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중학교 지리교육 내용의 계통적 구성 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Title
중학교 지리교육 내용의 계통적 구성 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Other Titles
Critical Review of systematic composition method of geography education content in the middle school
Authors
노태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Curriculum is an education plan to organize and select necessary education contents to accomplish goals of school education. Recently, Korea modified and renewed curriculums in 2007 and 2009. In change of curriculum twice consecutively, it tried have innovative changes in view of composition method. This research is processed to figure out effect on Korea and world geography, which are foundation of geography education, by these changes. The specific goals of this research are first, consideration of regional method and systematic method, which are the composition methods of geography contents, second, examining propose of case area in textbook in correct balan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se area in textbook, and third, understanding the method of how case area contains topics through textbook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 methods for these are comparing and analyzing 7th curriculum, which consist of regional method and systematic method, which is a curriculum, modified in 2009. Also, it completed quantitative analysis of case area of each textbook, which are selected for each curriculum, by frequency of total, scale, and topic. In order to consider the specific contents of case area, this research extracted topic and contents, which explains case area in each chapter, to accomplish qualitative analysis.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 is equal to following. First of all, 2009 modified curriculum includes more number of case area, compared to 7th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textbook case area frequency level. This research may lead to giving more pressure to learners about learning regions. Therefore, the education to increase ability to study by comprising variously suggested areas, polysynthetic and systematically, should be accomplished. Also, Korea geography education can be weakened by diminishing number of frequency of korean geography in modified curriculum. Especially, contents about North Korea is reduced; it will lead to a result that adolescents, who get less level of consciousness about reunification than before, could have inaccurate education about North Korean. Thus, contents of Korea geography needs to be reinforced. Secondly, through analysis of frequency of case area by scale, portion of ‘country’ scale is higher. If scale does not form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other regions, it could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a scattered knowledge. Moreover, accurate case area study could be difficult by reaching limit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us, case area should be suggested to balance the portion by scales. Third, the fact that can be find through analysis of number of case area by topic is that plentiful Asia area case study are provided. On the other hand, it would be difficult to contextualize entire Asia continent because specific case area of the Asia region is not cohesive by topics. According to the following, it should compose chapters, which can build a foundation of the entire region. Fourth, as a result of a contents analysis related to Korea geography of 2009 modified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fragmentation of topic and the related contents, which means that case areas are not being isolated learning contents, are figured out. Not only those, there are problems found, which are that it may give prejudices, since it is studying only a one-side of the area and also it could reduce level of interest of the curriculums by duplicating contents in many chapters of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s Korea geography course. Therefore, a comprehended chapter to study the related contents about Korea is necessary. Fifth, problems, including fragmentation of contents by giving prominent topic of China case study and increasing confusion about specific area learning due to lack of frameworks of the entire area in southern-east Asia region case is suggest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world geography chapters. Also through the Africa case study, it shows that learners may have prejudice about this area by understanding Africa as an certain topic, which includes negative images, such as colonial view, continuously. Those chapter composition affects on learner’s socio-spatial reappearance and also can make the prejudice, permanently.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limit point of systematic composition method, as mentioned above, is not occurred without objective experiment. However, this research was trying to display the problems, which are found based on the opinions of research and scholars of various references and problems by systematic composition method, by textbook case area analysis. It did not suggest specific solution, but it tried to help future research of lecturing and studying method, which supplemented limit points of systematic composition method and to develop geography education by accepting the new modified curriculum, based on this research.;교육과정은 학교교육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을 선택하고 조직하는 교육계획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2007년도와 2009년도에 걸쳐 새롭게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연이은 두 번의 교육과정에서 지리교과는 이전과는 다르게 교육과정 구성방법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는 이러한 변화가 지리교육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학습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지리내용 구성방법인 지역적 방법과 계통적 방법에 관해 고찰해 보고 둘째, 교과서의 사례지역을 양적인 분석을 통해 교과서 내의 사례지역이 균형 있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셋째,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해 사례지역이 주제를 담아내고 있는 방식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지역적 방법으로 구성된 7차 교육과정과 계통적 방법으로 구성된 2009개정 교육과정을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각 교육과정에 해당 되는 교과서를 1종씩 선택하여 이들 교과서의 사례지역을 총 빈도수, 스케일별 빈도수, 주제별 빈도수로 나누어 양적인 분석을 진행 하였다. 사례지역의 구체적인 내용을 고찰해 보기 위해서 각 단원에서 사례지역을 설명하는 주제와 내용을 추출하여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사례지역 총 빈도수 분석을 통해 2009 개정교육과정이 7차 교육과정에 비해 사례지역 수가 더 많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지역에 대한 부담을 가중 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하게 제시된 지역들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한국지리의 빈도수가 줄어들어 한국지리 교육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특히 북한에 대한 내용이 많이 축소되었는데, 이는 통일에 대한 의식이 약해져 가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제대로 된 북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지리의 내용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스케일별 사례지역 수 분석을 통해 ‘국가’ 스케일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케일이 다른 지역들과의 위계적 관계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흩어진 지식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한계에 부딪혀 올바른 사례지역 학습이 어려워 질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스케일 별로 비중을 균등화 하여 사례지역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주제별 사례지역 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아시아 지역에 대한 사례가 풍부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시아 지역에 해당되는 구체적 사례지역들이 주제별로 흩어져 있어 아시아 대륙 전체를 맥락화 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역 전체에 대한 틀을 형성할 수 있는 단원이 구성 되어져야 할 것 이다. 넷째, 2009 개정교육과정의 한국지리 관련 단원의 내용 분석 결과 사례지역이 독립된 학습 내용이 되지 못하고 주제와 관련된 내용들이 파편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역에 대한 일면만을 학습하기 때문에 편견을 심어줄 수 있으며 고등학교 한국지리와 중학교 과학 교과의 여러 단원과 중복되는 내용이 있어 자칫 교과에 대한 흥미를 상실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관련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단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세계지리 관련 단원의 내용 분석을 통해 중국의 사례로 주제에 대한 설명 치중으로 인한 내용의 파편화, 동남아시아 지역의 사례로 지역 전체의 인식틀 부재로 인한 세부 사례지역 학습에 대한 혼란 가중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아프리카 사례를 통해서는 이 지역에 대한 식민주의 사관과 같은 계속적인 부정적 이미지의 주제 학습으로 학습자들이 아프리카를 특정한 주제로만 인식하여 생각할 수 있다는 편견을 낳게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 구성이 학습자들에게 아프리카의 사회 공간적 재현에 영향을 주게 되며, 편견을 고착 시키게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위에서 제시한 계통지리적 구성방식의 한계점이 객관적인 실험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문헌 연구와 학자들의 의견에 따라 계통적 구성 방법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을 교과서 사례지역 분석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하지 않고 다만 이후에 이 연구를 바탕으로 삼아 계통적 구성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한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고,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에 수용되어 점진적으로 지리교육의 발전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