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석류-
dc.creator석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2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240-
dc.description.abstract교사는 안정적인 임금과 정년 및 연금이 보장되고, 교직을 수행하며 개인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매력적인 직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계속 떨어지고 있다.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인기는 높지만, 정작 교사들은 스트레스와 소진을 겪고 있는 것이다. 학생들과 상호작용 과정에서 교사의 영향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학생과 함께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교사는 수업뿐만 아니라 학생의 발달 조력과 함께 다양한 문제 행동에 개입하여 지도하고, 행정업무와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교사는 직무 수행시 필연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긴장, 욕구좌절, 분노, 불안 및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한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에 대한 열정을 감소시켜 심리적 소진의 가능성을 증대시키는데, 모든 교사가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으로 소진되는 것은 아니므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 시키거나 완충할 수 있는 요소를 찾아 이를 예방하거나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는 학생과 감정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학생의 지도에 있어 분노와 같은 감정을 억제하고 항상 온화함과 열정으로 학생을 돌볼 수 있는 효과적인 감정통제를 수행할 것을 요구받는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어야 하고, 자신의 감정 관리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감정을 갖도록 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교사의 감정은 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며, 교사는 교직을 수행하면서 적절한 감정조절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감정과 다르게 표현하는 감정노동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관점에서 교사의 직무수행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감정노동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심리적 소진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지원방향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교사들이 느끼는 감정노동을 이해하여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Parker와 Decotiis(1983), Quinn과 Shepard(1974)의 연구를 근거로 강문실(2008)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심리적 소진 척도는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aslach Burnout Inventory(MBI)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감정노동 척도는 Gilstrap(2005)의 연구를 근거로 이진화(2007)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설문지를 중・고등학교 교사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각 연구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직무부담과 심리적 소진의 경우 여자 교사가 남자 교사에 비해 높았다. 또한 감정노동은 20~30대 교사가 40대 이상 교사에 비해 높았다. 심리적 소진은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높았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심리적 소진을 예측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의기소침, 직무부담, 시간적 압박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높아졌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심리적 소진을 예측하였는데, 표면적 행동은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내면적 행동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적 행동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높아지나, 내면적 행동의 매개효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드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긍정적인 태도로 감정노동을 수행하여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몇 가지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첫째, 감정노동으로서의 교사의 직무 수행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감정노동에 관한 논의가 교사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교사의 감정노동의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 결과를 함께 살펴, 향후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사의 심리적 갈등을 파악하고 교사의 불만과 문제를 파악 할 수 있는 제도 시행의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셋째, 교사의 감정노동 중에서 내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을 줄이는데 유용하므로 교사의 내면적 행동 배양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초로 감정노동으로서 교사의 업무를 보는 심층적이며 다각적인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teaching profession is an attractive job that guarantees stable income, retirement age and pension. Teachers can contribute to society while teaching. Nevertheless,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s constantly falling. Although it is a popular job, teachers experience in stress and burnout. As teachers may affect students during interactions with students, teachers should be studied with students. Teachers intervene and guide various problem behaviors as well as teaching classes and helping development of students, and perform various roles such as administrative works. Teachers necessarily experience job stress in job performance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tension, desire frustration,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Job stress increases psychological burnout by decreasing passion for job. However, as not all teachers become psychologically exhausted because of job stress, we need to find methods to prevent and reduce elements to reduce and mitigat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through emotion, and are required to perform effective emotion control coercing feelings such as anger and taking care of students with generosity and pass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manage their feelings effectively, and have capabilities to provide desirable feelings with students as well as to manage their own emotions. Feelings of teachers affect students and teachers should be able to perform emotional labor expressing feelings different from what they really feel through appropriate feeling adjustment while performing teaching job.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effects of job performance of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from the perspective of sentimental work. It tried to identify difference in job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and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confirmed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emotional labor. This study tried to provide direction of supports to mitigate and prevent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and reasonabl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on psychological burnout by understanding emotional labor that teachers should perform.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measure job stress of teachers, th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Kang Mun‐il(2008) based on the studies of Parker and Decotiis(1983), and Quinn and Shepard(1974). To measur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1981) was used. To measure emotional labor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Jin‐wa(2007) for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study by Gilstrap(2005) was adjus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o explain research problems, Sobel‐est was perform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perform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s a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In job burden and psychological burnout which are sub factors of job stress,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score than male teachers. Additionally, teachers in 20s and 30s showed higher score in emotional labor than teachers in 40s. In psychological burnout,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score than high school teachers, and public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score than private school teachers. Second, the followings ar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of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Job stres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or of psychological burnout. As depression, job burden and time pressure, which are sub factors of job stress, were higher, psychological burnout became higher.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sub factors of emotional lab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Surfaceacting made positive effects on burnout and deep acting made negative effects. Third, deep acting, a sub factor of emotional labor, was confirme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other words, with higher job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becomes higher but because of mediating effects of deep act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gets r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discourses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regarding methods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by performing emotional labor with positive attitude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job performance of teachers as emotional labor made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It proposes that discussion of emotional labor should be expanded to teachers. Second, it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studies regarding emotional labor of teachers by review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of emotional labor. It identified psychological conflicts and proposed base materials to identify complaints and problems of teachers. Third, as deep acting out of emotional labor is useful for reduction of psychological burnout, policy dimens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nurture deep acting of teachers. It is expected to many in‐epth and multi‐aceted follow‐p studies to see teaching job as emotional labor will fol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직무스트레스 5 2. 감정노동 5 3. 심리적 소진 5 II. 이론적 배경 6 A. 직무스트레스 6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6 2. 직무스트레스의 특징 9 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10 B. 감정노동 12 1. 감정노동의 개념 12 2. 감정노동의 특징 15 3. 교사의 감정노동 17 C. 심리적 소진 18 1. 심리적 소진의 개념 18 2. 심리적 소진의 특징 20 3.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 요인 22 III.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B. 연구도구 27 1. 직무스트레스 척도 27 2. 감정노동 척도 28 3. 심리적 소진 척도 29 C. 자료 분석 방법 30 IV. 연구결과 31 A.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1 1.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31 2.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 32 B.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심리적 변인의 차이 33 1.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 33 2.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감정노동의 차이 37 3.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41 C.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44 1.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44 2.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매개효과 47 V. 결론 및 제언 50 A. 요약 및 논의 50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1 연구용 질문지 69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19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dc.creator.othernameSeok, Ryu-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