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미-
dc.contributor.author김수연-
dc.creator김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3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347-
dc.description.abstract음악의 생활화는 음악 교육 경험이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의미 있게 교류하며 융합되는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생활화 영역을 통해 음악을 생활 속에서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효과적이고 다양한 교육 방안 및 자료의 부재로 인한 지도상의 한계점이 제기되어왔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의 생활화를 지원하는 교육 도구로서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절차는 문헌 조사를 통한 연구의 준비,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 의 개발,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적용 및 결과 분석의 과정을 포함하였다. 연구 준비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글쓰기, 일기쓰기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여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중등교육과 구별되는 초등교육의 특성, 음악 교과의 타 영역과 구별되는 생활화 영역의 특성에 주목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화’ 영역의 교육 방안으로서 일기쓰기가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개발은 Tyler(1949)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재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라 진행하였다. 첫째, 2007․2009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과 6학년 음악교과서 5종의 생활화 영역 관련 내용을 각각 분석하였다. 둘째, 교사․학생․학교를 대상으로 사전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주체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셋째,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 및 목표를 수립하였다. 넷째, 다섯 개의 대주제를 설정하고 주제중심의 통합성(integration)의 원리와 환경확대법에 따른 계열성(sequence)의 원리에 따라 대주제를 조직하였다. 다섯째, 대주제에 따른 차시별 음악일기 주제 및 주요 내용을 계획하였다. 여섯째,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매 차시에 일관적으로 적용되는 음악일기쓰기 절차와 그에 따른 지도 전략을 개발하였다. 과정중심 쓰기 원리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음악일기쓰기 절차는 <마음열기>, <일기쓰기>, <공유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모든 단계에서 자기조정활동이 이루어진다. 일곱째, 총 25차시 분량의 차시별 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각 차시의 지도안은 앞서 개발된 음악일기쓰기 절차인 <마음열기>, <일기쓰기>, <공유하기>의 흐름에 따라 작성하였다. 여덟째,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초등 교사 5인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교육적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받았으며, 대주제에 따라 1~3차례에 걸쳐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윤리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적용은 연구자가 담임으로 재직 중인 서울의 공립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약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주로 아침활동시간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두 번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과 교사의 측면에서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각각 발견할 수 있었다. 학생의 측면에서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은 음악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키고, 음악과 일상생활의 관련성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며, 국악에 대한 정서적 친밀감 형성과 가치 인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의 음악 행사 참여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하며, 생활 속에서 음악을 활용하고자 하는 내재적 동기를 부여하고, 음악의 역할 및 음악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측면에서는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에 대한 개별적․다차원적 이해를 돕고, 효과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게 하여, 생활화 영역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일기는 질적, 과정 중심적 학생 평가 자료로서 생활화 영역의 평가에 활용 가능하며, 교사 자신에 대한 자기 장학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이 학생과 교사 간의 음악 교육적 소통 도구이자, 학교 음악교육과 개인 일상생활의 연결 고리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음악의 생활화를 촉진하고 지원하기 위한 교육 방안, 혹은 교육 자료로서 교육현장에 활용되어 초등 음악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Music as a way of life is achieved through meaningful exchange and the convergence of the experience of music education with students’ everyday lives. Although emphasized the ability to actively use music in everyday life by proposing the notion of musical living, limitations of music teaching were raised, such as a lack of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an effective education plan. Thus, the need fo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an education plan that are practically applicable in schools became a pressing iss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al diary writing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as a tool for making music a part of students’ lives and to explore students’ experience in the applied program. The study targets are 6th grade students, and the investigation included the process of the study prepar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application. The preparation phase established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musical diary program by explo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 particular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the applicability of diary writing as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lan for the topic of musical living was measured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living,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eas of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education, which is distinct from secondary education.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onducted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developed by Tyler(1949)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ed development model of the musical diary writing program an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the mu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of “music in daily life” in 5 type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or 6th grade were analyzed. Second, a survey on the needs of teachers, students, and schools was conducted,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ird, the basic direction and goal of the progra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urth, 5 units were established and organized by the principles of subject-oriented integration and the expanding environments sequence. Fifth, the subject and main content of the musical diary were developed for each class hour. Sixth, the procedures of musical diary writing and the teaching strategy were created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writing principle. The procedures of musical diary writing comprise “open mind- diary writing- sharing” stages, and a self-control activity is conducted in each stage. Eighth,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study were secured by having the developed program validated by 5 elementary teachers prior to its application, and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content 1–3 time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6th grade stud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the researcher work as a homeroom teacher. It was conducted for about 6 months.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showe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music diary writing program form the perspective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student perspective, the musical diary writing program fosters interest in music activities, stimulates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daily life, and helps form an affinity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recognize its value. Moreover, it leads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participation in school music events and provides motive to use music in daily life an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learning music. In the teacher perspective, the musical dairy writing program enhance individualistic and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provides effective feedback, and enables teachers to sustainably and systematically guide musical living. In addition, the musical diary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student evaluation in the area of musical living as well as for self-assessment. The analysis revealed the music diary writing program’s potential to serve as a tool for enhancing educ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a link connecting the music curriculum and individuals’ daily lives.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s an education plan or educational material to promote and support music in everyda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내용 및 절차 5 C.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A. 초등교육에서의 음악의 생활화 10 B. 음악교육과 글쓰기 23 C. 일기의 교육적 활용 29 Ⅲ.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 개발 39 A. 프로그램 개발 모형 및 과정 39 B. 음악일기쓰기 절차 및 지도 전략 68 C. 차시별 프로그램 지도안 72 D. 프로그램 검증을 통한 수정 및 보완 126 Ⅳ.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 적용 138 A. 프로그램 적용 내용 및 방법 138 B. 프로그램 적용 결과 및 분석 140 Ⅴ. 결론 및 제언 153 참고문헌 157 부록 162 ABSTRACT 1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923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음악일기쓰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usical Diary Writing Program for Making Music a Way of Life : Focusing o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Su Yeon-
dc.format.pagexi, 1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