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김신아-
dc.creator김신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6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641-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related studies, the higher the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with high self-determination, the more competent in coping behavior and the higher in academic achievement, intrinsic motiva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this respect, it is highly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ince parents and teachers greatly affec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as a meaningful existence, changes can occur to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parents and teachers. If factors that improve self-determination can be found, behaviors of students with low self-determination can be chang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Thus, this study selected the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a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students after considering precedent researches. It also classified the above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in school achievement on the basis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aims to identify factors can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y group. To achieve this, it established three research problems and conducted studies on them. Firstly, it examined whether the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students affects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students. Secondly, it identifi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etween the above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Lastly, it identifi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between the above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Data analyz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is the second year data of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above and below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average of student’ scholastic achievement scores, and 3,000 student are in the above average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and 2,941 students are in the below average group. Summary of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support of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in the order of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and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has a negative effect on in the order of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The support of tea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 in the order of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 in the order of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Secondly, the study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with the below average group as a referent group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above average group has higher values in the support of parent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the support of teachers,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than the below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has higher values in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than the above average group. And as for the estimation of effect size,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he support of parents have the effect in the middle size level, and the rest of factors have small size effects. Thirdly, as for the study results for the difference analysis in path coefficient that leads the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to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of support of parents that leads to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In ad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that leads to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Lastly, this study showed how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way of educational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ies and proposed related suggestions.;최근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대한 관심이 높다. 관련 연구들에 따르면, 자기결정성 동기가 높을수록 대처행동에 능숙하며, 학업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나아가 삶의 만족도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학생들의 자기결정성 동기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부모와 교사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존재이므로 부모와 교사의 태도・행동에 따라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변인을 찾을 수 있다면, 이 변인을 변화시킴으로써 결정성이 낮은 동기를 지닌 학생도 결정성이 높은 동기를 갖도록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자기결정성을 높일 수 있는 변인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을 선정하였다. 또한 학업성취수준을 기준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자기결정성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 세 가지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성취집단 간에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 자기결정성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성취집단 간에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석한 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2차년도 자료이다. 성취도점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성취 상하집단을 구분하였으며, 성취상위집단은 3,000명, 하위집단은 2,941명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적 조절동기에 대한 영향은 교사의 지원이 부정적인 반면, 교사의 성취압력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과된, 확인된, 내재적 조절동기에 대한 영향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부정적이었고, 부모·교사의 지원과 교사의 성취압력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하위집단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잠재평균을 분석한 결과, 성취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부모의 지원, 부모의 성취압력, 교사의 지원,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내재적 조절동기에서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외적 조절동기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집단에 따라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자기결정성 동기에 이르는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지원이 외적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와 내재적 조절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성취압력이 외적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와 내재적 조절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상담적 방법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연구모형 7 Ⅱ. 이론적 배경 8 A. 자기결정성 동기 8 1. 자기결정성 동기의 개념 및 특징 8 2. 자기결정성 동기의 구성요소 10 B. 지원과 자기결정성 동기 15 1. 부모의 지원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15 2. 교사의 지원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17 C. 성취압력과 자기결정성 동기 18 1.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18 2. 교사의 성취압력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20 D. 학업성취와 자기결정성 동기 23 1. 학업성취의 개념 23 2. 학업성취와 부모, 교사,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24 Ⅲ. 연구방법 31 A. 분석 자료 31 1. 분석 자료의 특징과 표집방법 31 가. 분석 자료의 특징 31 나. 표집방법 32 2. 분석 대상 자료 32 가. 2차년도 조사자료 33 나. 분석 대상 35 다. 학업성취도 자료의 특성 36 B. 변인구성 37 1. 부모 37 가. 부모의 지원 37 나. 부모의 성취압력 38 2. 교사 39 가. 교사의 지원 39 나. 교사의 성취압력 40 3. 자기결정성 동기 40 가. 외적 조절동기 40 나. 부과된 조절동기 41 다. 확인된 조절동기 42 라. 내재적 조절동기 42 4. 학업성취 43 가. 집단의 구성 43 나. 신뢰도 43 C. 분석방법 44 1. 분석방법 44 2. 항목 묶기(Item parceling) 46 Ⅳ. 연구결과 48 A. 측정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8 B.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51 1. 측정모형의 검증 51 2. 구조모형의 검증 55 C. 성취집단 간,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 자기결정성 동기의 차이 59 1. 형태동일성 검증 60 2. 측정동일성 검증 62 3. 절편동일성 검증 63 4. 집단에 따른 잠재평균 비교 65 D. 성취집단 간,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67 Ⅴ. 결론 75 A. 요약 및 논의 75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 설문지 95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67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업성취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 of Support and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and Teachers on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Groups-
dc.creator.othernameKim, Shin Ah-
dc.format.pagevi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