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Title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diversification
Authors
박현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교육과정 다양화는 7차 교육과정의 핵심정책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교육과정 다양화는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교육체제와 운영방식으로부터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생의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있다. 교육과정 다양화와 관련하여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다양성 개념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하거나 다양화 정책의 기저에 있는 철학적 관점을 탐구하였다. 또한 선택 교육과정이나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대표되는 다양화 지침의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 다양성 개념의 경우 이론적 차원에서만 논의되었을 뿐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다양성의 성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며, 교육과정 다양화 운영 측면에서의 실태 분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교사들의 인식이나 요구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교사들의 전체적인 인식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과정 다양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가 교육과정 총론 지침에 대한 교사들의 전체적인 인식이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과정 다양화 지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다양화 운영 기반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과정 다양성에 대한 개념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교육과정 다양화의 등장 배경과 다양화 지침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어 운영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 다양화 개념을 유형화하고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교육과정 다양화 지침에 대한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지금까지의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 문항은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교육과정 다양성 개념의 유형을 정리하였으며, 국가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 제시된 교육과정 다양화 관련 지침에서 추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소재지, 설립유형, 학교규모, 교직경력, 담당교과, 교사직급을 배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현장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교육과정 및 평가 전공자와 교사들에게 자문을 받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완성된 설문지는 2013년 10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12일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의 학교를 모집단으로 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 156명을 무선 표집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교사는 총 152명으로 이 중 151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결과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은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같다. 먼저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다양성 유형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사의 수업 방식의 다양성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교육과정 다양성이 앞으로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으로는 학생의 능력과 수준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제공해줄 수 있는 수월성 확보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다양성 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① 교과군에 따른 교과목 선택 다양성의 중요성과 ② 교과군에 따른 내용 통합 다양성의 중요성, ③ 학교소재지에 따른 수업 운영 형태 다양성의 중요성, ④ 교과군에 따른 수업 시간 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 총론 지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다양화 취지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공감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다양화 지침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교과 교실제 운영이 다양화 취지에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다양화 지침의 적절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소재지, 설립유형, 학교규모, 교직경력, 담당교과, 교사 직급과 같은 모든 배경변인에서 교육과정 다양화 지침의 적절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교사들의 인식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다양화 운영 기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원의 안정적인 충원이 1순위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으며,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권한의 강화가 2순위로, 3순위는 1순위와 동일하게 교원의 안정적인 충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학교가 다양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기 위해 교원 수급의 확보가 가장 시급함을 알 수 있으며, 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에 있어 교사가 자율권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운영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역할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과 그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교육과정 다양화가 학교 현장에서 정착될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시사하고자 한다.;Curriculum diversification emerged as one of the core policies in 7th National Curriculum and was continued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means a conversion from a uniform and closed educational system and management, and also a claim to stand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considers students' different abilities and aptitudes. A good body of literature on curriculum diversification discusses the concept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theoretically or examines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s underlying the diversification policy. The literature have analyzed the states of elective curriculum or achievement level-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roposed proper administration methods. However, the concept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has only been discussed on a theoretical level and therefore lack the debate on the characteristics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urther, as the past discussion only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aspect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studies on teacher perceptions or demands are insufficient. Based on this critical percep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the general perception of teachers on curriculum diversification an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2) the general perception of teachers on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guidelines an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and 3) teacher perception on the infrastructure needed for curriculum diversification management. To explore teacher perception and demands on curriculum diversific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oncept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and its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how the curriculum diversification is materialized and administered in the field education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and the guidelines for diversifi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This procedure enabled categorizing the concept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and the dedu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guidelines. Lastly,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curriculum diversification, the significance of past research and its limitation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has examined teacher perception and demand by conducting a survey. The survey items were constructed by organizing the types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concept in reference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and by extracting the guidelines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 Referring to the literature the following factors were established as background variables of this research: location, establishment type, and size of the school, gende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curriculum subject, and position of the teacher.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fter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to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final version was distributed and gathered for twelve days, from October 20 to October 21, 2013. The subject population was schools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156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by a random sampling. Of the 152 responses from teachers 15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run by SPSS WIN 19.0 program.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teacher perception and demands for curriculum diversification were calculated. Also,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 perception and demands. Firstly, the analysis of teacher perception on curriculum diversification revealed that teachers perceived diversification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s the most needed among the various types of diversifi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securement of excellence for the provision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s the major direction in curriculum diversificati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teacher perception on the types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by background variable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1) the importance of diversification for subject selection within subject groups, 2) the importance of content integration according to subject groups, 3) the importance of class management diversification according to school location, 4) the importance of diversification in lecture site according to subject groups, and 5) the importance of diversification in the length of lecture according to subject groups. Secondly, the analysis of teacher perception on the national guidelines for curriculum diversification indicated that teachers mostly agree with the purpose of the guidelines. Moreover, the survey discovered that teachers regard the administration of the subject class system as most fitting for the purpose of diversification. A cross-tabulation analysis of teacher perception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diversificatio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background variabl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cation, establishment type, and size of the school, gende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curriculum subject, and position of the teacher. Overall, their perception on appropriateness of the guidelines was consistent. Lastly, survey of the teacher perception on the infrastructures needed for curriculum diversification management ranked a stable supply of teachers as the first, and the reinforcement of teacher’s authority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assessment as the second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in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A stable supply of teachers was again ranked in the third. The implication is that securing teacher supply is most urgent for divers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at empowering teachers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assessment is called for. This research discussed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iversification pursued by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analyses on teacher perception. It also proposed future research on what causes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ith different demographics and what do such differences mean. From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iversification to successfully root in the field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