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4 Download: 0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전 활동’의 양상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전 활동’의 양상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sp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nd improvement plan
Authors
정재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읽기 전 활동의 특징과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읽기 전 활동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국어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과서는 중요한 학습의 도구이며 읽기 전 활동은 단원의 내용을 학습할 때 학습자들이 가장 먼저 접하는 부분이다. 학습자는 읽기 전 활동을 수행하면서 앞으로 학습할 내용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갖게 된다. 또한 읽기 전 활동이 잘 구성되었느냐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도 및 학업의 성취도는 달라질 수 있다. 이전의 읽기 과정에 대한 연구 중에서 읽기 전 활동에 대한 부분의 연구는 매우 미진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따른 읽기 전 활동을 점검하고, 학습에 효과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1차에서 7차까지의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된 국정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들을 살펴보고, 역사적 변천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국정에서 검인정 체제로 바뀌면서 도입된 다양한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을 비교해보고, 각 활동들의 공통된 특징과 특징적인 유형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연구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은 3차 교육과정부터 해당 단원에 대한 안내가 등장하면서 처음으로 나타났다. 6차 교육과정을 반영한 『국어』 교과서부터는 읽기 전 활동이 이전보다 다양해졌다. 이때부터 ‘단원의 길잡이’, ‘학습목표’, ‘준비학습’, ‘학습할 원리’의 내용으로 읽기 전 활동이 구성되었다. 7차 교육과정부터는 소단원을 중심으로 한 읽기 전 활동이 등장하였고, 교과서가 컬러화 되며 삽화 등의 매체를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역사적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검정 시기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읽기 전 활동 양상을 각 체제상 특징, 내용상 특징, 주요 활동 매체 등의 기준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교과서에 이러한 특성이 어느 정도로 나타나느냐에 따라 ‘매우 강함 +++, 강함 ++, 보통 +, 없음 0’의 네 가지의 척도로 분류하여 강도의 차이를 두었다. 그 결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에는 ‘단원에 대한 안내 제시’와 ‘학습목표 명시’, ‘활동 중심 강화’, ‘텍스트 매체 활용 중심’이 공통된 특징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읽기 전 활동의 유형은 크게 단원에서 읽기 전 활동의 구성 위치, 읽기 전 활동의 내용 및 전략, 매체 활용 양상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다. 읽기 전 활동의 구성 위치는 ‘대단원 활동 중심 유형’과 ‘소단원 활동 중심 유형’, ‘대단원 활동과 소단원 활동의 혼합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읽기 전 활동의 내용과 사용 전략에 따라서는 ‘학습목표 성취 강화 유형’과 ‘제재 이해 중심 유형’의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매체의 경우 사용된 종류에 따라 ‘삽화 중심 유형’과 ‘사진 및 기타 매체의 활용 유형’으로 분류하여 세부 내용을 살펴보았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단원에 대한 안내 제시’와 ‘학습목표 명시’, ‘활동 중심 강화’, ‘텍스트 매체 활용 강화’가 기존의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공통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거기에 새로운 공통 특징으로 ‘소단원 활동 중심 강화’와 ‘사전 지식 제공 강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 유형을 ‘학습목표 성취 강화 유형’과 ‘제재 이해 중심 유형’, ‘삽화와 만화 매체 활용 유형’, ‘사진 및 기타 매체의 활용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세부적인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검정 시기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읽기 전 활동 양상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읽기 전 활동을 검토한 결과 의도나 배치, 구성, 매체 활용 등에서 적절하지 못한 부분들이 드러났다. 따라서 읽기 전 활동의 개선 방안으로 ‘학습목표 명시 체계화’, ‘단원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활동’, ‘읽기 전 활동의 모호성 보완’, ‘다양한 읽기 전 활동 전략 사용’, ‘말하기·쓰기에 국한되지 않은 활동’, ‘다양한 매체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읽기 전 활동이 제대로 구성된 예문이나 자료를 통해 읽기 전 활동의 개선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읽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읽기 전 활동이 효과적으로 구성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based on this,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the prereading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s first the pattern of historical changes in prereading activities in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from the 1st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study analyzes prereading activities in various authorized textbooks wi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based on this, classifie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prereading activities in the authorized textbooks. Asp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t time of the official approval are analyzed by each characteristic of system, content features, and the main activity media. Also, all asp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are examined by dividing the intensity difference into four levels 'very strong +++, strong ++, moderate +, no 0' depending on how much they comprise in the textbook.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 first appeared with a guide to each chapter from the 3rd Educational Curriculum. A variety of prereading activities started from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y included ' guiding text unit ', 'learning objectives', 'preparation learning', and 'learning principles'. Entering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prereading activities with a focus on small units appeared, and as the textbook became colorful, it started to use illustrations in prereading activities.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ave common characteristics of 'explicit learning objectives', 'enhance activity-oriented' and 'utilize text media-oriented'. In addition, the study divides the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 into 'big unit activities centered type', 'small unit activities centered type', and 'mixed type of big unit and small unit' depending on where the prereading activities are configured. And,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prereading activities, the study divides them into 'type of enhancing the learning objective achievement' and 'type of understanding the materials', and examines what kind of strategies used to organize the activity. It also divides them into 'illustration-oriented type' and 'type of utilizing picture and other media' depending on what kind of media the text books use other than text.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ccording to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had common characteristics of 'guide to the unit', 'explicit learning objectives', 'enhance activity-oriented' and 'utilize text media-oriented' same as the previous textbooks. There is a new common characteristic of 'enhance small unit activities' and 'enhance preliminary knowledge'. And the study divides the prereading activities in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y 'type of enhancing the learning objective achievement', 'type of understanding the materials', 'type of utilizing illustration and cartoons', and 'type of utilizing pictures and other media'. This paper, by analyzing the asp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y the time of each Educational Curriculum, suggests six improvement plans for prereading activities; ‘systemize clear statement of learning objectives’, ‘activity to embrace all units’, ‘supplement the ambiguity of prereading activities’, ‘use a variety of strategies for prereading activities’, ‘activity is not limited to speaking and writing’ and ‘utilize various media’. Prereading activities are the first part that learners meet when they study each unit. The learners' understanding may vary depending on how well these activities are organized and motivate the learners. Therefore, prereading activiti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in learning. However, the research on these prereading activities is the most insufficient area in the research on reading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historical changes and asp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from the time when they first appeared in textbooks to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prereading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