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탈북 학생의 과학 수업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탈북 학생의 과학 수업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탈북 학생의 과학 수업 참여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탈북 학생을 대상으로 한 A 대안학교에서 과학 수업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과학 수업은 2013년도 2학기에 총 16차시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고등학교 3학년 과정의 16명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면담 내용은 녹화 및 녹음 후 전사했으며, 매 수업 차시마다 학생들의 모습을 관찰한 관찰 일지와 교사의 수업 반성일지가 작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북 학생들의 과학 수업 참여 양상은 경험을 통한 ‘관여’로 시작되었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수업 밖의 경험을 이야기하거나, 수업 내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체험함으로써 과학 수업에 관여한다. 그 후, 이러한 관여가 ‘의미 있는 참여’로 이어지는데, 이 과정은 두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생각, 그리고 수업 내 활동을 단지 주제의 개념이 아닌 맥락이 상황으로 구성해가는 ‘맥락화’참여 양상을 보인다. 또한 맥락화 된 상황을 과학 개념과 연결시켜, 자신이 갖고 있던 추상적인 생각을 구체적인 개념으로 형성해나가는 ‘개념화’참여 양상을 보인다. 이 때, 맥락화 단계는 교사가 제시하는 맥락적 사례에 의해 촉진되며, 개념화 단계는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질문과 비유적 상황 제시를 통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탈북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생각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사고 과정과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주는 과학 수업에 더욱 의미 있는 참여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갖춘 과학 수업에서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지닌 탈북 학생들이 모두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나아가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함께 하는 과학 수업에서 학습을 참여로 보는 상황학습이론의 관점이 통합 수업의 중요한 열쇠임을 시사해준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defected students’ science class participa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Science clas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efected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Science class was composed of 16 session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3, and 16 3rd year high school students attended them. All classes and interviews were recorded then transcribed, and daily log of students’behaviors and teachers’class reflection were composed.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defected students’ science class participation started with “entrance” through experience. In this stage, the students talk about experiences outside the class and engage in in-class activities, and enter the science class. Afterwards, such entrance continues on to “significant participation”, and this process progresses in two stages. First, students “contextualize” their experiences thoughts by constituting a situation with context instead of just the subject of an activity. Moreover, as they link contextualized situation with scientific concept, they develop abstract thought into concrete though, and “conceptualize”. Contextualizing sage is promoted by contextual examples presented by the teacher and conceptualizing stage becomes more active with the teacher’s questions that induce students’ thinking and figurativ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he students are utilized actively and they represent more significant participation in thought process and science class that promotes interaction. Furthermore, in such science class, all defected students who have variable learning experience are able to have significant participation. This further implies that the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theory is an important key to establish the combined science class of students to have variabl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