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예비 국어교사의 품사수업 실행에 대한 성찰적 연구

Title
예비 국어교사의 품사수업 실행에 대한 성찰적 연구
Other Titles
A reflective study on Implementing classes about the nine parts of speech by a preliminary teacher
Authors
조인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about experiences of educational growth of a preliminary teacher. This study describes what is the dilemma which a preliminary korean teacher experiences during a teaching practice and how she overcomes them. Besides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that a preliminary teacher plans and implements classes about the nine parts of speech and finds required qualification and ability for a korean teacher which a preliminary teacher realize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is firstly to know that how a preliminary korean teacher plans and implements classes about the nine parts of speech and what is the professionality for teaching korean. Secondly, to know that what is the difficulties and dilemma which a preliminary teacher expediences and what is the required qualification for a teacher. For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a lot of records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 conversation records with other teachers and students are collected and analysis. Especially, when a preliminary teacher teaches classes, all processes from planing to introspection of classes are provided concretely in third chapter. She researched on level of interesting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about the mine parts of speech and selected the method of teaching which is regarded as the best wa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lass. Besides she applied and modified the way of teaching for the condition of the students and the school and designed teaching material and organized the students groups regarding the level of students. Moreover, she did self-examination after teaching classes and compensated the defect of her teaching consistently. the all processes from planing to introspection classes are described in the third chapter after that the required qualification and ability for a teacher are provided in the forth chapter which the preliminary teacher realized during th teaching practice. For a preliminary teacher, a teaching practice is a very important experience because a preliminary teacher can contemplate being a teacher, certificate abilities as a teacher and predict being a teacher during a teaching practice. Moreover, a teaching practice is on the way which becomes a teacher from a students so a preliminary teacher has a complex identity. In other words, a teaching practice is a very valuable and confuse experience. This study concretely describes and recasts a teaching practice and shows what the preliminary korean teacher experienced and realized during a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when the preliminary teacher designed, prepared classes and teached students, this study contains what unexpected problems came up and how the preliminary teacher deal with the problems. This study not only gives the preliminary teacher an opportunity for self-examination and growth and nourishment to widen appreciation and viewpoint but also gives an opportunity to see the difficulties and dilemma which a preliminary teachers have when they encounter the spot of education. This study can be a valuable data for understanding growth of future teachers and improve a teaching practice process.;본 연구는 한 국어과 예비 교사의 성장 체험을 다룬 질적 연구이다. 국어과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동안에 겪는 딜레마와 어려움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였는지를 기술한다. 또한, 실제로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품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그 과정을 통해서 예비 교사가 깨달은 국어 교사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국어 교사가 품사 수업을 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과 절차를 거쳤으며 그 과정 속에서 요구된 국어 교사의 전문성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둘째,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동안에 어떠한 딜레마와 어려움을 겪고 어떻게 극복하였으며 그 과정 속에서 교사로서의 자질 중 어떤 것을 깨닫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교육 실습 경험을 상세히 기록한 일지와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나 학습자와 실제 나눈 대화를 적은 담화 록과 인터뷰 자료들을 다각적으로 수집하여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예비 교사가 실제로 수업을 하게 되었을 때 수업의 구상단계와 수업 후 성찰까지를 Ⅲ장에서 각 단계별로 자세히 담았다. 여기에는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품사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를 조사한 내용과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품사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모색하고 기준에 따라 선택하는 과정 등이 자세히 나타나 있다. 또한, 수업 모형을 결정한 후에 이를 각각 학습자 수준과 학교의 상황에 맞도록 적용하고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과정과 학습자들의 학업능력과 태도를 고려하여 모둠을 구성하는 과정 등이 매우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또한, 수업 후에 성찰과 평가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수업 모형과 방식을 보완하여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나타나 있다. 이렇게 Ⅲ장에서 수업 과정의 전반을 기술한 후 그러한 과정을 통해 예비 국어 교사가 깨달은 바람직한 교사로서의 자질과 태도가 Ⅳ장에 제시된다. 예비 교사에게 교육 실습은 교사가 되는 것에 대해 주체적으로 반성을 하고 교사로서 자신의 능력을 반추해보고 교사로서의 삶이라는 자신의 미래를 예측해 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경험이다. 또한, 학생의 정체성을 벗고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불확실하고 복합적인 정체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보자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매우 소중하고 복합적인 경험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예비 교사로서의 연구자의 교육 실습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연구자의 기록을 거슬러 가면서 재구성해봄으로써, 연구자가 예비교사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를 통해 어떠한 깨달음을 얻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연구자가 국어 교사로서 실제로 수업을 하기 위해 수업을 구상하고 준비하는 과정과 실제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예기치 않게 생겨나는 대내외적 문제점들과 이러한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으며 그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본 연구는 연구자에게 자기 성찰과 발전의 기회를 주고 교사가 갖추어야 할 안목과 시각을 확장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교라는 실제 교육 현장을 대면한 예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미래의 교사들의 내면적 성장 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동시에 교육 실습 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