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교사 피드백 유형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 피드백 유형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Teacher Feedback Type on Improvement of Korean Writing Proficiency in Marriage Immigrant Women
Authors
송운옥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feedback type offered by the teacher to the pupil on improvement of Korean writing proficiency in immigrant wome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analyze which feedback type (direct feedback or indirect feedback) by the teacher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Korean writing proficiency and reducing errors in Korean writ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feedback type more positively affects study motivation and interest in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possess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o answer these questions, 21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have attained Level 3-4 on TOPIK were divided into direct feedback group and indirect feedback group. Each group was given 5 writing tasks, once a week for 5 weeks. The first written results from the first task and the fifth task were considered as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respectively.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each work according to error analysis framework, standardizing the number of errors committed by the subjects,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 in rate of formal error. TOPIK intermediate level writing topic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and the writing tasks were limited to 400-600 characters in length. To provide accurate feedback on formal errors, a new error categorization framework including grammatical, vocabulary, and spelling errors was construct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Each group was given a different type of feedback. To test for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riting questions previously issued on TOPIK were us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ficiency difference was found. To analyze the qualitative aspect of subject response to teacher feedback (study motivation, interest), all subjects were given a survey and an interview at the end of the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 in writing proficiency between direct feedback group and indirect feedback group. Error rate was analyzed to find which of the two feedback types was more effective for reducing formal error. Technical analysis showed that error rate de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the rate of decrease. However, when analyzing the formal error rate between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writing samples, both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o be more specific, the indirect feedback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grammatical error rate and spelling error rate, while the direct feedback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elling error rate.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feedback itself, it can be seen that indirect feedback provided a more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writing accuracy of the subjects and reducing the rate of formal error. Secondly, to test the hypothesis that indirect feedback by instructors would exhibit more positive qualitative aspects (study motivation, interest) compared to direct feedback,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average. Subjects in both groups showed positive reaction to feedback itself, answering "above average" for categories such as personal improvement in writing skill after teacher feedback, implementing teacher feedback when writing about other topics, interest in writing, motivation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motivation for writing. On average, the direct feedback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the indirect feedback group.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that could generalize and validate the results, and aid instructors in formulating a more effective feedback metho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helping to improve their writing accuracy.;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 유형이 중급 수준의 여성결혼이민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학습자 쓰기에 나타나는 형태 오류에 대해 교사가 제공하는 직접적 피드백과 간접적 피드백 중 어떤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과 한국어 쓰기 오류 감소율에 효과적인지 알아보는 것이며,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두 피드백 방법 중 어떤 피드백 방법이 중급 수준의 여성결혼이민자의 쓰기에 대한 학습 동기와 흥미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TOPIK 3-4급인 중급 수준의 여성결혼이민자 21명을 직접적 피드백 집단, 간접적 피드백 집단으로 나누고 1주일에 1회씩 약 5주 동안 5회에 걸쳐 작문 과제를 실시하였다. 1차시 작문과 5차시 작문의 처음쓰기 결과물을 각각 사전과 사후 실험으로 간주하여 오류 분석 기준에 맞게 분류하여 학습자들이 범한 오류의 수를 표준화시킨 후 형태 오류율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한 쓰기 주제는 TOPIK 중급 쓰기 문제로 선정하였고 작문의 길이는 400-600자로 통제를 하였다. 형태 오류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 제공을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오류 유형 범주를 재정리하여 피드백 대상을 명확히 정하였고, 피드백 방법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에 따라 다른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여 실험을 하였다. 두 실험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TOPIK에서 실시한 문제 중 쓰기부분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차이가 없다는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오류 분석을 위한 범주를 문법, 어휘, 철자로 나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피드백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학습동기 및 흥미)을 알아보기 위해 모든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후 설문지 조사와 사후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질 집단이었던 두 실험집단이 교사의 직접적 피드백과 간접적 피드백을 받은 후 집단들 간의 쓰기 능력 향상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여전히 동질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 오류 감소에 두 피드백 중 어떠한 방법이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 후 학습자들의 쓰기 작문에 대해 형태 오류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는데 기술적인 분석에서는 오류율이 감소하였으나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두 실험집단의 각 집단 내 사전 쓰기 작문과 사후 쓰기 작문간의 전체 형태 오류율을 비교한 결과 두 실험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개별 형태 오류율 분석의 경우 간접적 피드백은 문법 오류율과 철자 오류율에서 집단 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직접적 피드백의 경우 철자 오류율에서만 집단 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피드백 자체의 효과로 봤을 때 간접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정확성 향상과 형태 오류 감소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쓰기 작문 후 교사로부터 간접적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 집단이 직접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보다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학습동기와 흥미)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의 빈도분석과 평균값을 조사한 결과 두 집단의 학습자들은 피드백 자체에 대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 피드백 후 본인의 쓰기 실력 향상 정도, 다른 주제 작문 시 교사 피드백 반영 정도, 쓰기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소망, 쓰기에 대한 동기에 대해서는 직접적 피드백을 받았든지 간접적 피드백을 받았든지 상관없이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함으로써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값에 대해서는 직접적 피드백이 간접적 피드백보다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더욱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후속 연구에서 좀 더 일반화할 수 있고 신뢰도 있는 분석 자료를 마련하여 교사가 여성결혼이민자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지도 방안을 연구하고 실질적으로 교실 쓰기 학습으로 이루어진다면 여성결혼이민자의 쓰기 정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