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해외수용자의 케이팝(K-pop) 문화적 근접성 인식정도가 케이팝 이미지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itle
해외수용자의 케이팝(K-pop) 문화적 근접성 인식정도가 케이팝 이미지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How Korean popular music(K-Pop)'s cultural proximity influences oversea audience's evaluation of K-Pop's image and South Korea's national image: The Degree of Familiarity factor about K-Pop
Authors
XIE, WEN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희원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적 근접성의 관점에 근거하여 케이팝 음악의 문화적 근접성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이런 문화적 근접성으로 인해 해외 수용자들이 케이팝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케이팝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같이 살펴보았다. 또한 이 논문에서 아시아권과 서구권 수용자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두고 문화권 간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연구에서 케이팝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을 찾아내기 위해서 18개 항목을 개발하였다. 이 18개 항목을 통해서 케이팝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을 측정하였다.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따라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 인식이 달라질 수 있으니 연구대상은 아시아권 수용자와 서구권 수용자 두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설문조사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4년 5월 10일부터 24일까지 총 14일이었고, 총 45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아시아권은 300부, 서구권은 151부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 케이팝 이미지, 한국 국가이미지 간의 의미 있는 인과 관계를 찾아내고, 케이팝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 1>은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은 아시아권과 서구권이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이다. 요인분석결과, 아시아권과 서구권의 차이가 나타났다. 아시아권에서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이 4개 차원으로 구성하며 서구권에서 5개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원인을 살펴보면 아시아권에서 가수외모와 가수의 이미지가 같은 요인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서구권에서 가수외모와 가수의 이미지가 다른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구권 수용자들이 가수외모에 대한 근접성이 아시아권 수용자보다 활씬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수의 이미지에 대한 근접서이 아시아권 수용자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은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이 케이팝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검증결과에 의해보면 아시아권과 서구권에서 모두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이 케이팝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아시아권이 서구권보다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이 케이팝 이미지에 더 많은 영항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시아권에서 통제변인 중에 수입, 한국친숙도, 미디어 이용 변인이 케이팝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친숙도와 미디어 이용이 높을수록 아시아 수용자가 케이팝 이미지를 더 좋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수입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용자의 수입이 낮을수록 케이팝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서구권 수용자인 경우, 통제변인 중에 성별과 미디어 이용 변인이 케이팝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권 수용자들이 남성보다 여성이 케이팝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디어 이용이 높을수록 케이팝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문제 3>는 케이팝 근접성 인식이 케이팝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아시아권과 서구권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아시아권에서 케이팝 문화적 근접성의 4개 차원이 모두 케이팝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서구권에서는 케이팝 문화적 근접성의 5개 차원에서 가수외모, 가치관 차원이 케이팝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의해 전체적으로 케이팝 문화적 근접성 요소는 서구권 수용자보다 아시아권 수용자가 더 강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케이팝 이미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시아권과 서구권에서 모두 음악스타일과 댄스장르에 대한 근접성이 케이팝의 차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케이팝 음악과 서구 팝음악의 음악스타일과 댄스장르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아시아권과 서구권에서 모두 패션과 가치관이 케이팝의 인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즉 케이팝 가수의 바른 예의, 동양적 가치관으로 인해 해외수용자들이 케이팝 가수의 인간성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케이팝이 아시아권 수용자를 만족시키는 데 가수의 패션과 가치관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즉 아시아권 수용자들이 케이팝 가수의 패션과 동양적 가치관에 대해서 만족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사구권의 수용자가 가수 이미지의 귀여움, 청순함, 섹시함에 대해서 만족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문제 4>은 케이팝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아시아권과 서구권의 수용자가 모두 케이팝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한국 국가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아시아권에서 케이팝 이미지의 하부 차원인 가수외모, 음악 실력과 수준, 인간성, 전체적 이미지 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차별성 차원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권에서 케이팝 이미지 5차원 중에 차별성이 한국 국가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변인들이 모두 한국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시아권에서 케이팝 이미지가 한국 국가이미지의 6개 차원 즉 정치 이미지, 경제 이미지, 기술 이미지, 문화 이미지, 국민성 이미지, 국민스타일 이미지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서구권에서 케이팝 이미지가 한국의 정치 이미지, 경제 이미지, 문화 이미지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5>에서 제시된 것에 따라 케이팝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과 한국 국가이미지의 관계에서 케이팝 이미지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효과로 확인되었다. 즉 케이팝의 문화적 근접성이 직접 한국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반드시 케이팝 이미지를 통해서 한국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화적 근접성의 개념은 특히 드라마 같은 문화영상물의 해외유통에 대한 연구에서 많이 적용한다. 하지만 드라마치고 문화적 근접성 개념을 다른 문화영상물에 적용하는 연구가 별로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처음에 한국 대중음악인 케이팝 음악의 해외유통에 있어서 문화적 근접성의 작용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 케이팝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 인식이 많을수록 케이팝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실을 찾아냈다. 또한 케이팝 이미지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케이팝 문화적 근접성과 한국 국가이미지의 관계에서 케이팝 이미지가 완전 매개효과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향후에 한국이 케이팝 음악이라는 문화적 콘텐츠를 통해 국가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Korean popular music(K-Pop)'s cultural proximity factors and how the factors influence oversea audience's evaluation of K-Pop's image and South Korea's national image. Firstly, this study analyzed how differently the K-Pop's cultural proximity factors come out between Asian and Western audience. Secondly, it researched how K-Pop's cultural proximity factors influence the evaluation of K-Pop's image and what is different between Asian and Western audience. Thirdly,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 evaluation of K-Pop's image hav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mage. Furthermore, it researched mediation effect, K-Pop's image as a mediating variable to specify the process of how K-Pop's cultural proximity would have effect on South Korea's national image. Based on the survey, the factors of K-Pop's cultural proximity between Asian and Western audience came out differently. As a factor of K-Pop's cultural proximity, singers’appearance was considered as the same factor with singers’ image in Asian audience. But in Western audience, singers’ appearance was not considered as the same factor with singers’ image, they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K-Pop’s cultural proximity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evaluation of K-Pop’s image both in Asian and Western audience. Moreover, K-Pop’s cultural proximity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 on evaluation of K-Pop’s image and the influence was stronger among Asian audience than among Western audience. This research also has take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evaluation of K-Pop’s image has effect on evalu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mage. As a result, evaluation of K-Pop’s image had significant effect on evalu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mage both in Asian and Western audience. In another word, more positive the evaluation of K-Pop’s image is, the higher evalu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mage becomes. Moreover this influence was stronger among Asian audience than among Western audience. Based on this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mediation effect of K-Pop’s image between K-Pop’s cultural proximity and South Korea’s national image was to be investigated. As a result, both in Asian and Western audience, K-Pop’s image was an effective mediator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 process that K-Pop’s cultural proximity affected South Korea’s national image. This study found out that K-Pop’s cultural proximity is a variable affects evaluation of K-Pop’s image and also proved that K-Pop’s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valu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mage. Furthermore, this research gave an implication that cultural proximity is still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cultural products’ oversea output. And cultural products which represent a part of the countr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valuation of the country’s image among oversea audi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