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유아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Title
유아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uthors
성인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 감정조망수용능력의 양상과 관계를 성차와 관련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 양상은 어떠한가? 1-1. 유아들의 또래놀이 접근행동 양상은 어떠하며,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들의 또래놀이 수용행동 양상은 어떠하며,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들의 또래놀이 접근행동과 수용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들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전반적으로 어떠하며,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들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또래놀이 접근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또래놀이 수용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두 곳의 만 4세반 유아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들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Corsaro (1979), Dodge, Schlundt, Schocken과 Delugach(1983) 등 여러 선행연구들의 분석기준 및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관찰범주를 구성하였으며, 감정조망수용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Denham과 Couchoud(1990a)의 ‘감정판별능력 검사도구’를 수정ㆍ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본적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 혹은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또래놀이 접근과 수용 행동,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반 유아들은 전반적으로 또래놀이접근 시 진입 요청하기를, 또래놀이수용 시 적극적 수용을 가장 많이 하였다. 성별에 따라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는데, 또래놀이접근 시 여아는 진입 요청하기를 더 많이 한 반면, 남아는 제안하기, 관심 끌기, 놀이스럽게 접근하기, 그냥 들어가기를 더 많이 하였고, 또래놀이수용 시 여아가 조건부 수용을 더 많이 한 반면, 남아는 소극적 수용과 무시를 더 많이 하였다. 관찰기간 동안 유아 당 약 4.5개의 접근행동과 3.7개의 수용행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 유아마다 자주 사용하는 1~2개의 상용적인 접근 혹은 수용 행동이 있었다. 또래놀이 접근행동과 수용행동 간에는 유아들의 적극적ㆍ소극적인 성향에 따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상관관계의 유의성은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특히 남아에게서는 진입 요청하기가, 여아에게서는 또래들이 노는 영역에서 혼자 놀기가 다양한 수용행동과 상관이 있었다. 둘째, 만 4세반 유아들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최저점인 0점을 받은 유아부터 최고점인 12점을 받은 유아까지 전반적으로 개인차가 컸고, 감정조망수용능력은 항시 동일한 것이 아니라 유아가 마주한 감정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들의 성별에 따른 감정조망수용능력 점수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또래놀이 접근행동 중에서는 제안하기만이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제안하기를 제외한 다른 접근행동들은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반적인 또래놀이 수용여부(수용ㆍ비수용)는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관련이 없었으나 구체적인 수용행동들은 부분적으로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적극적 수용 및 조건부 수용과 정적 상관을, 소극적 수용 및 무시와 부적 상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based upon gender difference. The specific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stated below. 1. What are children's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s like? 1-1. What are children's peer play access behaviors like and how does it differ for each sex? 1-2. What are children's peer play acceptance behaviors like and how does it differ for each sex? 1-3. What is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peer play access and acceptance behaviors? 2. What is the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generally like and how does it differ for each sex? 3.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child's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3-1.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eer play access behavior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3-2.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eer play acceptance behavior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s research was applied to 102 4-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o observe children's peer play access and acceptance, the observation range was organized based upon research results and analysis standards which include but not limited to Corsaro(1979), Dodge, Schlundt, Schocken and Delugach(1983).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defined and amended as the ‘ability to identify emotion in equivocal situations’ of Denham and Couchoud(1990a). To analyze the data, we calculat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 implemented the T-Test or Mann-Whitney U-Test to fi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Also, Pearson's 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4-year-old children mostly made an entry request when accessing peer play and displayed active acceptance when accepting peer play. There were differences derived from sex on the types of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 While female children made more entry requests for peer play access, male children did so by suggesting, attention getting, access by play, and non-verbal access behaviors. In the case of peer play acceptance, female children displayed conditional acceptance, while male children displayed more of inactive acceptance and neglect. During the observation the mean score for each child was 4.5 for access behavior and 3.7 for acceptance behavior. Although most children displayed a variety of access or acceptance behaviors, they usually heavily favored 1 to 2 of them specifically. There was a partial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access behavior and acceptance behavior according to the activeㆍinactive propensity of the child.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differed for each sex. For male children, entry request was related with the variety of acceptance behavior, but for female children, playing alone in the area where peers were playing was a determining factor. Second, 4-year-ol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differed from 0 to 12 for each child. Results showed that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is not a constant but changes along with the emotional situation that the child faces. Nevertheless, sex of the child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rd, among peer play access behaviors, only suggest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hile other behavior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overall peer play acceptance was not related to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except for specific acceptance behavior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to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ith active and conditional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negative correlation with inactive acceptance and igno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