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Title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Ego-Resili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Authors
유진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염현경
Abstract
With the invigoration of the national polic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that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have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either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or do not, these music programs have been observed to result in better outcomes with regards to the students’ego-resiliency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natur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ve been considered,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ego-resiliency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addition,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usic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and perceptions of the program.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chool A in Seoul and school B in Gyeonggi-do have participated.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and those who weren’t were recruited from each school. The study commenced on April, 2014 with 20 music students and 20 non-music students from school A, and 71 music students and 90 non-music students from school B. A total of 201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t the end of study for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ego-resiliency, and adaptation to life at school. Ego-resilient scale that was used to evaluate ego-resiliency in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Eun Hee Park(1996) based on the underlying research conducted by O’Connell-Higgins(1982) and Block &Kremen(1996), and which since then, has been revised by Jee Yeon Shin(2004). In evaluating the students’adaptation to school life, a studying-motive scale that has previously been used in a normative study by Ah Young Kim(2002) was used. To evalu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A program called SPSS (ver.19) has been utilized as a screening tool, for information collection, as well as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or independent sample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used throughout the study as need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according to procedures previously described. First of al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n their ego-resiliency according to t-test(p.<01). Participants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s found to have higher ego-resiliency compared to non-participant group. Secondly,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n thei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according to t-test(p.<01). Participants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s found to adapt better to school life compared to non-participant group. Thirdly,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ego-resiliency in between groups of different sex and age. Male students had slightly lower ego-resiliency compared to female students.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had slightly higher ego-resiliency than first-year and third-year students while the third-year students had higher ego-resiliency than the first-year students insignificantly. Fourthly,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bility in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in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their similar sex and age. Male students had slightly less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compared to female students. Also, second-year students had slightly bette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than first-year and third-year students while third-year student had better ability to adapt than first-year insignificantly. Fifthly, it was observ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y and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students in the program with higher ego-resiliency adapted to school life better. Additionally according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higher ego-resiliency was confirmed to be directly related to better adaptability of students to school life. Sixthly, the result of the two open-end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was that 91% of the students had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program in terms of education, emotion, and policy. On the other hand, 22%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n improvement with regards to the facility, of the class, and variety within the program.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result in beneficial outcomes. Through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students develop an ego-resiliency based on the positive aspects of music, such as its energy and its ability to stabilize emotions. Furthermore, it can lead to better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e students. Therefor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should be viewed to be more than just a simple after-school activity; it is an opportunity for new, effectiv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effects of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s theoretically expected to contribute to finding new methods about effectively controlling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y improving their ego-resiliency, as well as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hrough the program.;이 연구는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된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의 참여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와 관계성을 규명함으로써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참여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그리고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지 개방형 문항을 통하여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이 느끼고 있는 다양한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A중학교, 경기도에 소재한 B중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모집하여 2014년 4월에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A중학교에서 참여 집단 20명, 미참여 집단 20명이 참여하고 B중학교는 참여 집단 71명, 미참여 집단 90명이 참여함으로써 총 201부의 설문지가 이 연구 결과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연구 도구는 박은희(1996)가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신지연(2004)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아영(2002)이 ‘학업 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검사도구 및 수집된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는 SPSS ver. 19 프로그램이 사용되었고 연구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한 중학생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한 중학생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의 76.7%를 설명함을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2개의 개방형 질문을 통해 교육에 참여하며 느낀 장점 및 긍정적 영향과 단점 및 보완점에 대하여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질적 분석한 결과 참여 학생 중 91%가 교육적·정서적·정책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고하였다. 반면, 단점 및 보완점의 경우 22%의 학생들만이 열악한 시설, 수업시간 부족,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재 등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국가의 중요 정책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의 교육적 효과와 영향력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은 인간이 음악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활력과 정서적 안정 등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지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며 이는 학교생활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이 단순한 예체능 교육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 효과에 집중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교육의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의 전문적인 프로그램 및 교수법 개발에 기여하고, 신체적·심리적으로 혼란을 겪는 중학생들이 음악 교육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을 신장하여 보다 원활하게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모색을 위한 이론적 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