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아개념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아개념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o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신호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와 교우관계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함으로써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고 인성교육 차원에서 활용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학급당 학생 수 24명)을 선택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 10회기의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매 회기마다 40분씩 실시하였다. 같은 기간 비교집단에는 컴퓨터 기능 활용 연습과 같은 자아개념과 교우관계와는 관련 없는 활동 내용을 지도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개념과 교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 전과 치료 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자아개념 검사, 교우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PC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사전측정치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 test)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또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측정치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 자아개념의 하위 요인 중 신체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인성적 자아개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교육연극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교우관계가 향상되었으며, 교우관계의 모든 하위 요인(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제의 지속성, 친구간의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동 회기별로 작성한 아동의 활동 소감을 분석한 결과, 신나고 즐거우며 공부에 대한 재미를 느꼈다는 반응과 함께 친구와 친하게 지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여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완해주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습관개선 중심의 단기간의 교육연극방법은 학업적 자아개념의 향상을 위해서는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며 추후의 연구에서는 실제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흥미를 향상시키는 차원의 교과목 연계 프로그램이 재구성되어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서울시의 특정 초등학교의 한 학급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하다. 1학년 아동이나 지역적 특성이 다른 학교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니 아동들의 상호작용 및 행동변화를 상세히 관찰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보조교사를 활용하거나 상황을 녹화한다면 다양한 아동들의 행동반응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10회기의 단기간 프로그램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장기간 연구 또는 연구 이후의 추후검사를 실시하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drama program o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nsist of 48 second graders from two classes(each consists of 24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One of the two classes chosen as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 session educational drama program.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during 'creative activity' class and each session lasts 40 minutes. Students on control group received computer utility lessons and such that were not related to self-concept or peer relation during 'creative activity'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enhancement on the overall self-concept compared to control group after receiving educational drama program. They especially showed enhancement on physic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and personality self-concep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enhancement on the overall peer rel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after educational drama program. They showed enhancement on all 4 subscales of peer relation which are having more than one friend and trustworthiness, duration of relationship, friend adaptation, and hanging out with friends. Students on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a log after each session and the analysis of them showed the fact that they had fun, found more interest in learning and felt closer to their friends. This supplements the fact that educational drama program had effects on their enhancement of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drama program on self-concept and peer-relation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us facilitating further utilization of the program to preven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students by embedding it in 'creative activity' class curriculum. The study also has its limitations. First, the program which took 10 sessions is considered ineffective to enhance the academic self-concept of the participants. To enhance the academic self-concept, the actual content of school curriculum can be incorporated in the content of the drama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 was limited to a specific elementary school and a grade. Applying the program on wider range of participants is needed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 Third, the researcher administered the program alone whole through the sessions so there was little chance for her to closely observe the behavior and the interactions of the participants. This can be complemented by having another researcher or video-recording the experimental situations. Fourth, 10 session program might not be long enough to have a fundamental change o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 Follow-up is needed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rogram. Also, designing long term program is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