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종선-
dc.contributor.author박은진-
dc.creator박은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2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28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플루트 앙상블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사회성 함양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지도안의 개발, 효과 검증, 의미 분석의 총 세 단계 연구 내용을 구상하여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플루트 앙상블 수업지도안 8차시를 개발하였고, 지도안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4주 동안 각각 다른 교수학습 방법의 플루트 수업을 진행하여 사회성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의미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의 활동지 분석으로 수업을 경험한 후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수업지도안의 개발은 2014년 1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 동안 진행하였으며, 협동학습 LT모형의 기본절차를 초등학생의 플루트 앙상블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예비수업과 5인의 전문가 검증을 통해 최종 지도안을 완성하였다. 수업지도안의 효과 검증 단계는 2014년 1월부터 6월까지 수업 준비와 적용, 정리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자가 현재 출강하고 있는 서울시 용산구 S초등학교 방과 후 플루트 반의 3∼6학년 학생 18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서울시 서대문구 D초등학교 방과 후 플루트 반의 3∼6학년 학생 15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사전-사후 통제 집단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이성현(1997)과 오경준(2000)의 사회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사회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 4주 동안 실험집단에게는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플루트 앙상블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일반적인 플루트 수업을 진행하여 사전과 사후에 확보한 사회성 검사 결과를 통계처리 함으로써 수업 지도안의 사회성 향상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활동지 분석을 통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 플루트 앙상블 수업을 통한 긍정적 교육 효과와 보완해야 할 점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LT모형을 초등학생의 플루트 앙상블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3∼6학년의 음악 발달 단계를 고려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전 준비단계 설정하여 수업 중 세부 절차 간소화하였고 학생들에게 음악적 세부 역할 지정을 지정하였으며 마지막 차시에 음악회를 기획하여 학습 성취도 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 지도안의 효과 검증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사회성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사회성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협동학습 LT모형의 플루트 앙상블 수업이 초등학생의 협동성, 준법성, 자주성, 책임감, 근면성, 사교성을 포함한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고, 이로써 연구대상의 범위가 좁았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는 사실에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셋째, 실험집단의 활동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서로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히 일어나고 학습 결과물의 완성도가 높을 때 협동이 잘 이루어졌다고 인식하며, 일반적인 개별 학습의 플루트 수업에 비해 협동학습 LT모형의 플루트 앙상블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진술을 종합하여 협동학습 LT모형의 플루트 앙상블 수업이 사회성 향상과 수업 태도의 개선, 그리고 음악 학습 성취도 향상 측면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질적으로 구성된 모둠 원들이 공동의 과제를 달성하는 과정에 있어 학습자 별 개인 수준 차이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났고, 이에 대한 보안 책으로 연구자는 학습 수준이 높은 학생에게는 비브라토나 복식 호흡법 등의 고급 기술을 지도하여 흥미를 잃지 않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구상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는 학습자의 음악 발달 단계와 학습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제재곡을 신중하게 선정하여 학습자의 관심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는 사실을 자각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출강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수가 한정적이고, 방과 후 학교 플루트 수업 내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학생 수의 범위가 제한되어있다는 현실적 상황에 의해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진행하였다. 양적 연구를 진행하기에 다소 적은 범위의 인원수로 연구를 진행하였음에도 사회성 향상에 있어 수업지도안의 효과가 검증된 것은 무엇보다 음악이라는 매개체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보며, 음악교과에서 협동학습의 의의를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 음악에서의 협동학습 LT모형 연구와 초등 플루트 앙상블 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이 연구가 초등학생의 플루트 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lesson plan for a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applied flute ensemble", apply it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and thus test its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ity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n eight-hour lesson plan for a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applied flute ensemble and completed a final version by having it verified for content validity by five experts and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based on the results. A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ere selected whose homogeneity was tested between them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 Changes to the sociality of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receiving common flute lessons and the experiment group receiving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based flute ensemble lessons for four weeks. In addition, the worksheets filled out by the experiment group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meanings of cooperative learning-based flute ensemble lessons. Research questions were constructed in total three stages involving developing a lesson plan, testing its effects through its application, and analyzing the meanings of experiences through lessons. A lesson plan was developed from January to March, 2014, reorganized to be fit for flute ensemble less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basic procedure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ompleted in a final version through preliminary lessons and expert verification. Lesson preparation, application, and arrangement proceeded in the order from January to June, 2014 according to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o test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 As for the subjects, the experiment group included 18 students in the third to sixth grade from the flute class in the afterschool program at S Elementary School in Yongsan-gu, Seoul(Korea), and the control group did 15 students in the third to sixth grade from the flute class in the afterschool program at D Elementary School in Seodaemun-gu, Seoul(Korea). The two groups were tested for homogeneity. Both groups took a test to measure their sociality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demonstration classes.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 were tested by comparing the pretest-posttest results after a four-week period during which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s received common flute lessons and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based flute ensemble lessons, respectively. Employed in the study to test sociality were the scale developed by Lee Seong-hyeon(1997) and the scale developed by Oh Gyeong-jun(2000). Based on the two scales, the investigator defined the subelements of sociality as diligence, cooperativeness, independence, sociability, responsibility, and law abidance. Measurement results were put to computational treatment with the SPSS Ver.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urthermore, the worksheet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lesson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The test results of the lesson plan for a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applied flute ensemble develop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d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based flute ensemble lessons, increased their sociality scores on both the scale of Lee Seong-hyeon and the scale of Oh Gyeong-jun after the lesson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ociality scores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common flute lessons, both on the scale of Lee Seong-hyeon and the scale of Oh Gyeong-jun. Tho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based flute ensemble less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including cooperativeness, law abidance, independence, responsibility, diligence, and soci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iment group's worksheets show that the students' active communication within the group and perceived good cooperative learning in case of high completion-level learning results and exhibited positive responses to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based flute ensemble lessons compared with common individual learning-based flute lessons. The student statements indicate that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based flute ensemble lessons were effective for increasing sociality, improving the attitude toward lessons, and enhancing musical learning achievement. Finally, That lessons should be designed to induce as much interest as possible from the students was realized by accurately figuring out their musical development stages and learning levels and carefully selecting pieces appropriate for them.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8 and 15 students, respectively. Due to the realistic situation in which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where the investigator was teaching was restrict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able to take flute lessons after school was limited. The study is significant in a way which it demonstrated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 on sociality enhancement in spite of a rather small number of subjects for a quantitative research. The study proposed that follow-up study should secure a student group of wider scope. In addition, the infinite applicabilit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 to instrument less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ds to an expectation for diverse researches on the topic.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lut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3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협동학습 7 B. 초등 기악교육 17 C. 사회성 23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 대상 26 B. 연구 설계 28 C. 연구 절차 29 D. 측정 도구 32 E. 수업 적용과 지도안 개발 35 F. 자료 분석 방법 48 Ⅳ. 연구 결과 49 A. 수업 지도안 개발의 적합성 49 B. 지도안에 따른 효과 검증 55 C. 수업을 통한 경험의 의미 분석 62 Ⅴ. 결론 및 제언 67 참고문헌 70 부록 73 ABSTRACT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15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플루트 앙상블 수업이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생 3∼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LT Model-Applied Flute Ensemble Lesson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 With a focu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to sixth grade-
dc.creator.othernamePark, Eun jin-
dc.format.pagex,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