용하여 동등한 혹은 대등한 의미를 가지는 대위법적인 작곡기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어 창의적인 연습 방법으로 제안한 것들에도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 번째, 리듬을 잘 살려야 하는 부분을 건반 뚜껑에서 리듬치기로 연습해보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맵핑을 직접 그려보는 방법이며, 세 번째로는 충분히 선율을 표현하기 위하여 직접 노래를 해보거나, 왼손의 선율을 오른손으로 연주해보는 방법이다. 네 번째, 고의적으로 악보를 바꿔서 연습하여, 악보대로 연주했을 때와 연주하지 않았을 때를 직접 듣고 경험하여 음악을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다섯 번째, 그 외 각 곡의 특징에 맞춘 방법으로, 제1곡에서 B-A-C-H 모티브를 인지하기 위한 연습과, 제10곡에서 트레몰로를 피아니시모(pp)로 연주하기 위한 연습 방법이다. 창의적인 연습 방법 외에도 반복적으로 제시한 연습방법이 두 가지 있다. 첫째, 복잡하고 자주 변하는 박자를 정확하기 세기 위하여 8분음표나 16분음표와 같은 짧은 음가를 한 박으로 세는 방법이다. 둘째, 왼손과 오른손의 포지션을 정하는 것이다. 이 논문 이후로도 피아노 교육에서 12음기법 작품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법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시대를 막론하고 작품을 지도할 때 포괄적 음악성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상자의 측면인 악곡분석과, 작곡가의 측면인 창의적인 연습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는 피아노 교수법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7 A. 달라피콜라의 생애 및 작품목록 7 1. 생애 7 2. 시기별 작품목록 9 가. 제1기 초기 (The Beginnings: 1904-1938) 9 나. 제2기 망명 그리고 발견 (Self-Exile and Discovery: 1939-1945) 10 다. 제3기 자유의 빛을 향하여 (Toward the Light of Freedom: 1945-1948) 11 라. 제4기 음렬주의의 아이디어 (The Serial idea: 1948-1953) 12 마. 제5기 텍스트와 상징 (Text and Symbol: 1954-1964) 12 바. 제6기 율리시스, 방랑자와 창안자 (Ulysses, Wanderer and Discoverer: 1965-1975) 14 사. 달라피콜라의 피아노 작품 15 B. 달라피콜라의 작곡기법 17 1. 12음기법 17 2. 대위법 19 C. 포괄적 음악성 개발을 위한 페이스 교재의 12음기법 접근 22 Ⅲ. 본론 28 A. 작품 설명 28 B. 음렬 29 C. 분석 31 1. 제1곡 Simbolo(상징) 31 가. 악곡 분석 31 나. 교수법적 제안 35 2. 제2곡 ACCENTI(강세, 강조) 36 가. 악곡 분석 36 나. 교수법적 제안 39 3. 제3곡 Contrapunctus primus(제1의 대위법) 41 가. 악곡 분석 41 나. 교수법적 제안 45 4. 제4곡 LINEE(선) 46 가. 악곡 분석 46 나. 교수법적 제안 48 5. 제5곡 Contrapunctus secundus(제2의 대위법) 49 가. 악곡 분석 49 나. 교수법적 제안 50 6. 제6곡 FREGI(장식) 51 가. 악곡 분석 51 나. 교수법적 제안 53 7. 제7곡 Andantino amoroso e Contrapunctus tertius (제3의 대위법) 54 가. 악곡 분석 54 나. 교수법적 제안 56 8. 제8곡 RITMI(리듬) 57 가. 악곡 분석 57 나. 교수법적 제안 60 9. 제9곡 COLORE(색채) 61 가. 악곡 분석 61 나. 교수법적 제안 62 10. 제10곡 OMBRE(그늘, 음지) 64 가. 악곡 분석 64 나. 교수법적 제안 67 11. 제11곡 QUARTINA(4행시) 69 가. 악곡 분석 69 나. 교수법적 제안 70 Ⅳ. 결론 72 참고문헌 77 부록 83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361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달라피콜라(L. Dallapiccola)의 "안나리베라를 위한 음악적 스케치(Quaderno musicale di Annalibera)"를 중심으로 포괄적 음악성 개발을 위한 피아노 교수법적 제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oposal of Piano Teaching Methods for the Development Comprehensive Musicianship through Quaderno musicale di Annalibera by Luigi Dallapiccola-
dc.creator.othernameKim, Young Eun-
dc.format.pageix,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