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홍성미-
dc.creator홍성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3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353-
dc.description.abstract하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Bilingual) 인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이에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이중언어아동을 위한 언어평가과제의 요구도 증가되었다. 정상적인 언어발달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표준화검사에서 낙오되는 이중언어아동을 위한 평가 규준과 타당한 준거가 국내에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은 이중언어아동들이 언어발달지체로 과잉 진단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평가도구의 부재로 인해 임상가들은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의 유무를 판별해 내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평가과제들이 무엇인지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만 5-7세의 이중언어아동 40명이었다. 연구 과제는 표준화 검사와 함께 부모의 보고, 학습능력 과제(빠른 우연학습과제, 새로운 의존형태소 학습 과제), 기억능력 과제(작업기억과제, 단기기억 과제)등을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를 판별해내기 위한 과제들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능력 및 학습능력, 기억능력의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과제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편상관계수(partial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를 효과적으로 판별해주는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단계적 판별 분석(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 학습능력, 작업 및 단기기억 능력, 부모 보고에서 정상언어발달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작업기억 능력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단기기억 능력, 부모보고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를 판별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측정과제를 확인하고자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1) 알버타 언어발달 체크리스트(ALDeQ), 2) 부모 보고(말, 언어문제의 가족력 영역), 3) 수용․표현 어휘력 과제의 순으로 판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최종 분류 판별식을 사용하여 이중언어아동 집단을 분석한 결과, 89.5%의 민감도(Sensitivity)와 100%의 특이도(Specificity)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언어능력과 함께 학습 및 기억능력 그리고 부모 보고에 의한 아동의 언어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종 분류 판별식은 언어발달이 지체된 이중언어 아동의 평가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표준화 검사만으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를 평가하는 것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최적의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asurement tasks to discriminate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from bilingual children who have a normal ability of language. Currently, it is very difficult for SLP to evaluat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because there is no adequate evaluation tool to totally estimate their language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deal with what is exactly a useful measurement tool to discriminate whether language impairment of bilingual children exists or not. There are three questions on which the study focuses. Firstly, does the performance of each task show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ich consist of bilingual children who have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nd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Secondly, is there correlation in each task between groups of bilingual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nd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Thirdly, what is an effective tool to estimate the language impairment of bilingual children?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below. Firstly,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statistically showed a lower performance ability to the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in terms of language ability, learning ability, task and short-term memory ability. Secondly,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statistically illustrat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task memory ability but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illustrated a strong correlation with short-term ability. Language ability, short-term memory ability, reports of parents and learning ability of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ir tasks, compared to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Thirdly, the result of phased discrimination analysis to identify an effective measurement task which discriminates between language impair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orderly illustrated ALDeQ, reports of parents(words, the family history’s realm about language) and the task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groups of bilingual children by using discriminating equation illustrated 89.5% of sensitivity and 100% of specificity. In sum,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assess children’s language information including language ability, learning and memory ability, and the reports of par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This study determined that discriminating equation will be useful basic material to assess language impairment of bilingual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이중언어아동의 언어적 특성 7 B.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장애 8 C. 이중언어아동의 언어평가과제 선행연구 9 Ⅲ. 연구 방법 11 A. 연구 대상 11 B. 실험 과제 16 C. 연구 절차 24 D. 자료의 처리 및 측정 33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33 F. 신뢰도 33 G. 예비 실험 34 Ⅳ. 연구 결과 35 A. 집단 간(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 각 과제의 수행도의 차이 35 B. 집단 간(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 각 과제의 상관관계 53 C.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판별분석 55 Ⅴ. 결론 및 논의 61 A. 집단 간(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 언어능력 및 학습능력, 기억능력의 차이 63 B.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 판별분석 69 C.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73 참고문헌 76 부록 91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74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판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to discriminate measurements of language impairment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dc.creator.othernameHong, Sung Mi-
dc.format.pagevi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