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상황 체험 중심 진로활동' 실행 연구

Title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상황 체험 중심 진로활동' 실행 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on ‘the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 for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e for adolescents
Authors
최은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최근 청소년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적성에 맞는 직업을 소개하는 진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각 학교마다 ‘진로와 직업’ 교과목을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에 포함시켜 모든 학생들에게 진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움직임들은 이러한 추세를 극명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진로 활동은 단순히 개인의 흥미와 적성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며, 검사 결과 또한 기존의 직업군들에 일대일로 연결시키고 이를 대입지도에 활용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해당 청소년의 실제적인 경험 및 장래희망과 관련한 가치관 등이 반영되어 능동적으로 향후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단편적 진로 검사 결과와 교과 성적 등만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한계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대학 입학 후에도 전공과 적성 사이의 괴리 때문에 고민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진로에 대한 본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진로 활동은 한 명의 인격체가 자신의 삶을 설계하면서 한 단계씩 성장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직업 교육에만 치중함으로써 삶에 필요한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 태도 등의 핵심 역량 발달은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인식에 기초하여 두 가지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이 창의적으로 기획한 자신만의 기업을 학교 밖 사회 현장에서 창업해봄으로써 실제 상황으로부터 학습자가 본인의 가치관에 적합한 진로방향을 체험하고 터득할 수 있는 능동적인 진로 활동을 구성하고자 한다. 둘째, 진로 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전인격적인 핵심 역량 강화 가능성을 실제 사례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내외에서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을 실질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소들로 구성해야 하는가? 둘째,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을 통하여 어떠한 핵심 역량이 개발될 수 있는가? 셋째,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 과정에서 충분히 역량이 개발되지 않는 경우, 청소년 참여자들의 내재된 역량이 발현될 수 있는 다른 조건은 무엇인가?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자가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으로 채택한 ‘일 관련 학습’은 15-16세 청소년들이 최소한의 실제적인 활동을 필수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크게 9가지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 관련 학습’의 모든 과정을 구현하기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활동들을 선정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상황주의적 이론’에서 제시한 3가지 과정(협동적 행위, 프로젝트, 진로)을 ‘일 관련 학습’에 접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본 연구는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 기반으로 한 ‘일 관련 학습’을 연구자가 실제로 근무하는 학교에서 11주 동안 청소년 7명을 표본 집단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현장에서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실행 기간 동안 당해 연구의 조력자이자 적극적인 관찰자로서 참여자들의 일련의 활동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활동에 대한 평가는 ‘명지대학교 청소년 활동연구소’에서 개발한 ‘청소년활동역량검사’ 및 개개인의 활동에 관한 참여 관찰 기록, 활동 이후 참여자와의 개별적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평가 결과 참여자들은 본 활동을 통해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시민성역량’, ‘자아역량’이 개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보편적 진로 활동의 참여도에 비해 훨씬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실 또한 주목할 만하다. 또한 개발된 역량 중에서도 목표를 정하고 도달하려는 능력인 ‘성취동기역량’과 타인과의 효과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대인관계 역량’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역량 개발은 참여자들의 실제 학습에 대한 의지가 향상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여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 체험 중심 활동의 세부내용은 ‘일 관련 학습’ 요소 중 실질적인 삶과 연관되어 있고 실현 가능한 활동으로 구성했다. 대표적 예로는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소규모 경영을 채택하였으며, 실제적인 활동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참여자들은 스스로 기업을 설립하는 과정을 통해 설립동기 및 가치 등을 확립하고, 디자인 활동과 제품을 제작 및 판매하는 등 자기 주도적으로 활동에 참여했다. ‘일 관련 학습’이 범국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국은 본 연구의 대표적인 선례이지만, 본 연구에서 이의 모든 과정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 상황주의적 진로 개발의 과정(협동적 학습-프로젝트-진로)으로 축소하여 운영되었다. 둘째,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은 핵심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일 관련 학습’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참여자들과 함께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성취의 기쁨을 맛보고, 서로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였으며, 스스로의 존재 가치를 확인했다. 이러한 역량 개발은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셋째,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역량이 충분히 발현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내적 동기’가 중요하며, 청소년의 심리적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활동 전 참여와 상담을 통한 개별적인 이해를 전제로 활동이 진행되어야 한다. 진로 활동이 대입지도와 직업 선택과 같은 외적 동기가 아닌 호기심, 즐거움과 같은 내적동기를 바탕으로 활동할 때 역량이 더 향상되었다. 또한 진로 활동 시 교사는 청소년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하여 상담과 같은 활동을 추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는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시기이므로 진로 활동 전에 ‘대인 관계 역량’ 개발이 선행되면 다른 역량이 효율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이 연구는 상황 체험 중심의 진로 활동이 참여자로 하여금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에 상황 체험 중심 진로 활동을 개발하고 조직하며, 운영하려는 학교 교육 현장 교사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앞으로 더욱 실제적인 체험 중심의 진로 활동이 기획되어 청소년들의 삶의 방향 설정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다.;There a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purpose is to organize ‘the active course activities’ from which learners can experience and learn by starting their own business outside the school. Second purpose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enhancement on teenager's core ability through a real case. For th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elements are needed to enable the actual conduction of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inside and outside of school? Secondly, through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 what core ability can be developed? Thirdly, if core ability can't be developed, what other conditions are needed to reveal teenager's inherent ability? In this research, procedure and method is as follows. 'work-related learning’which was chosen as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consists of nine procedures. Its purposes is to make legally 15,16 years old teenagers experience at least the minimum real activity. However, because there are time and space limit to implement all procedures of ‘work-related learning’ only activities applicable to real school are picked and conducted. Three procedures(joint action, project, career) were applied to 'work-related learning'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 was carried out for 11 weeks and the 7 students were selected as a sample from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is working. The Action research for field improvement was used and a series of activity process is described minutely by the researcher as an assistant and active observer. The evaluation on the activity was undertaken through 'test for adolescents’core competence) designed by ‘Adolescence Actitity Research Insitiute in Myung-Ji University,' participant observation' concerning the individual activity, and through the individual counseling with participants after the activity. Consequently, 'achievement motivation ability’, ‘personal relations ability, citizenship ability,’ ‘ego ability’ are identified to develop in this activity. Also, it was worthy of notice that participants take part in the activity far more aggressively compared to participation in existing career activity. Furthermore, among those abilities, 'achievement motivation ability‘(the ability to set and reach the goal)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ability to make an effective relationships) are highly improved. These development of ability will be thought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by forming the good personal relationships and by improving the will to study.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 is composed of the activities which are related to real life and are realizable among 'work-related learning’elements.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work-related learning’is a Mini-enterprise implemen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and actual study centered around these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of research, participants can set up the motive of establishment and its value for themselves, and join in the activity by designing, manufacturing and selling the products. Though the Great Britain where ‘work-related learning’ is implementing cross-nationally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research, due to the limitations that all the process can’be realized, this research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ontexualized theory. Second, teenagers are able to develop their core competence through‘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Participants can attain the joy of enjoyment, learn the wa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realize value of their existence by reaching the goal with other participants wh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rough 'work-related learning’ Third, In order to fully manifest the ability of teenagers through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the inner motive is important and this activity should be proceeded, considering teenager's psychological unstability, based on the participation before the activity and understanding individuals through counselling. Teenagers' ability was more improved when this activity is conducted with an inner motivation such as curiosity and enjoyment, not with an external motivation like college admission or the career choices. Also, teacher should add the activity like a counseling, considering teenager's psychological condition during the ‘career activity’ Besides, because an adolescent period is the era when they are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if development of '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recedes the ’career activity,’other ability would be improved effectively, too.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each adolescents can be offered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core-competence by actively participating‘in the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ful reference for teachers who will develop and operate ‘the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 experience’later. More practical and further research on ‘the career activity based on contextualized’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contribute to adolescents’setting their goal and realizing their dre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