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염현경-
dc.contributor.author황지선-
dc.creator황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0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08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음악과 과학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주고, 학생들의 오케스트라 활동이 현대 사회에 적합한 창의적 인재 양성 교육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 창의성 하위요소인 과학 융통성, 과학 독창성, 과학 정교성에서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 하위요소 비교, 성별에 따른 과학 창의성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과학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과학 융통성, 과학 독창성, 과학 정교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전 지역의 중학교 3개교를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총 146명을 대상으로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학생 73 명과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 73명을 선정하였고 설문 조사 및 과학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성별, 학년, 음악 사교육을 받은 기간, 음악 사교육을 받은 악기의 종류, 오케스트라 반에서 연주하는 악기의 종류, 본인이 선호하는 과목, 본인의 장래희망, 과학 창의성 검사를 마친 후의 생각이나 느낌으로 구성하였고, 과학 창의성 검사는 주관식 총 8문항으로 과학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과학 융통성, 과학 독창성, 과학 정교성을 알아볼 수 있는 문항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 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과학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과학 융통성, 과학 독창성, 과학 정교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과학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오케스트라 활동 반의 과학 창의성 하위요소인 과학 융통성과 과학 독창성, 과학 정교성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른 사후검증 결과 과학 정교성은 과학 독창성, 과학 융통성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오케스트라 활동반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과학 융통성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과학 융통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학생들 중 과학 창의성 하위요소인 과학 융통성, 과학 독창성, 과학 정교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소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과학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입증한다. 본 연구에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나, 앞으로는 초·중·고의 다양한 연령대 학생들에게 연구 범위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의 오케스트라 활동이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음악교육을 통해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루는 교육으로 나아가길 바라며 현대 사회에 적합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음악과 과학 과목의 상호 연구가 더욱 진행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cience as well as to make the orchestra activity contribute to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ho are commensurate with modern society by examing the effects of the orchestra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cience creativity. To achieve th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iddle school orchestra activity and th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orchestra were investigated in term of the sub-elements of science creativity including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science creativity according to the sub-elements of science creativity, the gender was tried to be verified. Moreover, the correlations between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which were the sub-elements of creativity were explored, and the effects of the middle school orchestra upon science creativity were also explored. In order to verify this, three middle school in Daejeon were selected, and 73 students who engaged in the orchestra activity and 73 students who did not engage in the orchestra activity were selected among total 146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to the third grade in the middle school. The survey and science creativity test was also conduc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comprised of items about the gender, the grade, the period of receiving private lessons, the kind of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private lessons, the kind of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orchestra class, one's favorite subject, one's dream job, and the opinions or feelings after finishing science creativity test. The science creativity test contained total 8 subjective questions. It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s for checking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which were the sub-elements of science creativ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scoring interrater reliabil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Above all, there was the high significance in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which were the sub-elements of science creativity between the students who engaged in the middle school orchestra activity and the students who did not engage in the activity.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ith the orchestra activity showed higher science creativity than the students without the orchestra activity. Second, as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in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students with the orchestra activity. The following results of posteriori test showed that science accuracy showed higher score than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flexibility. Third, in the students with the orchestra activit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was shown significantly only in terms of science flexibility. In other words, th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male student in terms of science flexibility.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between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which were the sub-elements of science creativity among the students with the middle school orchestra activity, science flexibility, science originality, and science accuracy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Such research findings verified that the middle school orchestra activity shows the positive effects on science crea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targe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it is suggested to extend the scope of study with the students in various ages of th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s, and the high schools from now on. Furthermore, hoping that the students' orchestra activity continues more actively so the education which harmonizes reason with emotion together can improve through music education, this study expects to try mutual study of music and science in order to cultivate the human resources who make contribution to our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6 A. 창의성 6 B. 과학 창의성 9 C. 음악심리이론과 오케스트라 활동의 교육적 효과 13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연구절차 19 C. 연구 도구 19 D. 자료 처리 및 분석절차 27 IV. 연구결과 28 A. 기술통계 28 B. 오케스트라 활동여부에 따른 과학 창의성 차이 검증 35 C. 오케스트라 활동반의 과학 창의성 하위요소 차이 검증 38 D. 오케스트라 활동반의 성별에 따른 과학 창의성 차이 41 E. 오케스트라 활동반의 과학 창의성 하위요소 간 관계 44 V.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53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10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iddle School Orchestra Activity on Science Creativity-
dc.creator.othernameHwang, Ji Seon-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