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최진숙-
dc.creator최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5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541-
dc.description.abstract2013년 3월, 전국의 초등학교 1·2학년 교실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월별 주제 교과서가 적용되었다. 통합교육과정이 출현하기 시작한 제4차 교육과정부터 통합교과서는 꾸준히 변화를 거듭하였다. 교육과정의 시수 통합에서부터 통합대상 교과의 조정, 하나의 온전한 교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에 이어 세 통합교과를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하는 주제 중심 통합이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적용하여 교과서 역시 세 권의 통합 교과서를 사용하던 것에서 8개의 월별 주제 교과서로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세 통합교과를 관통하는 대주제-소주제를 교과서 명과 단원명으로 사용하였고 각 통합교과별로 주어지는 활동주제를 기초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과 활동을 구성하였다. 이것은 통합교과 간의 탈교과적 통합과 통합교과의 특수성을 동시에 추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주제 교과서는 2012년 시범 적용을 거쳐 2013년 전국 초등학교 1, 2학년에게 일제히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이 적용된 주제 교과서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과 개발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고 그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필요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주제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주제 교과서 편찬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새로운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변화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새로운 주제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운영한 후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 교과서에 편찬 방향’,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 교과서 활용 수업의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 교과서 활용 수업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3가지 영역의 총 3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개발하고 서울 소재 20개교의 178명의 교사에게 배부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통계프로그램(SPSS)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 교과서의 편찬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각 통합 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특성이 교과서의 활동에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주제 교과서가 탈교과적인 통합을 잘 이루었다고 매우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하지만 탈교과적 통합이 각 교과의 성격을 교과나 공통의 개념이나 기능으로 시작하지 않고 학생들의 실제의 맥락과 흥미를 강조한다(Drake, 2007)는 점에서 볼 때, 각 교과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 주제 교과서가 탈교과적으로 통합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과서가 교과와 상관없이 한권으로 제시된 것만으로도 통합이 이루어졌다고 보았으며 이를 통해 통합적 지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활동주제’가 교과서의 활동으로 잘 구현되었으며 활동 선정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보았다. 주제 중심 통합 학습 모형을 교과서에 구현한 것에 대하여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모형이 주제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통합 교과서가 편찬 방향에 맞게 제작되었다고 인식함을 설문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으나 탈교과적인 교과 통합에 대하여는 좀 더 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의 특징을 살려 지도하고 무엇을 가르쳐야하는 지 교과서의 제시된 내용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즉, 주제 교과서를 수업에 활용할 때 차시별로 표시된 통합교과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며 교과서에 제시된 방향에 대하여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었다. 40차시로 구성 있는 1권의 주제 교과서가 한 달을 수업하기에 적절하지 않으며 1차시의 활동양 역시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 교사들은 한 차시에 학습하기 위한 양을 기준으로 주제 교과서를 판단하였을 때 양이 차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생각하였다. 교과서의 활동 간의 연계성과 통일성에 대하여 위의 질문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는데 교사들이 교과서 활동을 운영하면서 주제 교과서에 연계성이나 통일성이 부족한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교과서에 나타나있는 재구성의 지침, 안내의 역할에 대하여는 교사들이 실제 실행하는 교과서에 제시된 재구성 차시를 활용한 재구성이나 교사 수준에서의 재구성에 비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수업을 통한 학생 평가에 대하여 교사들은 수업 활동 중의 평가를 강조하고 각 교과를 함께 평가하는 통합적인 평가보다는 각 통합 교과를 따로 평가하거나 새로운 활동을 준비하여 평가하였다. ‘마무리 활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마무리 활동’이 주제를 정리하는 활동으로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주제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수업을 준비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수업을 준비하기 위한 주제 교과서 활용 수업을 위한 동학년 단위의 교사 협의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활용 교사 연수에 실제 참여율이 높으나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업 능력과 사고력 등 인지적 측면에서 향상을 보인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교과 지식 습득, 통합적 사고 촉진시킨다고 생각하였다. 학생의 태도와 수업만족도에 대해서도 교사들은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주제 교과서 수업을 통해 주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고 생각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교과적 통합이나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은 학생의 생활과 흥미를 통해 각 교과의 경계를 허물고 통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주제 교과서는 여전히 각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차시별로 각 교과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주제 교과서가 탈교과적인 통합 교과서임을 강조하는 것과 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에 적절성에 대하여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교과서 한권의 양, 한 차시의 양, 활동 간의 연계성 등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봐야 함을 의미한다. 교과서 활동 간에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을 하기 위하여 활동이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활동의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주제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재구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국정 교과서이기 때문에 전국이 단일 교과서를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학교, 교실, 교사, 학생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당연히 모든 수업의 현실과는 괴리될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가 교사 수준의 재구성을 할 수 있도록 교과서가 좀 더 다양한 방식의 재구성을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은 각 통합교과의 평가를 위해 새로운 평가 활동을 따로 하고 있다. Drake(2007)는 자신의 저서에서 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평가에 대한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평가는 학습에서 실행할 수 있는 복합적인 평가를 해야 하며 이를 위해 평가 과제는 다차원적이며 각 교과를 가로지르는 기준을 통해 선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통합 수업을 진행하면서 평가는 분과적으로 하고 있으며 평가도구를 따로 제작하여 수업과는 별개로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 주제교과서를 통해 주변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교사들이 느끼는 주제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당초 우려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이상의 연구 내용과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주제 교과서는 세 개의 통합 교과서를 잘라 다시 묶은 수준에 불과하다. 주제 교과서가 탈교과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 교과간의 경계를 허물고 주제를 중심으로 각 교과가 체계적으로 재조직 돼야 할 것이다. 둘째, 주제 교과서의 활동을 각 교실에서 실행한 후에 그 활동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의 재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학생의 생활 소재, 학교 행사 등과 연계 운영을 위해 현재의 분량보다 더욱 감축하여 교과서를 구성하고 주제 교과서 내의 그리고 주제 교과서 간의 활동에 대하여 운영상의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동을 재조정하는 것을 통해 주제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이 더욱 즐거워지길 바란다. 셋째, 주제 중심 통합 학습에 맞는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교육과정 상의 내용 체계는 통합하여 나타나고 있으나 평가의 세목을 보면 각 통합교과에서 평가해야하는 내용과 방법이 따로 제시되고 있다. 주제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평가를 통합적, 맥락적으로 할 수 있도록 평가 방향과 방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평가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상의 제언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가 2009개정 통합교과를 적용한 주제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이 보다 발전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march 2013, the 'monthly them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pplied on the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students. Especially, three different subjects was integrated around the same theme, and this contributed to develop eight theme textbooks. The textbooks applied the main theme with the following sub-themes to blend the contents and activiti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how the 'theme textbook' is applied in the school reflecting the aim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er's intention, also, to identify its' effects and problems. The researcher produced a questionnaire, which had thirty questions. The results was distributed to 178 teachers in twenty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was analyzed statistically from SPSS. Three research problems were examined to inspect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heme textbook. First, what is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heme textbook instructions where the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was reflected?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d lessons by utilizing a new textbook? Third, what is the effect of using the new theme textbook on teaching?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evalu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integrated textbook were well reflected. In addition,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the textbook in the aspect of integrating subjects not only as the anti-textbook, but a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Second, teach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he teachers managed their classes complying with the presented contents and periods of the theme textbook guidance, yet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 was needed. Third, teachers answered that a new textbook helped promoting students' integrated thinking and learning compet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discussion. First, even though the theme textbook aimed to integrate textbooks as an anti-textbook,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Second, teachers recommended the adjustment on the quantity of each lesson, each textbook, and on the corelation of the activities. Third, diverse plans on reconstructing lessons was needed to supply the weaknesses as a national single textbook. Fourth, the teachers created new evaluation tools by themselves because the textbook included insufficient evaluation methods. For the last, the students reflected posi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s on their surrounding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of the textbook. Therefore, the theme textbook should be reconstructed to unite each subject as an anti-textbook. Also, the contents should be reduced according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regional features by the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contents. Lastly, the activities and the integrative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통합교과 교육과정 5 1.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념과 유형 5 2. 통합 교육과정의 개발과 평가 6 3.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12 4. 2009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개정의 특징 15 B. 교과서 개발의 특징과 과정 21 1. 통합교과서 개발 방식 및 방향 21 2. 통합교과서의 의미 24 3. 통합교과서 구성 및 활용 25 C. 선행연구 고찰 28 1. 초등학교 통합교과서에 관한 연구 28 2. 주제 통합 수업 운영과 그에 대한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31 Ⅲ.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조사도구 36 1. 설문 문항 선정 37 2. 설문 문항 구성 38 3. 조사 도구의 신뢰도 39 C. 자료 분석 41 Ⅳ. 연구결과 42 A.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교과서의 편찬 방향 반영에 대한 교사 인식 42 1. 교과서 편찬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 42 2. 교과서 구성에 대한 교사 인식 45 B.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49 1. 교과서 활용에 대한 교사 인식 49 2. 교과서 내용과 활동의 재구성에 대한 교사 인식 54 3. 학습의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 59 4. 주제 교과서 운영상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 인식 61 C. 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효과에 대한 교사 인식 65 1. 인지적 측면의 효과에 대한 교사 인식 65 2. 정의적 측면의 효과에 대한 교사 인식 68 Ⅴ. 요약 및 논의 72 A. 요약 72 B. 논의 76 C. 제언 78 참고문헌 80 부록 83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07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2009개정 통합교과 주제 교과서 활용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rvey of Teacher's Recognition concerning Lesson by Utilizing a Subject Textbook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Revised in the 2009-
dc.creator.othernameChoi, Jin Sook-
dc.format.pagexi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