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구민정-
dc.creator구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1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167-
dc.description.abstract시대가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는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learning how to learn)과 학습자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학습하는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 강조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어떤 과제가 주어졌을 때 스스로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내게 필요한 정보를 알고 이것을 어디에서 얻을 수 있는지, 어떻게 활용이 가능한지 알 수 있는 능력이라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에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기본 심리 욕구를 독립변인으로, 학습몰입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기본 심리 욕구,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에 대한 모형을 검증하고, 검증된 모형을 바탕으로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총 38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직까지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살펴 본 연구는 많지 않고, 연구의 대부분은 대학생이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성차에 대한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으므로 청소년 특히,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 자기주도학습, 기본 심리 욕구, 학습몰입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학습과 기본 심리 욕구, 학습몰입에서 모두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기주도학습과 기본 심리 욕구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몰입 역시 더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 매개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재확인하기 위해서 부트스트랩(bootstrap)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 있어 학습몰입은 두 변인 사이를 매개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특히, 기본 심리 욕구는 정의적 몰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성차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몰입의 매개효과를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니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여학생 집단은 기본 심리 욕구가 인지적 몰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집단은 기본 심리 욕구가 정의적 몰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fast-paced 21stcentury is witnessing an unprecedented emphasis on learning how to learn and self-directed learning by learners as learning subjects. Self-directed learning refers to one’s ability to solve problems for oneself by effectively sorting out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needed to solve a task given. That is, it is the ability of a learner to take the initiative in identify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finding out the right sources and approaches to make use of such 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se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hilst the learning flow as a mediating variable. By verifying the model relevant to perceived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verified model. Accordingly, a total of 381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first- and second-year classes at 4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sides,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undergraduates or adults. Moreover, as previous reports on gender gap are inconsistent,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gender gap in youths, specifically high school students. Below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learning flow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significant gender gaps were found in self-directed learn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learning flow.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compared with male students. Second, this study analysed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lso, the bootstrapping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was significant. As a result, learning flow prov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Notably, basic psychological needs proved to exert in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via affective flow.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gender gap in the moderation effects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moderation effects of flow were subdivided into cognitive flow and affective flow, both of which led to significant gender gaps. In femal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ed self-directed learning via cognitive flow, whereas in mal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ed self-directed learning via affective flo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자기주도학습 5 1.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5 2.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소 7 B. 기본 심리 욕구 9 1. 자율성 11 2. 유능감 11 3. 관계성 12 C. 학습몰입 13 1. 학습몰입의 개념 13 2. 학습몰입의 구성요소 15 D. 기본 심리 욕구,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18 1. 기본 심리 욕구와 학습몰입의 관계 18 2.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19 3.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20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연구절차 22 C. 연구도구 23 D. 자료분석 26 Ⅳ. 연구결과 28 A. 주요변인들과 관련된 기초분석 28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28 2. 주요변인들의 상관관계 29 B. 주요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30 C. 모형 검증 32 1. 모형의 적합도 분석 32 2. 구조모형의 분석 33 3.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35 D. 남녀 집단에서 모형 적합도와 경로 차이 비교 37 1. 기저모형 검증 37 2. 측정의 동일성에서의 성별차이 검증 40 3. 집단 간 등가제약에서의 성별차이 검증 40 Ⅴ. 결론 및 제언 42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4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57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0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고등학생의 기본 심리 욕구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의 성차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Gender Gap in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dc.creator.othernameKoo, Min Jung-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