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n Musin Textbook of High School In the Areas of Creation by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uthors
안에스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To analyze the current trend of Music Textbook in view of musical creative activit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usical creative activities, 10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r school 2013 are examined. Those ten textbooks are following 2009 revision of Korean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At first, the 2009 revision of Korean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is reviewed in terms of Creativity. The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is discuss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Finally, ten high school Music textbook following 2009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a are reviewed in view of creativity, and also analyzed by the criteria, ‘Creativity Learning Contents’ which is suggested by the 2009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a. Thus, musical creative activity is examined together with other subjects in view of integrated creative learning.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s of creativ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re counted. The textbook from Joong-Ang Education Co. is placed at the top place with 37 times, The second place was by Gyohaksa Co. with 35 times. The least count is 14 times by GeumSeoung Publishing Co. As shown by the analysis, they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creative activities. When it is reviewed, the lower ranked textbooks are found to suffer with very narrow span of creative activities. However, the highly ranked textbooks are found to also suffer with repeated topics and weighted preferences. For example, the number of creative activities in Gukak is much less than western music. Seco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in view of learning contents shows that most of textbooks except for by Jihaksa Co. do not include all essential learning activities. Moreover, some topics are much more presented than other topics, which means that the textbooks are not evenly weighted among many learning contents. Especially, “Improvisation” is the mostly presented creative activity. But, creation activities such as “Playing variation”, “Creat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s”, and “Composing and Arranging Voices and Instruments” are very seldom. Thir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in view of integrated creativity along with other subjects based on the previous analyses shows that mostly they integrate with Korean subject, which has very obvious activities such as ‘Writing Lyrics’ and ‘Changing Lyrics’. As the integration with Gymnastics most of them present ‘Express in Body Action’ along with the theme music or lyrics. In addition, some of them present ‘Music and Sound Presentation of Art’, and ‘Making a Musical Instrument using Scientific Principle’ activities which are integrated with Arts and Science respectively. This thesis provides Music teachers in high schools the basis of Music textbook selection among 10 new textbooks following new Education curricula so the teacher can find which book effectively implements his/her teaching plan. This thesis also presents how the textbook materials can be utilized in school class for creativity area. Thus, this thesis is expected to contribute guiding and balancing systematic development of Music Creativity Learning in the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서의 창작활동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2013년 전시본으로 발행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10종을 창작영역 중심으로 분석하고,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내용에 근거하여 각 교과서의 내용별 특징과 음악 창작 교육의 현 모습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성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여러 문헌 연구를 통해 음악교육에서의 창의성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10종의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창작영역 학습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즉흥연주하기’, ‘주제 변주하기’, ‘가사의 어울리는 곡 만들기’, ‘다양한 형식의 곡 만들기’, ‘곡에 어울리는 반주 만들기’, ‘악기와 목소리를 선택하여 곡 만들기’, ‘발표하기’, ‘평하기’로 8개의 항목이다. 이 분석의 내용을 토대로 타 교과와 통합적인 형태로 제시된 창작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영역의 각 교과서별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주)중앙교육 교과서의 창작영역 제시빈도수는 37회로 가장 많았으며, (주)교학사가 35로 그 뒤를 이었다. 창작활동 제시빈도수가 가장 적은 교과서는 (주)금성출판사로 14회 제시되었다. 이처럼 창작영역 제시빈도수도 각 교과서마다 차이가 많았다. 빈도수가 적은 교과서의 경우 활동 내용의 폭이 좁으며, 빈도수가 많은 교과서의 경우에도 내용이 반복되거나 치중되는 경우가 많았다. 국악 창작활동에 있어서는 서양음악에 비해 그 비중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각 교과서의 창작영역을 학습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주)지학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는 8개의 학습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포함된 학습내용도 그 비중이 달라 제시비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즉흥연주하기’를 통한 학습 비중이 컸으며, ‘주제 변주하기’와 ‘반주 만들기’, ‘악곡의 특징에 맞게 적절한 악기와 목소리를 선택하여 창의적으로 곡 만들기’를 통한 창작활동은 비중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셋째,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타 교과와의 통합적 형태의 창작영역을 분석한 결과, 국어교과와의 통합이 가장 많았으며, ‘가사 짓기’나 ‘가사 바꾸어 노래 부르기’ 등 그 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체육교과와 통합된 창작영역 활동으로는 제재곡의 가사나 주제곡에 맞는 ‘동작을 만들어 표현하기’ 활동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그림을 보고 소리로 표현하기’의 미술과 통합된 활동, ‘과학의 원리를 이용한 악기 만들기’의 미술, 과학교과와 통합된 형태의 창작활동이 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사들이 교육과정에 의해 검정된 음악교과서 중 자신이 구상하는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교과서를 선택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 창작영역의 내용이 수업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가 음악 창작 수업의 체계적이고 균형 있는 발전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참고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