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양주희-
dc.creator양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4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문화간 감수성 이론을 한국어 교사에게 적용하여, 문화간 감수성이 높은 교사가 실제 현장에서 교수 효과가 높다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간 감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간 감수성을 측정하고, 문화간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하위 영역으로 경력, 외국체류 기간, 사용 가능한 외국어 수, 다문화 교육 연수 기관, 타문화 관심도로 선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으며 총 49명을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열과 전체 평균은 2.95점으로 측정되었다. 문화간 감수성의 5개의 영역 중 상호작용 참여영역이 3.58점으로 가장 높고 상호작용 주의, 상호작용 자신,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향유 순이었다. 둘째, 각 하위 영역으로는 경력이 문화차이 존중영역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다문화교육 연수기관은 문화차이 존중영역, 상호작용 향유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가능한 외국어 수와 외국체류 기간은 어떤 영역에서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타문화 관심도는 상호작용 자신,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 상호작용 향유 영역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경력, 다문화교육 연수기관, 타문화 관심도가 문화간 감수성의 영역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문화간 감수성을 배양하기 위해 다문화 교육과 타문화권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활성화 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간 감수성 이론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실제 측정한 연구라는 점과, 좋은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해 논의하는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research 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the length of staying in other countries, the number of foreign languages that the person can speak, multi-culture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interest to other culture by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e instructors of Korean to find the way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that says the instructors who have higher intercultural sensitivity have efficient/effective educational result. The survey of this study is conducted by analyzing 49 instructors out of 51 instructors who are working in the actual Korean education field. The collected data is processed with frequency distribu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test by using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frequency distribution, the overall average was 2.95 out of 5.0. Among five categori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highest one was Interaction Engagement as 3.58, and followed by Interaction Attentiveness, Interaction Confidence,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 and Interaction Enjoyment. Second, as the subcategory, caree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 Multi-culture education institution also showed some critical difference in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 and Interaction Enjoyment sections. However, the number of foreign languages that the person can speak and the length of staying in other countries didn’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area. In other hand, the interest to other culture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 in Interaction Confidence,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 and Interaction Enjoyment. Third, in the research, the included meaning of career, multi-culture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interest to other culture in intercultural sensitivity is discussed and proposed that the progra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in different culture areas need to be invigorated to develop intercultural sensitivity. This study has meaning due to the actual analysi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e instructors of Korean and the expanded range of studying to the qualification of good instructor of Korean. In addition, the ISS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Korean measurement table can be used when measuring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other grou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논문의 구성 2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4 A. 한국어 교사의 자질 4 B.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11 C. 문화간 감수성 17 1. Chen과 Starosta의 다문화적 의사소통 역량 19 2. 문화간 감수성의 그 밖의 이론들 22 D. 선행연구 고찰 25 1. 한국어 교사의 자질 25 2. 문화간 감수성 27 E. 연구문제 30 Ⅲ. 연구방법 32 A. 연구절차 32 B. 조사대상 33 C. 조사도구 36 1. 문화간 감수성 척도 37 2. 분석방법 38 Ⅳ. 조사결과 분석 39 A. 상호작용 참여 41 B. 문화차이 존중 48 C. 상호작용 자신 54 D. 상호작용 향유 59 E. 상호작용 주의 62 Ⅴ. 결론 66 A. 결론 66 B. 한계점 및 시사점 67 참고문헌 70 부록 73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20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감수성 측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of Korean teach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dc.creator.othernameYang, Joo Hee-
dc.format.pagei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