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Title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mplementing Learner-center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uthors
전민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 운영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습자를 고려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을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지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동일하다. 그러나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목적, 목표와 특성화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성향, 특성은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르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특정 분야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적성과 소질을 살리기 위해 등장한 학교 유형이다. 이곳에 진학한 학습자들은 전문 교과와 인문 교과로 이원화된 교육을 통해 직업 생활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 기능, 태도 등을 배우게 된다. 따라서 특성화 고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해 살피는 것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자들에게 보다 적절한 교육과정을 모색하는 데 토대가 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국어과 교육과정의 요인을 문서화된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 교사 요인, 학습자 요인, 교과서 및 교재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교육과정이 실현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각 2개교, 총 6개 특성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문헌 분석, 설문조사,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자 중 취업자 2명, 진학자 2명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서화된 교육과정에서 직업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 교과의 편제 및 시수가 강화되었다. 학교 교육과정도 그에 맞춰 보통 교과에 속하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시수를 축소하였으며, 특정 학년이나 학기에 편중하여 운영하는 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학교 특성 상 3학년의 경우에는 전문 교과 실습과 취업을 나가기 때문에 실제 수업이 진행되기 어려우나 시수가 배정되어 있어 문제가 된다. 교사의 대부분은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해 준비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는 특성화고 학습자에 대해서 기초 학력 수준이나 동기와 흥미, 의욕, 학업 성취도, 국어 교과의 필요성 인식 등이 일반 고등학교 학습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답하였다.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이러한 판단은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수업 방식을 결정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교사는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거나 바꾸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재구성에 대한 경험 부족이나 업무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습자의 경우에는 중학교 때부터 대부분 보통 교과의 능력이 하위권인 학생들이 많았다. 그러다 보니 교과에 대한 자신감이나 의욕이 부족한 편이고, 국어 교과의 학습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습자들은 학교에서 받는 국어 수업 이외에는 다른 방법을 통해 국어 교육을 받거나 공부하고 있는 경우가 극히 적었다. 결국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보다 수업의 영향이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수업시간에서 국어 내용이나 능력을 골고루 가르치지 않는다면 이를 보충할 수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특성화 고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했을 때 특성화 고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 능력,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조사의 결과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경력교사 및 학습자에 대한 요구 분석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이 교육과정을 접하는 매개체인 교과서는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을 반영하여 직접적으로 필요한 지식, 능력, 태도 등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 교육과정 실행의 중요 주체 중 하나인 교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개별 학습자와 학교별 상황에 따라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이를 교사가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때,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opera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consider directions of improvement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have the same Korean language curriculum. However, learning objectives and goal, the learners’ dispositions and characteristic of specialized high school are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is established to nurture students’ specific aptitude and talent in their field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learn the pract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professional life through the specialized subjects and humanities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 can be a meaningful work, which provides a solid foundation for seeking a more appropriate curriculum for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factor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categorized into the documented curriculum and the school curriculum, teacher factors and leaner factors, and textbooks and materials factors. Also, it order to examine the aspects of fulfilling the curriculum in practice,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targeting two high schools from each province of Seoul, Inchoen, and Gyeonggi, total six specialized schools. In addition,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people who got a job, and two people who went to a university among the gradu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rganization and the number of specialized subjects have been reinforced in the documented curriculum to strengthen job competencies. Corresponding to this,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belongs to the general subject, has been reduced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re has been a footing for the operation too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year or semester. Moreover, even through the third year students have to take practical training and get employed on the characteristic of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do not allow them to take class in actuality, instructional hours for Korean language are still assigned. Most of the teachers were working not ready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y also said that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how a lower level in basic academic standard, motivation, interest, study achievement, and necessity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pared to that of general high school. This judgment affects the teacher’s decision in terms of the curriculum and contents, and a teaching method as well. Although they are trying to re-organize or modify the content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students, they still have a hard time in these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of re-organizing or their work burden. In the case of students, most of them had remained in the lower ranks in general subjects since their middle school, so they lacked confidence, motivation, and necessity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subject. In addition, it was very rare for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o study or rece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other means other than the class at school. After all, Korean language class at school has more effect on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an those who are in general high school. If they are not taught Korean contents and ability from the classroom at school, it is rare for them to supplement this education. Therefo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hould be configured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 is student-oriented.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results of basic research on the students’ level,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analysis about experienced teachers and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extbook, which is a medium to learn the curriculum, also needs to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directly the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level. Even i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national level are developed, teacher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need t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experience, and abilit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in order to operate class for individual students and a certain circumstance of the school. When the suitable curriculum for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is developed and the teachers operate it flexibly,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ill be properly real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