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욱-
dc.contributor.author배상현-
dc.creator배상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3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371-
dc.description.abstract헬스 커뮤니케이션(Health communication)은 원활한 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다 많은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를 나눔으로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을 꾀하고, 나아가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의료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어 왔으며, 더불어 의사와 환자 관계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역시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대화분석법 연구, 환자의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등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환자의 지식 정도나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와 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의료 전문인과 일반 공중 간의 보다 원활하고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위한 주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인과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내의 하위 항목인 개인적 능력과 사회확장적 요소를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커뮤니케이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와 환자 관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변수인 신뢰도와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일반인과 만성질환자의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만성질환자를 고혈압군과 당뇨군으로 나누고, 중증도와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차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만성질환자의 질환별 지식 정도와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 분류한 고혈압 환자와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해당 질환에 대한 지식 정도를 측정하고, 수치화 한 질환별 지식 정도와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서 20대 이상 성인 남녀로 구성된 일반인 200명과 만성질환자 중 고혈압 환자 100명, 당뇨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는 개인적 능력(Individual abilities)과 사회확장적 요소(Broader factors)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은 신뢰도와 만족도로 측정되었다. 첫째, 일반인과 만성질환자의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는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환의 유무와 관계없이,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높을수록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활하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의료전문인과의 활발한 소통을 위하여 일반인과 환자 모두에게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만성질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환자의 중증도는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질환의 경중, 혹은 질환의 유형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는 질환의 유무 혹은 질환의 유형에 관계없이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만성질환자의 질환별 지식과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는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혈압 환자의 경우보다 당뇨 환자의 질환별 지식 정도와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가 커뮤니케이션 인식과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의사와 환자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소통을 위해 보완해나가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국내에서 최초로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를 사용하여 일반인과 만성질환자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며, 보다 실증적인 시각에서 접근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선행 연구에서 ‘의료정보 이해능력’을 하나의 큰 변수로만 연구하였던 것과 달리,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를 개인적 능력과 사회확장적 요소로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구체적 검증 연구로 발전시켰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논의들을 통하여 의료 전문인과 일반 공중이 상하의 관계가 아닌, 동등한 수평적 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연구방향 및 함의점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Health Communication aims to increase social support to promote health, and create a sustainable public health care system based o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o that end, the importance of Health Literacy has been highlighted and there has also been ample research regarding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mmunication have focused mainly o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doctors, conversation method analysis, patients’ decision making processes, and self-esteem. However, there has been scant amount of research on the links between patients’ intellectual level, their ability to digest medical information, and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both doctors and patients. Thus, this study is designed to see core factors enabling smooth and mutually beneficial communication by looking at how one’s ability to understand medical information affects the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t analyzes average people and people with medical conditions based on their individual abilities and societal broader factors under the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It also identified two crucial variables in communication recogni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credibility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first experiment looked at both groups with and without a chronic illness based on how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affects the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e second experiment divided patients with a chronic disease into two groups: those suffering from diabetes and those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conditions and the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Through these experiments,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severity of conditions. The third experiment focused on the effects the intellectual level and level of understanding of medical information had on the communication among doctors and patients. It measured the patients from the 2nd experiment regarding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ir symptoms, and attempted to find out the what effects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had on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o prove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 patients with high blood pressure, 100 patients with diabetes in their twenties, and 200 ordinary people without any medical symptoms. The survey asked about individual's ability to digest medial information and societal broader factors, which were to measure medical comprehension. It also includes questions about the credibility and satisfaction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parties. First, there appeared to be a link between one’s (both chronic patients and those without a chronic disorder) understandings of the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and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t suggests that regardless of one's medical condition, he or she is more likely to engage in effective communication when one has a better chance of understanding medical information. From this, we can conclude that Health Literacy Management is crucial for both doctors and patients when it comes to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medical professionals. Second, after looking at the effects the link between the severity of chronic patients and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we concluded that the severity does not affect one’s perceptions about the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parties. It shows that the severity and types of medical conditions are not important factors in the level of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a patient’s types and severity of medical conditions, his or her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affects the communication with doctors.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 clear association between a chronic patient’s knowledge on a medical disorder;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n particular, high blood pressure patients showed a positive link in their ability to digest medical knowledge;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compared to the group of patients with diabet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Among other things, it's import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study conducted in South Korea comparing chronic patients and people without any medical disorder using the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Moreover, it is academically meaningful as it is an empirically proved research an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regarded medical comprehension index as a single variable,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one’s individual abilities and societal broader fact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that we can build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rather than a vertical one, thereby allowing a meaningful perspective and agreement point for researchers in healthcare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 목적 및 의의 4 Ⅱ. 이론적 배경 7 A.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관리지수 7 1.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정의 7 2.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 10 B.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 14 1.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14 2.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과 의료정보 이해능력 16 C.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만성질환 지식정도 18 1.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만성질환 19 2.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만성질환 지식정도 22 Ⅲ. 연구문제 24 Ⅳ. 연구 방법 27 A. 연구 설계 27 B. 연구 대상 27 C. 설문지의 구성 28 D. 분석 방법 28 E.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인 29 1.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지수 29 2.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31 2-1. 신뢰도 31 2-2. 만족도 31 3. 만성질환 32 4. 만성질환의 지식 측정도구 34 4-1. 고혈압의 지식 측정도구 34 4-2. 당뇨의 지식 측정도구 34 Ⅴ. 연구 결과 36 A. 기초 분석 결과 36 1. 조사대상의 연구통계학적 특성 36 2. 주요 변인의 신뢰도 검증 39 3. 주요 변인의 특성 40 B. 연구 문제 검증 42 1. <연구 문제 1>의 검증 42 2. <연구 문제 2>의 검증 54 3. <연구 문제 3>의 검증 65 Ⅳ. 결론 및 논의 89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89 B.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93 참고문헌 95 부록-1 설문지- 일반인 105 부록-2 설문지- 고혈압 109 부록-3 설문지- 당뇨 113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29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일반인과 만성질환 환자 비교 중심 분석-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Health Literacy Management on communication percep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 analysis focused on comparison of chronic patients and ordinary-
dc.creator.othernameBae, Sang Hyun-
dc.format.pagex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