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규명

Title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규명
Other Titles
Identifying Core Predicting Variabl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Authors
유영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With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scientific technology emphasized as kernel power for national sustained growth,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has become an essential prerequisite. However, the rate of enrollment of universities i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was the lowest compared to the other major fields. Therefore, that has become a challenge to solve for fostering engineering talents in a balanced way.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o look at the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hat may be influential for female students to enter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work, and maintain their future course after graduation into academic or industrial circles. The output variable of this study is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means an individual's behavioral and cognitive readiness to cope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exploring career, through engaging in it, to retiring from it. Besides,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re explored according to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SCCT) model. Particular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this study who are female engineering students, engineering self-efficacy which is a kind of specific self-efficacy for engineering field, as a predi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Moreover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eflecting learning experience as a predictor of engineering self-efficacy, and influence from others on academic and career decisions as a predi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posited for proposed research model. By the SCCT model, a causal relationship in which influence from others has an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has an impact on engineering self-efficacy, and which engineering self-efficacy has an impa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urthermore, research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college type(women's college and coeducational college) and presence of a career mentor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respectively,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 was employed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o achieve this, ou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 Does the proposed model including influence from oth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ngineering self-efficacy is valid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2. Are there direct or indirect effects among influence from oth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ngineering self-efficacy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3. Are there differences latent means of influence from oth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engineer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ath-coefficient among them, between groups by college type i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4. Are there differences latent means of influence from oth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engineer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ath-coefficient among them between groups by presence of a career mentor i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female engineering students at thre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apital area. A total of 421 cases were used in the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goodness of 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career attitude maturity, influence from oth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ngineering self-efficacy. Second, all the 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in the proposed model were significant. Moreover all indirect effects were also significant. Influence from others had a significant indirect impact on engineer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respectivel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lso had a significant indirect impa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the goodness of each model of two groups, women's college group and coeducational college group, were also found to be appropriate. In addition, as a comparison result of latent means of latent variables between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the path-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was also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ourth, the goodness of each model of two groups which were divided by presence of a career mentor associated with career,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In addition, as a comparison result of latent means of latent variables between groups, the latent mean value of all latent variables proposed in the groups with a career mentor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other group without a career mentor. Particularly, the differenc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nfluence from others appeared quite high, one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ppeared high, and one of engineering self-efficacy appeared intermediate-level. However, the path-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Our research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e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learning experience, and person inputs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career attitude maturity i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This suggested that SCCT model was still valid in domestic settings and that the model was stable, for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a college type or presence of a career mentor. This also suggested that this proposed model would be available as an important baseline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es. Second, this study provided base line data to establish strategies for career supporting programs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by identifying background or contextual factors like social support or role model, and learning experience i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In other words, this suggests that specific efforts such as providing female-friendly engineering education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presenting career role models to operate mentoring program, and conducting learning support program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an extend femal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major persistence. Third, in multi group comparis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career mento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sponses of all variables. Whereas in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s shows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extent of its influence are stable and reliable. Therefore, this model could be used as framework to verify the influence of new factors related to the futur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t is a good opportunity to provide an empirical model related to the career development i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In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that female engineering students develop their attitude toward career through background factor, learning experience, and self-efficacy and we can also find that the SCCT is still valid in domestic settings. Moreover, our research findings can provide suggestions to strategic directions to support female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ir academic or career decisions and persistence.;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으로서 글로벌 과학기술 경쟁력이 강조되면서, 이를 위한 이공계 우수인재의 육성은 더욱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특히 IMF 이후 이공계 기피현상이 심화되면서 우수과학기술인의 확보와 육성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더욱이 중·고교생의 학업성취도는 남녀 간의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내 공학계열로 진학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타 전공영역과 비교할 때,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며, 우수여성인재를 이공계로 유입시키는 것은 균형 잡힌 이공계 인재육성을 위한 선결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학률을 높이고 공학수업의 만족도를 높이며, 졸업 후 전공 분야로 진출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을 규명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여학생들의 공학계열 진학과 진로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학교육 지원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진로태도의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종속변인을 진로태도성숙으로 상정하였다. 진로태도성숙은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나는 진로의 발달 수준으로써, 직업을 알아보고, 정착하고, 종사하고 물러날 때까지의 진로의 과정에 대처해 나가는 개인의 태도와 인지적 준비 수준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개인요인들을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탐색하였다. 사회인지진로이론은 자기효능감 이론을 바탕으로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개인특성,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모형이다. 자기효능감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구성요소 중에서 진로와 관련된 흥미, 목표의 수립 그리고 이를 행동으로 연결시키는 핵심요소이다. 특히 공학계열 여대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공학 자기효능감이라는 영역 특화된 자기효능감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공학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경험 요소에 해당하는 요인으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진로와 관련한 흥미와 목표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역할모델을 포함하는 타인 영향력을 상정하였다. 이들 네 변인 간의 관계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의 모형에 따라 타인 영향력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공학 자기효능감에, 공학 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며, 배경 요인인 타인 영향력 변인이 진로태도성숙에도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구조모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가설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인 간의 직·간접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설적 연구모형의 변인과 변인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는 환경과 개인 경험 요소를 성별에 따른 대학유형과 진로멘토 존재유무로 선정하여, 이들 요인에 따라 연구대상을 구분한 후, 다집단분석을 통해 변인의 평균값과 변인 간의 영향력의 차이를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크게 모형의 검증, 상정된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의 검증, 대학유형(여자대학, 남녀공학대학)과 진로에 영향을 미친 멘토의 존재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과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은 적합한가? 2. 공과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에는 직·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3. 공학계열 여대생의 소속 대학유형(여자대학, 남녀공학대학)에 따라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 간에는 잠재평균과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멘토 존재유무에 따라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 간에는 잠재평균과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있는 국내 4년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계열 전공의 여대생 4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방법은 상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고안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대학유형(여자대학 240명, 남녀공학대학 186명)과 진로 관련 멘토의 존재유무(진로멘토 있음 241명, 진로멘토 없음 185명)에 따라 각각 두 집단으로 나눈 후, 다집단분석의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여 잠재변인의 평균 차이를, 경로계수 비교를 실시하여 변인 간의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계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에 포함된 직접효과의 검증 결과, 모형 내 변인 간에 가설로 상정된 모든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타인 영향력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진로태도성숙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공학 자기효능감에, 공학 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에 각각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그리고 모형에 포함된 간접효과의 검증 결과, 타인 영향력은 공학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각각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진로태도성숙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유형을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으로 구분하여 집단을 나누어 상정된 모형을 검증한 결과, 두 집단의 모형의 동일성이 확인되었고, 모형의 적합성도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의 잠재변인들의 잠재평균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변인들 간의 영향력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진로와 관련한 멘토의 존재유무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상정된 모형을 검증한 결과, 두 집단의 모형의 동일성이 확인되었고, 모형의 적합도도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의 잠재변인들의 잠재평균을 비교한 결과, 진로멘토가 있다고 응답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모형에 상정된 모든 잠재변인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타인 영향력과 진로태도성숙은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에 따라 공학계열 여대생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는 타인 영향력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이 국내 환경에서도 유효하게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대학유형에나 진로멘토의 존재유무와 상관없이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변인 간의 영향력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에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역할모델을 포함하는 타인 영향력이 진로태도성숙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공학 자기효능감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중요한 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인 영향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일부 대학들은 선후배 간에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공계 여대생을 위해 여성과학기술인들과의 멘토링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전공 영역의 역할모델을 제시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로에 대한 비전과 조언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진로발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논의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성인지(gender awareness) 교수전략, 자기주도학습 스캐폴딩 전략에 기반을 둔 공학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전략을 기술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공학계열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를 남학생들까지 포함하여 연구대상을 확장하여 논의함으로써, 국내 대학생들의 진로발달과 관련한 모형의 틀로서의 적용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에서는 SCCT 모형에 근거하여 모형 내 구성요소들에 대한 변인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임의 상정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진로태도성숙으로 묶어서 측정한 진로에 대한 흥미와 목표 및 행동을 다른 개별 변인으로 분리하거나, 모형의 구성요소의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에 학습자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변인의 적용을 통한 이론적 틀의 실증적 검증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적용한 다집단분석의 조건을 성별에 따른 학교유형와 진로멘토 존재유무에서 더 나아가, 학교 안에서 존재하는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유형들을 발굴하고, 멘토링 기간이나 유형, 멘토유형 등을 구체화 함으로써 의미 있는 변인의 도출하여 검증을 함으로써 공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에 사용된 모든 변인은 자기보고 방식의 Likert 척도로 측정되었다. 이는 응답자의 지각과 실제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 별 응답이 주관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같은 학습경험을 드러내는 변인은 행동과 같이 보다 객관성이 드러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사용하거나, 외부 평가자의 관찰에 따른 직접 측정을 함으로써 응답자의 지각과 실제 상황과의 간극을 피할 수 있고 척도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서 공학계열 여대생들의 진로발달에 기여하는 핵심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변인을 촉진하기 위해 공학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공학적 교수·학습전략을 논의함으로써, 공학계열 여학생들의 학업지원과 진로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