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맹형진-
dc.creator맹형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6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607-
dc.description.abstract중세국어 문법 교육은 기존의 연구에서 활발히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기피 대상인 상태로 지금까지 유지되어 왔다. 즉, 중세국어 문법 교육이 가진 중요성과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에게 중세국어 문법은 어려운 내용을 단순 암기해야만 하는 영역으로 인식돼 온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재 구성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이 중세국어 문법 교육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을 확인하고, 교재 구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제재와 학습활동의 사용 양상을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세국어 문법 교육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법(독서와 문법 포함)’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교육과정의 사적 흐름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중요성과 의의를 정리하고 통계 자료와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세국어 문법 관련 성취기준을 검토하는 것으로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분석의 필요성을 모색하며 중세국어 문법 교육에서 교재 구성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위치를 확인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재 구성 분석의 기본 관점 세 가지 1) 제재 분석 중심의 작품론적 관점, 2) 내용 선정 중심의 내용론적 관점, 3) 단원 분석 중심의 통합적 관점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크게 제재 수록과 학습활동 구성으로 나누어 각각 교재에 활용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제재 사용 양상의 분석 기준으로는 1) 교육 목표 실현, 2) 적합도, 3) 시기적 대표성을, 학습활동 구성 양상의 분석 기준으로는 내용 영역의 1) 지식, 2) 기능: 탐구와 적용, 3) 태도와 4) 형식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재 사용 양상에서는 1) 제재 수록이 교육과정의 사적 흐름에 따른 성취기준 및 학습 목표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2) 수록된 제재의 완결성이 떨어졌고, 3) <훈민정음> 중심으로 수록이 이루어져 그 이외의 제재 수록에 소홀한 교과서가 많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활동 구성 양상에서는 1) 제5차 교육과정까지의 낮은 명료성과 최근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기술의 정확성 문제, 2) 고전문학과의 연계성 부족, 3) <훈민정음> 제재를 제외한 중세국어 제재 수록 단원에서의 다양한 자료 및 활동 부족, 4) 과도한 학습활동의 개수를 문제점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세국어 문법 교재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방향으로 1) 다양한 제재의 사용, 2) 자료의 완결성 및 수용성의 고려, 3) 기술의 명료성 및 정확성 강화, 4) 고전문학 작품 및 현대국어 문법과의 연계성 강화, 5) 제재와 학습활동의 연관성 강화 및 구성의 입체화 등의 다섯 가지 방향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주목받지 못했던 중세국어 문법 교육에 초점을 두고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교재 구성의 사적 흐름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 이루어진 전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양상 분석이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Middle Korean grammar is a field which was not actively dealt with in previous researches and it was sustained as a subject that all the teachers and learners try to avoid. That is, although its importance and value, learners conceived middle Korean grammar as the subject which they just have to remember all the difficult contents. Along with critical mind on these situational problems, this study has analyzed aspects of middle Korean grammar textbook based on curriculum changes after checking necessity of textbook organization for activation of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middle Korean grammar textbook organization in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focuses on analyzing application aspects of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play the center role in textbook formation based on curriculum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Korean grammar’ text books(including ‘Reading & Grammar’ textbooks) of high school as analytic subjects where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takes place earnestly. Also to review historical flow, it has looked in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hapter Ⅱ defines importance and meaning of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looks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it by reviewing statistical data an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middle Korean grammar in curriculum. Through this, we confirmed the problems of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Furthermore, by studying the necessity of organizing middle Korean grammar textbook, this study checks the important position of textbook organization in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This chapter also has reviewed basic three perspectives of analyzing textbook organization dealt in previous researches: 1) work perspective around material analysis, 2) content perspective around content selection, and 3) integrated perspective around unit analysis. In chapter Ⅲ, it has divided the formation into material inclusion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ooks into aspects of them being used in textbooks. For analysis standard of material application aspects, 1) realiz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2) appropriateness, and 3) periodic representativeness are selected. For analysis standard of learning activity aspects, 1) knowledge, 2) skills: inquiry & application, 3) attitudes of content areas, and 4) forms are selected to be studied. As a result, in terms of material application aspects, 1) there wa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inclus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or learning objectives which are based on historical flow, 2) completeness of materials included was not high, and 3) most of the inclusions are done around <Humminjeongeum> and most textbooks paid less attention to other material inclusion. In terms of learning activity aspects, 1) lack of clarity until the 5th national curriculum and accuracy of description problem which are shown recently, 2) lack of connection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3) limited materials and not enough activities in units with middle Korean materials except <Humminjeongeum> material, and 4) excessive quantities of learning activities. Chapter Ⅳ suggested directions for organizing middle Korean grammar textbook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organization are the following: 1) use of various materials, 2) contents with high completeness and acceptance, 3) clarity and accuracy of description, 4) connection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Korean grammar, and 5) close connection and actualization formation of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ose five directions as well as examples to each direction are provid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it focusing on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which were not popular in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ing the historical flow of textbook organization through the whole curriculum, from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is thesis, about aspect analysis of middle Korean textbook organiz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carried out for the activation of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8 Ⅱ. 중세국어 문법 교육과 교재 구성의 비판적 검토 23 A.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위상 및 가치 23 1.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중요성과 의의 23 2.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 28 3. 중세국어 문법 교육의 문제점 38 가. 학습자들의 기피 현상 38 나. 구체적 성취기준의 미비 40 다. 각 교육과정 내용의 반복 41 B.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분석의 필요성과 기본 관점 43 1.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분석의 필요성 43 2.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분석의 기본 관점 46 가. 제재 분석 중심의 작품론적 관점 47 나. 내용 선정 중심의 내용론적 관점 49 다. 단원 분석 중심의 통합적 관점 52 Ⅲ.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양상 분석 56 A.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양상의 분석 기준 56 1. 제재 기준 56 2. 학습활동 기준 59 B.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세국어 문법 제재 비교 분석 63 1. 제재 사용 양상 63 가. 교육 목표 실현 66 나. 적합도 70 다. 시기적 대표성 73 2.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제재 사용의 종합적 검토 76 C.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세국어 문법 단원 학습활동 비교 분석 79 1. 학습활동 구성 양상 79 가. 내용 83 나. 형식 92 2.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학습활동 구성의 종합적 검토 95 Ⅳ. 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 방향 100 A. 다양한 제재의 사용 100 B. 자료의 완결성 및 수용성의 고려 102 C. 기술의 명료성과 정확성 강화 104 D. 고전문학 작품 및 현대국어 문법과의 연계성 강화 105 E. 제재와 학습활동의 연관성 강화 및 구성의 입체화 108 Ⅴ. 결론 114 참고문헌 117 부록 124 ABSTRACT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969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세국어 문법 교재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교과서 제재와 학습활동의 사적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ritical Consideration on Textbook Organization of Middle Korean Grammar : Focused on the Historical Analysis of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Textbook-
dc.creator.othernameMaeng, Hyung Jin-
dc.format.pageix,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