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문학 과목의 자아 성찰 교육 내용 연구

Title
문학 과목의 자아 성찰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content of education for self-examination in literature course : Focused on material and learning activity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
Authors
김민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고는 문학을 지식 위주로 교육하는 데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문학을 학습자의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학습자의 자아 성찰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을 연구하였다. 문학의 본질이 성찰에 있다고 한다면 이에 맞는 문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14년부터 고등학교에서는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과목에서는 ‘문학과 삶’을 강조하며 ‘문학을 통한 자아 성찰’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교과서를 대상으로 ‘자아 성찰’교육 구현 양상과 방향을 연구하였다. 대상 교과서는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서이다. Ⅱ장 A절에서는 문학교육에서의 성찰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 성찰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성찰이 문학교육에서 구체화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청소년기 학습자 특성을 살펴보며 성찰의 문학교육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B절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위한 전제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자아 성찰 성취기준이 구현된 단원에 궁극적으로 자아 성찰을 교육 목표로 하는 주 제재와 그에 따른 학습 활동을 살펴보았다. 수록 제재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텍스트 내용을 기준으로 하여 ‘자기 응시를 통한 내면의 성찰’, ‘타인 이해를 통한 더불어 사는 삶 추구’, ‘깨달음을 통한 삶의 자세 확립’, ‘가치 발견을 통한 희망 지향’으로 구분하였다. 중심 활동을 기준으로 하여 학습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텍스트 이해의 활동’, ‘학습자 성찰의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Ⅲ장에서 제재와 학습 활동의 양상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Ⅳ장에서는 제재 및 학습 활동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제재 선정의 방향으로는 ‘청소년 인간 관계 성찰에 적합한 텍스트 선정’, ‘가치관 형성 위한 내용의 긍정성 강화’, ‘공감 위한 상황의 유사성 확대’를 제안하였다. 학습 활동의 방향으로는 ‘동일시 위한 등장인물 되어보기 활동의 강화’, ‘자기화 위한 표현하기 활동의 다양화’, ‘경험의 확장 위한 대화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문학교육이 문학을 자신의 삶에서 향유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면 문학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는 것은 기본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고 여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사춘기, 불안정한 자아 형성의 시기로 정의할 수 있는 청소년기 학습자에게 문학이 조금이나마 위안과 이정표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paper has been studied for literature education about self-examination that including enjoyable and significant life for learners. Many contents for ‘self-examination through literature’ are presented in education process of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2011). This paper has been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educational aspect by materializing self-examination and eligible study. This Study is in accordance with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2011) that contains textbook about ‘literature’. The Introspec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is considered in Chapter 2. I studied not only specific aspect of materializa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but also conceptual and structural system for self-examination. And we can understand the learning property of most students. By doing so, examine behavior patterns of adolescents related to literature education shall be investigated. Second, the basic premise for textbook analysis is suggested in this thesis. The chapter 3 is mainly on material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of self-examination and interrelated activities. In order to survey the aspect of material, 4 categorie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contents of a text. ‘Inner introspection through self-contemplation', ‘life with our neighbors by understanding others', ‘wisdom learned through exemplary life', ‘discover the value and desire’. I studied diverse asp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the basis of main activity. ‘Understanding of text comprehension', ‘Activity for learner's introspection' a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Chapter 4, the material and learning activities for various directions are considered. The direction for choosing material is divided into 3 categories. ‘Selection of text for self-examination in adolescence that related to human relationship', ‘Enhancing positive mind and values', ‘Expansion about similarity for bond of sympathy'. As a learning activity, these 3 categories are suggested. ‘Identifying with the protagonist’s character in literature', ‘Diversity for expression', ‘Activated conversation for many experiences'. If learner lives in harmony with enjoyable mind in accordance with right literature, he(or she) can form sense of value rightly. Thereby, literature education shall be developed positively for a long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