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미-
dc.contributor.author이소진-
dc.creator이소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8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881-
dc.description.abstractSijo is a representative genre of the vocal music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which has three chapters of elementary, middle and end parts as lyrics on a poem with Gyemyeonjo on the constant beat . It has the literary value and musicality as an art genre of Siga and 700~800 history. Also it is carrying the tradition of the national culture as an essence of Korean language, music and literature. Ancestors were used to build and cultivate their mind through Jeongak, Sijo , Jeongga, melody is gentle and slow, so it needs to control the breathing and helps to promote health and purify the emotion in the modern society where is changed in fast, especially impressible youth too. Sijo is popular and simple music people can learn and sing easily compared to Gagok or Gasa, even though it was carried by classical scholar from upper crust, because it underlings Sijosi as the lyrics and more language pitch than musical technique. Moreover, sijo has an advantage of that some Sijosi as the lyrics can be used on the on the melody, not like the traditional vocal music which fits just one lyrics and one melody each other, so it can be a suitable material to teach students. Like that, Sijo has been recognized as literature and artistic value and specified in singing the repertoires from the 2007 revised edi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music department and the various range of the singing, the listening, the instrumental music, creativity, and the activity in the 14 kinds of music text book among all 17 kinds of books 2013 revised edition. Mostly just 1 or 2 a few pages on the book are not enough to research the subject in depth. Sijo can be difficult subject to teach and learn, and needed for various and systematical learning guidance plan about tha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of Sijo by project approach and makes better understand and familiarize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vocal music Sijo. First step is to close to Sijo, preparatory and beginning stage, make the list of the subject and the question included in the experience and the knowledge by the teachers or the learners, and to decide the inquiry subject every each group. The second step is to understand Sijo, the aspect of fixed melody that is representative of various Sijo, the characteristics of adding lyrics from Pyeong Sijo and Sahjul Sijo, the cadence and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Sijo, and the exploration of similar music with the above attributes. These topics are then presented and shared with other students. Also, through Q&A and review of lesson contents, complete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Sijo can be attained. The third step, 'Experience Sijo', consists of full-fledged singing activities. '동창이 밝았느냐' has been designed to sing repertoires from 9 out of 14 textbooks from Sijo. An in-depth study of Sijo is accomplished through inviting experts with rich knowledge and field experience; th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properly study Sigimsae and rhythm of Sijo. In addition, the lessons-learned from project activities and questions pertaining to Gukak can be discussed and addressed by providing time with experts. The fourth step is "Compose Sijo". Before composing, the students are properly prepared by reviewing the conventions of Sijo from earlier classes, and then the 4 groups are divided in to pairs of 2 groups where contents from the conversational aspect of Sijo is used for the composition. After the composition is adequately completed, the students present their composition created through the group activity, and then by singing with the melody from the impressions of Gogasinjo "북천이 맑다커늘" and "어이 얼어자리", the transformation and spread of learning is achieved. This Sijo class applied on the project approach can inspire the interest and the active attitudes and the spirit of the team work, the responsibility and the community because the learners can participate to the process of the project. In addition, learner can share the contents through the vigorous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achieve the sense of the accomplishment and the satisfaction. This study is aim to make people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Sijo, by extension with Gukak, and prize and familiarize the precious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help the music teachers who have many difficulties to teach Sijo substantially and give the learner chance to study more useful study of Sijo.;시조는 초, 중, 종장의 3장 형식으로 된 시조시를 계면조 가락의 일정한 장단에 얹어서 노래하는 음악으로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성악곡의 갈래이다. 약 700~8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가라는 예술 장르로써 문학성과 음악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또한 우리 말 노래 문학의 정수로써 민족문화의 전통을 잇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옛 조상들은 정악을 통해 인격을 도야하고 수양하였는데, 정가인 시조는 선율의 굴곡도 완만하고 빠르기도 느려 호흡의 절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활리듬이 빨라져만 가는 현대사회에서 건강증진과 정서순화를 꾀할 수 있으며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는 정서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시조는 상류사회의 선비들에 의해서 전승되었다고는 하나 노랫말인 시조시를 부각시키고 음악적인 기교보다는 언어의 고저를 자연스럽게 담았다. 따라서 가곡이나 가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단순해진 선율로 누구나 쉽게 배우고 부를 수 있는 대중적인 음악이다. 또한 시조는 여느 전통 성악곡처럼 노랫말과 가락이 1:1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한 가지의 고정된 가락에 여러 시조시를 얹어 부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학생들에게 지도하기 적합한 제재이다. 이처럼 시조는 문학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가창 제재곡으로 명시되었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2013년 새롭게 출판된 17종의 음악교과서 가운데 3종을 제외한 14종의 교과서에서 가창, 감상, 기악, 창작, 활동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1~2페이지의 적은 분량으로 심층적으로 주제를 탐구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많다. 또한 시조는 다소 교사들이 지도하기 까다롭고 학습자들 또한 학습하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주제이기 때문에 시조에 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학습지도안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성악곡 시조에 대한 가치와 이해를 높이고 생활화 할 수 있는 학습이 되도록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시조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1차시는 ‘시조에 다가가기’로 프로젝트 준비 및 시작단계이다. 프로젝트 주제에 관한 교사의 선 경험과 학습자들의 경험, 지식 등을 반영하여 주제망을 작성하고, 질문목록을 구성하여 각 모둠 별 탐구주제를 결정하였다. 또한 앞으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심층적으로 학습하게 될 시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차시는 ‘시조 이해하기’로 고정된 가락에 여러 시조시를 얹어 부를 수 있는 특징과 비슷한 음악 탐색하기,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가사를 붙이는 특성과 비슷한 다른 음악 탐색하기, 시조의 운율과 같은 특성을 가진 다른 음악 탐색하기, 시조의 주고받는 특징이 있는 다른 음악 탐색하기 등의 모둠 별 탐구주제를 발표하고 다른 학습자들과 공유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질의응답 및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을 통해 시조에 관한 정확한 이해와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3차시는 ‘시조 경험하기’로 본격적인 가창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창 제재곡으로는 시조를 다루고 있는 14종의 교과서에서 9개의 교과서에서 제재곡으로 수록하고 있는 ‘동창이 밝았느냐’로 정하였다.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를 초청하여 시조의 시김새나 장단 등을 제대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로써 시조에 대한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동안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습했던 내용들이나 국악에 대한 궁금증을 전문가와의 시간을 통해 함께 이야기하고 해결 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4차시는‘시조 창작하기’이다. 창작활동에 앞서 올바른 형식을 갖춰 시조를 창작할 수 있도록 전 수업에서 배웠던 시조의 형식에 대해 다시 짚어주고, 4모둠을 각 각 2모둠으로 짝지어 시조의 특징 중에서 주고받는 내용으로 창작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활동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후 학습자들이 모둠활동을 통하여 창작한 시조를 발표하는 시간을 갖고, 전 시간에 감상했던 고가신조 ‘북천이 맑다커늘’과 ‘어이 얼어자리’의 가락에 넣어 노래함으로써 학습의 확장 및 전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시조 수업은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 능동적인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고, 탐구활동 및 현장학습 등 집단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책임감,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내용을 공유하고 토론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감으로써 성취감과 만족감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조, 더 나아가서는 국악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우리의 소중한 전통음악을 아끼고 생활화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수업현장에서 시조를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음악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익한 시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프로젝트 접근법 5 1. 프로젝트 접근법의 정의와 배경 5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및 특성 6 3. 프로젝트 접근법의 전개과정 8 B. 시조의 이해 16 1. 시조의 정의 및 역사 16 2. 시조의 분류 17 3. 시조의 장단 18 C. 선행연구 고찰 20 D.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시조 내용분석 23 Ⅲ.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시조 교수학습 지도안의 실제 27 A.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시조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전개과정 27 B.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시조 교수학습 지도안 42 1. 1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42 2. 2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51 3. 3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57 4. 4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67 Ⅳ.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80 부록 83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46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시조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Lee, So Jin-
dc.format.pagei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