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놀이 중심 유치원에 다니는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와 고민 및 요구

Title
놀이 중심 유치원에 다니는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와 고민 및 요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quirements and understanding in preparation for elementary level education of mother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that go to amusement oriented kindergarten
Authors
강경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pinions and views of mother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that go to amusement oriented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do mothers understand about the preparation process of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1-1. How do mothers understand abou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schools? 1-2. How has the meaning of preparation process for schools been established for mothers? 2. What is the major apprehension for mother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3. What do mothers want for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t HaRang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ten mothers who have five preschool children in Bada and Sora class each. The data collection process has been implemented by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it was conducted from 1st of April, 2013 to 7th of July 2013. The researcher recorded the entire interview process with summarizing the main points, which leads to the categorization and coding process according to different themes. This study has found several novel discoveries. First, mothers who have children around 5 years old had an understanding about preparation for schools in terms of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al skills. This is caused by words of mouth, and personal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from parents. Also, it was affected by their own experience in school years, social life, and rearing children. Second, it was shown that mothers have variety of anxieties before their children actually start thei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y were nervous about whether their children are just focusing too much on the amusement activities or not, and they tend to compare their children to those of other mothers in terms of educational performances, social skills, amusement orient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ey were also worried about the unknown level of the pre-education that their children should take before elementary school, and their ability to adjust to the life of the school. Moreover, they had concerns about the education beliefs which migh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ir spouses or in-laws. Third, mothers required government support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worries and woes about the preschool education. Kindergarten required specific information about children’s development process and the everyday life in elementary school. Furthermore, they required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ho have children as a part of the family. Mothers demanded teachers to implement their education faithfully, understand and support students, and conduct intensified athletic classes to be fun to be a part of. For governments, education process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implemented both in theory and practice, and educational culture that allows diversity of students. In addition, they asked for setting a limit for the children from being widely exposed to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and hiring professional and experienced teache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believed that children can become a well rounded person from learning a variety of amusement activities. However, they started to become worried about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when it is time for them to start elementary schools. Thus, in order to minimize the mental burden on their shoulder,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children as a part of the families, local communities, and elementary schools. It is crucial to have a collaborative effort as a systematic scheme which is also in line with the requirements for better and successful school life for children.;본 연구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준수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초등학교 준비에 대한 의견을 들어봄으로써 그들이 가진 생각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1-1. 어머니들은 학교준비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1-2.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2.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겪고 있는 고민은 무엇인가? 3. 한국의 현 교육에 대해 어머니들이 바라는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하랑 유치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5세 학급인 바다반과 만 4ㆍ5세 학급인 소라반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10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1일부터 2013년 7월 1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은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현장 기록과 녹음 내용으로 면담 전사본을 만든 후, 자료를 주제별로 코딩하고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랑 유치원에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들은 학교준비도에 대해 초등학교 생활 적응, 학습,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준비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한 이해는 주변으로부터 들은 정보, 어머니들이 성장기동안 부모로부터 받은 영향, 학창시절과 사회생활을 하며 경험한 것, 이전 자녀의 초등학교 양육 경험을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어머니들은 여러 유형의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너무 놀이만 하는 것은 아닌지 불안해하고, 내 자녀를 학습, 사회성, 놀이 취향, 의사소통능력 등과 같은 측면에서 남의 자녀와 비교하며 고민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입학 전에 어느 정도까지 선행학습을 받고 가야하는지, 유치원과 다른 초등학교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어머니의 양육 신념이 배우자, 친정, 시댁의 의견과 달라 자녀를 어떻게 교육시키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고민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와 현재 겪고 있는 고민을 바탕으로 어머니들은 한국의 현 교육에 대해 유치원, 초등학교, 정부에 다음과 같은 지원을 요구하였다. 유치원에서는 자녀의 발달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정보, 자녀를 양육시키는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을 마련해 주기를 요구하였다. 초등학교에서는 교사가 정규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며, 학생을 이해하고 격려해주며, 강화된 체육활동이 학생들에게 부담으로 느껴지지 않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수업으로 실시되기를 요구하였다. 정부를 대상으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이론과 실제에서 모두 연계성 있게 운영되며, 학생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 문화를 마련하고, 유아가 무분별한 사교육 시장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며, 전문성 있는 교사를 채용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기는 풍부한 놀이를 통해 전인 발달을 한다는 것을 믿고 자녀를 놀이 중심 유치원에 보낸 어머니들이었으나,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여러 가지 고민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심적 부담을 덜고 유아가 초등학교 생활을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위해서는 현 교육에 대해 바라는 요구에 언급되었듯이, 유아 자신 뿐 아니라 유아에게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족과 지역사회, 유아교육기관, 초등학교가 모두 함께 협력하여 준비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