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작업기억과 은유 이해능력 간의 관계

Title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작업기억과 은유 이해능력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of Working memory to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Metaphor in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uthors
홍영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단순언어장애(Speech Language Impairment : SLI)란 언어능력과 관련된 요인에는 전혀 문제가 없이, 언어표현 및 언어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말한다. 지금까지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여러 분야에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특히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은유 이해능력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은유(metaphor)는 비유언어(figurative language) 중 가작 대표적인 언어로 비유하는 대상인 주제와 비유의 대상이 되는 매체, 그리고 둘 사이의 유사성 혹은 연결인 토대를 이용하여 'A는 B다.' 라는 기본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에서 은유를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 자신도 모르게 은유적 표현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텔레비전 및 각종 광고, 음악, 신문, 잡지, 문학작품 등 대부분의 사회 전반적인 분야를 아우르며 은유적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교과서에서 은유적 표현을 더욱 쉽게 접하게 된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고학년이 되면서 은유적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게 되는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은유적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지금까지 대부부의 선행연구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은유적 표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Piaget(1969)의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최근 해외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은유 이해능력 결함을 작업기억 결함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겪고 있는 은유 이해능력 결함이 작업기억 결함에서 비롯된다는 가설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작업기억은 학습, 이해, 추론과 같은 복잡한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정보를 일시적으로 처리 및 저장하는 단기기억 체계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작업기억은 음운적인 정보를 처리 및 저장하는 음운 회로(articulatory loop), 공간적 자극의 처리 및 저장을 담당하는 시·공 작업장(visuo-spatial scratch-pad), 음운 회로와 시·공 작업장 두 노예 기관에 정보를 전달 및 통제하는 중앙집행부(central executive)로 구성되어 있다(Baddeley & Hitch, 1974). 이러한 작업기억은 언어를 표현하는 것보다 언어를 이해하는데 더 중요하게 사용되며, 작업기억 용량이 높을수록 은유를 이해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이미 해외연구에서 입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였으며 작업기억 중 음운회로와 관련하여 언어적 은유 이해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본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작업기억 과제를 언어성 작업기억과 비언어성 작업기억으로 구분하여 그 수행능력을 비교하고, 은유 과제를 언어적 은유와 시각적 은유로 구분하여 그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두 집단 간 작업기억 과제 수행능력과 은유 과제 이해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은유 이해능력 간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생활연령이 만 10세-12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으로 총 30명이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에게 K-WISC Ⅲ(동작성 지능), REVT(수용 어휘력), 언어문제해결력, 작업기억(언어성 작업기억- 문장폭기억, 비언어성 작업기억-매트릭스) 과제와 은유(언어적 은유-문장, 시각적 은유-광고) 과제를 실시하였고, 일반 아동은 K-WISC Ⅲ를 제외한 모든 검사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작업기억 과제 유형 및 은유 과제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측정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작업기억 과제 및 은유 과제 유형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두 집단 간 언어성 작업기억(단어회상) 과제 및 비언어성 작업기억(매트릭스) 과제의 정반응률을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둘째, 작업기억 과제 유형별 수행능력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언어성 작업기억 수행능력이 비언어성 작업기억 수행능력에 비해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이는 과제 유형별로 수행능력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작업기억 유형에 따른 두 집단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두 집단 간 언어적 은유(문장) 과제 및 시각적 은유(광고) 과제의 정반응률을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이해능력을 보였다. 다섯째, 은유 과제 유형 간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즉 언어적 은유 이해능력과 시각적 은유 이해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은유 유형별 두 집단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두 집단 간 유형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유형별 은유 이해능력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일반 아동의 경우 언어성 작업기억과 언어적, 시각적 은유 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언어적 은유 및 시각적 은유 간 상관관계도 확인되었다. 즉 일반 아동의 경우 언어성 작업기억 수행능력이 높을수록 언어적 은유 및 시각적 은유를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언어적 은유 이해능력이 뛰어날수록 시각적 은유 이해능력도 뛰어나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언어적 은유 및 시각적 은유 이해능력 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작업기억과 은유 이해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언어성 작업기억 수행능력이 높고 낮음과 상관이 없이 언어적 은유 이해능력이 높으면 시각적 은유이해 능력도 뛰어나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과 비교해 언어성 작업기억 및 비언어성 작업기억에 결함이 있으며, 언어적 은유 및 시각적 은유 이해능력에도 결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같이 일반 아동의 경우 작업기억과 은유 이해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작업기억과 은유 이해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수행능력 및 은유 이해능력은 동일 생활연령 일반 아동과 비교해 언어성· 비언어성 작업기억 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언어적·시각적 은유 이해능력도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언어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뿐 아니라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도 일반 아동과 비교해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평가 및 중재하는데 있어 단순히 언어적 수행능력 외에도 시각적 수행능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working memory to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metaphor between 10 to 12 years old children with normal and specific language impaired(SLI). Thirty children, 15 normal children, 15 SLI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two working memory and two metaphor tasks. the working memory tests consisted of verbal(42 CLPT tasks) and nonverbal(18 Matrixs) working memory tasks and the metaphor tasks consisted of verbal(20 sentences) and visual(14 advertisements) comprehension of metaphor tasks. Two tests of the comprehension of metaphor were multiple choice tasks to draw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 ability of the metaphor. The aim was to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ability of the working memory tasks and the comprehension of metaphor tasks among 2groups. Correct reponses were counted and analyzed by Two-Way mixed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for investigating of the working memory to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metaphor. The results were revealed in the present study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on verbal and nonverbal working memory tasks, showing that SLI had lower accuracy than normal group. (2) performance ability of verbal and nonverbal working memory tasks wa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ing that verbal working memory tasks had lower accuracy than nonverbal working memory tasks. (3)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working memory task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on verbal and visual metaphor tasks, showing that SLI had lower accuracy than normal group. (5) performance ability of verbal and visual metaphor tasks w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6)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metaphor tasks. (7) the analyses of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verbal working memory tasks, verbal and visual metaphor tasks in normal group. (8) the analyses of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verbal and visual metaphor tasks in SLI group.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hildren with SLI have more difficulty In performance ability of verbal and nonverbal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of verbal and visual metaphor compared with normal groups. And confirmed that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verbal working memory tasks, verbal and visual metaphor tasks in normal group. In SLI group, confirmed only that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verbal and visual metaphor tas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