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백윤진-
dc.creator백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2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214-
dc.description.abstract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the South has increased since 1998, and school-aged students are becoming a large part of those who escaped from the north. Those students express concerns on the difficulties from learning in South Korea. While the literature on defector students mostly focuses on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students or focuses on accommodating those students into South Korean society and school system, little light has shine on the solution to those problems or any concrete plans to do that. Former researches in Science Curriculum, mostly on a comparison between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two Koreas, or about teacher’s manuals for the defector students, are not suitable for a prop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the Nor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in those researches is in regards of the contents, objection, curriculum and terms, which are found in textbooks that South and North Korea use, while researches on the teacher’s manuals are for developing a manual that can be utilized when students from the North are sent to South Korea’s general schools. Moreover, former studies are not based on regular class sessions but on interviews or surveys done by teachers and demonstration classes conducted during the regular class hours. This study looks into the difficulty that the defector students face in the science classes and the favored teaching methods, based on interviews and research into real class situation. Fifteen sessions of science clas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uring the first semester (March to July) in 2013 for fourteen 12th grade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defectors. Also, semi-structural interviews are conducted after each session regarding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n science, difficulties from studying science, and desired teaching methods, and the result from them is qualitatively analyzed.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efector students described the difficulties as learners of the science curriculum. These can be presented as difficulties from lacking experience of learning the subject, difficulties from lecture-driven theory classes and difficulties from the language barriers.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students preferred and had favorable reaction in those kinds of classes: audio-visual sessions, classes that used interactions, explanation of the terms during the sessions, classes with experiments, classes that give an opportunity to think and classes with practical materials. It was verifi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were higher.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further studies on the science classes targeting the students who escaped from North Korea.;탈북 학생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학업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탈북 학생의 심리적 문제나 적응에 초점이 맞추어 있었고, 과학교과에 대한 연구 역시 남북한 교과서, 교육 과정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정규 과학 수업시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아닌 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이나 설문지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규 교과 과정시간에 이루어진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탈북 학생의 학습자로서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탈북 학생의 과학교육에 있어서 과학 교과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과 탈북 학생이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면담과 수업 상황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탈북 학생을 위한 대안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1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학기 동안 총 15차시의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후 학생들과 반구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여 과학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생각, 과학 학습에 어려움 점, 선호하는 과학수업에 대해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탈북 학생들이 과학 교과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로서 가지는 어려움에 대해 서술하였다. 탈북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 경험 부족으로 과학 교과가 갖고 있는 특성을 습득할 기회가 없어 과학교과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이론 위주의 강의식 수업은 학습자의 이해를 고려하기 힘들어 탈북 학생이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게 하고 있으며, 특히 탈북 학생은 언어적 어려움으로 인해 과학교과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 학생이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면담과 수업 상황에서 살펴보았다. 탈북 학생이 선호하는 수업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북 학생에게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수업과 교재가 학생들의 이해를 도와 과학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탈북학생들에게 용어를 쉽게 설명해주는 수업 방식은 학생들의 언어적인 어려움을 해결하여 과학 학습과 수업태도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을 활용한 수업은 과학 학습을 실제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여 구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여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내용을 학습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생각하는 수업은 과학학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생활 관련 소재가 사용된 수업일수록 수업에 대한 이해 및 참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북 학생들이 수업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탈북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통해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제시한 바와 같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어려움, 학습 배경 등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면 탈북 학생들이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낮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탈북 학생을 위한 교재 개발 및 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탈북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이해 5 1. 탈북 학생의 교육 경험 5 2. 탈북 학생의 심리적 특징 6 3. 탈북 학생의 신체적, 인지적 특징 7 4. 탈북 학생의 가정환경 7 B. 탈북 학생의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의 이해 9 1. 언어의 어려움 9 2. 문화적 경험 차이로 인한 학습의 어려움 10 3. 남북한 교육제도 차이로 인한 어려움 11 4. 평가에서 오는 어려움 12 C. 탈북 학생에 관한 과학교육 영역의 선행연구 고찰 13 1. 탈북 학생(다문화)에 관한 과학교육 영역에서의 연구 13 2. 맞춤형 과학 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선행연구 고찰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 대상의 특성 16 1. 연구 대상 학교의 특성 16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16 B. 과학 수업 실시 18 C. 자료 수집 21 D.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24 A. 탈북 학생의 과학과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24 1. 학습경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24 2. 이론위주의 강의식 수업이 어려움 25 3. 언어적 어려움 27 B. 탈북 학생이 선호하는 과학수업 35 1.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교재와 수업 35 2. 용어를 쉽게 풀어주는 수업 38 3. 실험을 활용한 수업 40 4.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수업 45 5. 실생활 관련 소재가 사용된 수업 49 Ⅴ.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4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0289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탈북 학생이 과학수업에서 보이는 학습자로서의 특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