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4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4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운영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191개의 공ㆍ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5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총 3개 범주, 4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다중응답을 산출하여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을 알아본 결과, 대다수의 공ㆍ사립유치원에서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도서대여의 위치는 공립유치원은 별도의 유치원 도서실에서 많이 이루어졌고, 사립유치원은 별도의 유치원 도서실과 별도의 공간 없이 각자의 교실에서 실시한다는 응답이 각각 많았다. 또한,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공ㆍ사립유치원 모두 도서대여가방을 가장 많이 구비하고 있었고, 도서가 노화될 때 유치원 예산으로 도서를 교체하거나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공ㆍ사립 유치원이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운영방침을 수립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하고 있었으며, 1주에 1회 도서대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곳이 많았다. 공ㆍ사립유치원 모두 도서대여는 금요일에 실시하고, 도서반납은 월요일에 한다고 응답한 유치원이 가장 많았다. 또한 가정으로 가져갈 도서는 유아가 스스로 선택하였고, 담임교사가 가장 많았으나 사립유치원이 공립유치원에 비해 담임교사가 담당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훨씬 높았다. 유치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도서는 공립유치원은 십진분류법으로 정리 및 보관하고 있었고, 사립유치원은 별도의 기준이 없이 정리하고 보관하고 있다고 응답한 유치원이 많았다. 가장 많이 빌려가는 책의 장르는 공ㆍ사립 유치원 모두 동물과 식물을 의인화하거나 장난감을 소재로 한 창작ㆍ환상동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공ㆍ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도서대여를 하기에 가장 적당한 곳으로 공ㆍ사립 유치원 교사 모두 별도의 유치원 도서실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 교사들은 가장 필요한 구비품으로 공립유치원 교사는 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과 도서바코드라벨이 가장 필요하다고 각각 응답하였고, 사립유치원 교사는 도서대여가방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도서대여 담당자로 공립유치원 교사는 보조인력이 가장 적당하다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담임교사가 가장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에서 공ㆍ사립 대부분의 교사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업무가 과중되어 시간이 부족해서와 도서대여에 필요한 공간이 부족해서가 똑같이 가장 많았고, 사립유치원 교사는 도서대여에 필요한 공간이 부족해서로 나타났다.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의 반응과 학부모들의 만족도는 공립유치원의 경우 대체로 높거나 매우 높음, 사립유치원의 경우 대체로 높거나 보통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공ㆍ사립유치원 교사들은 가장 어려운 점으로 도서를 대여하거나 반납할 때, 시간이나 보조 인력이 부족함을 꼽았다.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ㆍ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유치원 일과 중 그림책과 연계된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가장 희망하는 교사교육내용 또한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다양한 독후활동을 꼽았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유아의 책에 대한 흥미, 유아의 독서태도 발달, 유아의 언어발달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도서대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예산지원, 정기적인 도서구입 및 체계적인 도서관리, 도서대여 관련 독후활동이나 연계활동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의 순으로 응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u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and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rogram. This paper tries to provide helpful basis for operating the book-lending progra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operating statu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2.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2-1.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methods of operating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2-2.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necessity and difficultie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2-3.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mprovement plan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This study carried out the survey targeting 554 teachers working at 191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s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studies and referenc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the operating statu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and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totally 40 question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and multiple responses, dividi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perating statu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most of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has instituted the book-lending program. In the public kindergartens, book lend was operated in separate libraries and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Book lend was operated in each classroom without the separate spa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which operates book -lending program were equipped with book-lending bags. When the books got to worn out, kindergarten budget was used to replace or purchase the books. Most of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had the operation policy to guide users. In many kindergartens, book lend was operated once a week, in which book lend was done on Friday and the return was on Monday. In all the kindergartens, the children decided to which books to lend by themselves. The children were helped by the class teachers at high rate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than the public kindergartens. For organizing books, the public kindergarten followed the decimal classification,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s didn’t follow any standard. Most frequently borrowed book genre was creative children’s story and fantasy fairy tale, in which animals and plants were impersonated in both kindergartens. Secondly,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the teachers preferred separate libraries as the most suitable space to lend a book. Moreover, for the necessary articl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elected Library work support system and book bar code label,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elected book -lending bag. For the book-lending staf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assistance staffs were most suitable,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classroom teachers were most suitable. The necessity of book-lending program was recognized as needed by most of the teachers i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case of not operating book-lending program,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because there was heavy burden and lack of time as well as the lack of space for book lend. For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y responded that it was because of the lack of space. The reaction and satisfaction to book -lending program was generally high or very high in the case of the public kindergartens, and it was generally high or moderate in the case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who operated the book-lending program responded that the hardest part was the lack of time or assistant staff in borrowing or returning the books.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ren’s concerns about book-lending programs, both public and private teachers responded that planning and running the classed related to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daily tasks was necessary.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 most desired education contents of teachers were various post-reading activities of the book-lending program.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pond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n book-lending program was the children’s interests in book,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reading attitude, the children’s linguistic development in order.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method to activate the book-lending program was the budget support on operating book-lending program, the regular purchase of book and systematic book management, post-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book lend and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programs in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그림책 5 1. 그림책의 유형 5 2. 유아기 그림책의 중요성 8 B. 도서대여 프로그램 11 1.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정의 11 2.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 12 C. 관련 연구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도구 18 C. 연구절차 20 D. 자료분석 2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2 A.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운영현황 22 B.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33 Ⅴ. 논의 및 결론 45 A. 논의 45 B.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4 부록 1.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 운영현황과 교사의 인식 설문지 60 부록 2.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설문지 72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3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운영현황 및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Teachers’Perception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dc.creator.othernameKim, Eun Jung-
dc.format.pagei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