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이효인-
dc.creator이효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9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93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and understand how a teacher carries out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specific class environment through real examples in school. This thesis attempts to find out what aspects teachers reconstruct and how they do it while they are reconstructing curriculum and comprehend their experiences on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hrough the attempts, recommendations for the better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re m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blems of this research are decided as follows. First, how's teachers' experience on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what are the specific parts of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eachers reconstructed? how do teachers implement each specific parts of reconstructed curriculum? what are the recommendations for stimulating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Second, how's teachers' experience on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how do teachers carry out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what are the recommendations for supporting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n terms of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To get the conclusion about the problems of this research above, this case study conducts a survey of 6 teachers who work at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the experiences of 2 third-grade and 4 sixth-grade teachers in S elementary school on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of their grade,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 and analysis of documents are mainly used as a method of the research. Collected result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carried out in 6 out of 7 specific parts of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hese 6 parts are the establishment of the objectives of a curriculum of a grade, teaching plans of the curriculum, creative field work, teaching method, materials for teaching and textbook and evaluation method. One part in which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not carried out is the contents of a lesson. The aspects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re examined through interview and specific aspects of experiences on reconstruction of each 6 specific parts are revealed and comprehended. Researcher presents 4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terms of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drawn by analysis of the teachers' experiences. First, to stimulate reconstruction of lesson contents, the only part in which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not carried out, ambiguity of criteria of the contents in national level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Second, teachers should not get information o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only from a teacher community they join and various cases on specific parts of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should be found and distributed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n advance. Third, to encourag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he optimization by reducing contents of a lesson appropriately is needed. Fourth, teachers' experiences o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nd the outcomes should not be just one-off thing by frequent personnel transfers. Second, this research analyzes teachers' experiences on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The reason is that it is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which says that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play more important role i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han other factors. From the results, teachers feel that they can focus o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with the experience of teacher community and say that they can share each other's specialty by joining a teacher community. Also, they shar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reconstructed curriculum they worked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y feel a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understand how hard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is. Furthermore,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work reduction because they can spend more time on preparing their lessons based on their composure and time left and they also have positive thoughts because curriculum-centere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an be formed instead of business-centered relationship. Bas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experiences on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there are 2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terms of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to support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One is that a specific manual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to the field.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know that teacher community plays a positive role i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but feel the difficulty in collaboration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collaboration is good in that it provides a chance for better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by integrating each one's specialty, but distorted collaboration can be worked as another force to the teachers and collaboration requires members' preparation such as a method of handling conflicts and a fellowship and trust among the members to produce beneficial results. The other is that there is a need to include realistic and practical ways for reduction of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in our system. One of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says exemption of administrative work was the best innovation of this year. About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teachers think it was nice because they could focus on preparing their lessons for the time left rather than they had less work to do. Also, besides much time they can use to make a commitment to preparing their lessons,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shif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from work-centered administrative relationship to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This research can have a limitation in terms of 1-year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lso, because observation on the factors supporting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examined from the aspects of teacher community and work reduction, teachers' experiences on other factors need to be examined. Lastly, this research mainly deals with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t grade level and grade level curriculum and class level curriculum written by teacher community have a lot of things in common in the case of S elementary school. Thus, the boundary with class level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by a teacher is not clear. Further researches on experiences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compensating these limitations need to be followed.;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적인 학교 사례를 통해 교사가 구체적인 교실 상황 속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행하고 있는 양상을 드러내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어느 영역을 재구성하는지,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알아보고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교사공동체와 업무 경감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더 나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돕기 위한 개선과제를 모색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은 어떠한가?, 교사가 재구성한 교육과정 운영 의 세부 영역은 무엇인가? 교사의 재구성한 교육과정 운영의 세부 영역별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교사의 교육가정 재구성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둘째, 교사의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교사의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에 대한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 측면에서의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얻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S초등학교 6인의 교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초등학교의 3학년 교사 2인과 6학년 교사 4인을 대상으로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교사공동체 및 업무경감에 대한 경험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자료 분석이 이용되었다. 수집된 결과는 연구 문제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육과정 운영'의 세부 영역 7가지 중 6가지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재구성이 일어난 6가지 영역은 학년 교육과정 목표 설정, 교과과정 지도방안,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 방법, 수업 자료 및 교과서, 평가 방법 영역이다.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일어나지 않은 1가지 영역은 수업 내용 영역이었다.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양상을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6가지 세부 영역별로 구체적인 재구성 경험의 양상을 드러내고 이해하여보았다. 이를 통해 드러난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측면에서의 개선과제 4가지이다. 하나,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중 유일하게 재구성이 나타나지 않은 수업 내용에 대한 재구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내용 기준의 모호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 교사들이 자신과 자신이 속한 교사공동체에서만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 점을 개선하고 먼저 교육과정 재구성을 경험한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세부 영역별로 다양한 사례가 발굴되어 보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 교육과정 재구성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을 적절하게 감축하는 방향의 적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넷,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해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성과들이 1회용이 되는 것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는 요인 중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의 역할이 크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사공동체 경험으로 인해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집중이 가능했음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사공동체로 인해 각자의 전문성을 교류할 수 있었다고 말하고 있었다. 또한 함께 재구성한 교육과정에 대한 책임감을 공유하고 있었다. 동시에 협력 과정에서의 갈등과 어려움을 느끼고 협력의 절차가 쉬운 것이 아님을 이해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들은 업무경감의 경험을 통해 정신적인, 그리고 시간적인 여유를 기반으로 보다 많은 시간을 수업 준비에 할애할 수 있어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사 간의 관계가 행정업무적 관계가 아닌 교육과정 중심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 측면에서의 개선과제는 2가지이다. 하나는 교사공동체의 형성과 발달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을 현장에 제공해야 한다. 연구대상교사들은 교사공동체가 교육과정 재구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지만, 동시에 협력의 어려움도 실감하고 있었다. 협력은 구성원 별로 서로 다른 전문성을 융합하여 더 나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익하지만, 반대로 왜곡된 협력은 교사들에게 또 다른 강제로 작용할 수 있기도 하며, 협력이 유익한 결과를 내기 위해서 필요한 서로 간의 유대감과 신뢰, 갈등 관리 방법 등에 대한 구성원들의 대비가 동시에 요구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교사의 행정업무 감소를 위한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안들이 제도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대상교사 중의 한 명은 올해 행정업무를 면제해준 것이 최고의 혁신이었다고 말했다. 업무가 없어졌다는 것에 대해 교사들은 해야할 일이 덜어져서 좋았다기 보다는, 업무에서 해방된 시간만큼 수업 준비를 더 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에 헌신할 수 있는 시간 확보 측면 말고도, 교사 간의 업무를 중심으로 한 행정적 관계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업무는 전문적 교육공동체 형성을 저해하는 측면이 있었는데, 이것이 해소되었다는 점에서 만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1년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을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의 측면에서만 살펴보았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이 분석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학년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해 주로 다루었으며, S초등학교의 사례의 경우 교사공동체에 의해 작성된 학년 교육과정과 학급 교육과정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 수준의 학급 교육과정 재구성과의 구분은 명확하게 하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영역 5 1. 국가 교육과정 5 2.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의미 6 3. 교육과정 재구성 영역과 교사의 자율성 8 4.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태 12 B.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는 요인: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 15 1. 교사공동체와 교육과정 재구성 16 2. 업무경감과 교육과정 재구성 18 C.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와 창의지성학년 정책 19 1.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20 2. 연구대상학교의 창의지성학년 25 Ⅲ. 연구방법 28 A. 연구 설계 28 B. 연구대상학교 및 연구참여교사 29 1. 연구대상학교 선정 기준 29 2. 연구대상학교의 특징 및 창의지성학년 형성과정 30 3. 연구대상학교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31 4. 연구참여교사 32 C. 자료 수집 방법 33 D. 자료 해석 방법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7 A.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37 1.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나타난 세부 영역의 종류 37 2.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행 양상 40 B. 교사의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에 대한 경험 71 1. 교사공동체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 71 2. 업무경감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 77 C.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개선과제 80 1. 교육과정 재구성의 측면에서의 개선과제 81 2. 교사공동체와 업무경감 측면에서의 개선과제 84 Ⅴ. 결론 86 A. 요약 및 결론 86 B.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88 참고문헌 90 부록 94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64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기도 창의지성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in Teachers'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a National Curriculum in an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Yi, Hyo In-
dc.format.pagex,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