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 내용 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 내용 분석
Other Titles
Contents Analysis of appreciation field in MiddleㆍHigh School Music curriculum Textbooks through the 7th edition education curriculum
Authors
박민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숙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project is to know whether the comprehensive fields which are offered on the 7th edition education curriculum are reflected appropriately to the activity area for an appreciation in the music curriculum textbooks what are used in the middle, high school.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researched the general which are related with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course, key-amended point in 7th music & educational course, characteristics & objective of music education in each class and contents organization. And I also researched the definition & stage of listening to music as well as effective teaching techniques about listening to music. At first, the way of contents analysis is choosing 4 kinds of items which are referred as form, tempo, dynamic, timbre from 7 kinds of factors in comprehensive fields and then abstract sub factors which are applied to a western music from them and analyze total consists including objective of study and educational activity about appreciation materials which are applied to the western parts of the activity area for an appreciation in the middle,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textbooks. After the research,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Doosan textbook shows a good relation between form and appreciation activity but it can not reflect all of factors in the education curriculum to the appreciation activity. As for the form, songs of vocal music are not collected at the second and third year curriculum in middle school textbooks. And in case of timbre, although they are collected evenly at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extbook, the relation study among the school years is so difficult because of too much abbreviation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textbook and the first year of that. Sekwang textbook related with appreciation activity in cases of form and timbre. But there are not a song for appreciation offering dynamic and tempo as an objective of the study in all of the school years. And also there may not a consistency between the objective of study and the unit organization in timbre of appreciation music. Cheonjae textbook places much emphasize on Korean classical music than western music in the respect of factors about comprehensive area in education curriculum. And same as that of Sekwang textbook, parts of dynamic and tempo are not mentioned. In case of timbre, musical instruments are not reflected properly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Taesung textbook is well composed to study various kinds of activities in an appreciation material compared with other textbooks. And it is collected unfamiliar music differently to other textbooks. Besides, it is composed for the students to study well through the supplement explanation for the parts of difficult terminology or understanding when the unit of appreciation material is composed. I am going to suggest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First, the text book should do the students to have musical experiences and study about music through the faithful ref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hich is suggested from education curriculum. Second, there must be unification between the objective of the study and composition of the unit. For the appropriate appreciation activity of the students, we should represent the objective for the class of listening to music and composite for the musical material is suited to the objective. Third, usually all of the textbook are offered the initial 4 bars of musical note, a class of listening to music is not a class to hear music passively but a class to listen to music positively and research each factor which compose whole of the music. And to do this, we should offer more musical note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iece of music through the visual supporting of them. Fourth, the textbook is required various kinds of objective and representative for the activities. We should do the student to have various and interesting experiences through a one of appreciation music by determination of study activity variously in a musical material. Education is accomplished by textbooks in Korea. So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s is highlighting more and more and the research whether the education curriculums reflect to the textbooks well should be treated more seriously. Therefore, I expect the new textbooks which are made by the update for the 8th education curriculum to be made more systematically.;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이해 영역이 현재 사용 중인 중ㆍ고등학교 교과서의 감상 활동 영역에 올바르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육과정의 정의와 조직의 원리,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사항과 학교 급별 음악교육의 성격 및 목표, 그리고 내용 체계와 관련한 개괄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음악 감상에 있어서는 음악 감상의 정의와 단계, 그리고 효과적인 음악 감상 지도 방법까지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내용 분석 방법으로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학년 별로 제시하는 이해 영역의 7가지 요소들 중에서 형식ㆍ셈여림ㆍ빠르기ㆍ음색의 4가지 항목을 선택하여 서양 음악에 해당되는 하위 요소를 추출한 다음, 중ㆍ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 활동 영역의 서양 음악 부분에 해당되는 감상 제재 곡의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포함한 전체적인 구성을 분석하여, 형식ㆍ셈여림ㆍ빠르기ㆍ음색의 4가지 요소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두산 교과서는 4가지 이해 요소 중에서 형식 항목이 감상 활동과 연계가 가장 잘 되었으나 교육과정의 모든 요소를 감상 활동에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는 못하였다. 형식에서는 중학교 2, 3학년에 성악곡이 수록되지 않았으며, 빠르기의 항목은 중학교 2, 3학년에서 생략되었다. 음색에서는 중학교 1, 2학년에서는 대체적으로 고르게 수록하고 있지만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는 생략이 많아 학년 간 효율적인 연계 학습이 어려웠다. 세광 교과서는 4가지 이해 요소 중 형식과 음색만 감상 활동과 연계되어있고, 전 학년에 셈여림과 빠르기를 학습 목표로 제시하는 감상 곡이 없었다. 또한 음색에 해당되는 감상 곡에서는 학습 목표와 단원 구성간의 일관성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천재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이해 영역 요소들이 서양 음악보다는 국악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세광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셈여림과 빠르기에 해당하는 곡이 수록되지 않았다. 음색에서는 교육과정에서 학년 별로 제시하는 필수 악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태성 교과서는 타 교과서에 비하여 하나의 감상 제재 곡에 여러 개의 다양한 학습 활동을 제시하여, 하나의 제재 곡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타 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은 생소한 곡들을 다양하게 수록하고 있었다. 또한 감상 제재 곡의 단원 구성 시 용어가 어렵거나 이해가 난해한 부분을 보충 설명하고 있어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위에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는 음악적 경험과 효과적인 음악 학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 목표와 단원 구성에 통일성을 부여해야 한다. 학생들의 올바른 감상 활동을 위해서는 악곡에서 감상 수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표현하고, 목표에 부합되게 제재 곡을 구성해야 하겠다. 셋째, 대부분의 교과서가 처음 시작 부분의 4마디 정도의 악보를 제시하고 있는데 감상 수업은 단순히 들려오는 소리를 소극적으로 듣는 활동이 아닌, 음악을 집중하여 듣고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를 탐구하도록 하는 활동으로써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악곡의 특징을 파악 할 수 있도록 좀 더 많은 양의 악보를 제공하여 시각적인 도움을 받아 효과적인 감상 활동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학습 목표와 활동의 표현이 요구된다. 하나의 제재 곡에 다양한 시각으로 학습 활동을 정하여 학생들에게 하나의 감상 곡을 통하여 다양하고 흥미로운 음악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교육실정을 비추어볼 때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며,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제대로 반영되는지 연구하는 것은 진지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제8차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제작되어질 새로운 교과서는 이해 영역과 감상 활동 영역의 통합 학습이 가능하도록 좀 더 체계적으로 구성되기를 기대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