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의선-
dc.contributor.author정지영-
dc.creator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8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84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decides the profits of the recent controversy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deliberation on music harmful to juveniles contradicting with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Juvenile Protection Act and the basic right of freedom of expression, and also does a constitutional analysis on whether the current laws restrain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are excessive regulations or not. For this, we understood the problems pointed out in the current deliberation on music harmful to juveniles, and reorganized the constitutional issues. And with those issues at the center, we made a standard for judging whether the regulation was excessive or not concerning the expression about alcohol which is the central topic of the controversy, and in order to back up this debate tried to find a basis of argument in the social sciences. And finally we propose a new constitutional solution related to policy that can improve and add to this argument. The Juvenile Protection Ac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deliberation on music harmful to juveniles, is a law that regulates harmful social environments to protect adolescents and foster them into sound members of our society. This kind of active regulation across the country and whether it is appropriate is socially accepted because there are tangible results. However the standard of judging the level of harm and the problems that come from applying that standard are in excess, leading to continuous dispute on this subject. In order to set a standard for this discussion,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way to judge the excessiveness of the deliberation is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then from that figure out the connections to actual detailed dangers and also decide on the standard's ambiguity and comprehensiveness. And with this point, we discussed whether the deliberation on popular music concerning expression about alcohol being harmful to juveniles was excessive regulating or not. With these two standards set, when we discussed the legis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eliberation of popular music's expression about alcohol as harmful music, we observed that there was not enough objective proof of the detailed dangers of such expressions and from a constitutional and analytical standpoint there seemed to be an overregulation because of its ambiguous and comprehensive standards. For there to be a basis of argument from the social sciences, we planned the research to use an empirical method with communications theory as the backbone. In order to find the detailed dangers,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the lyrics from popular music, we applied the Message Interpretation Process model (MIP) and did a field survey for adolescents. Also, we held an interview for adults with the third person effect theory as the base for those adults who think they aren't affected by the harmful messages but adolescents get influenced easily; and therefore support and make possible the overruling. First we categorized expression about alcohol in popular music into 4 groups - ‘explicit/repetitive’, ‘explicit/one-time’, ‘implicit/repetitive’ and ‘implicit/one-time’ - and chose popular music that fit into each category. As a result, adolescent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in identifying, liking and attitude (expected effectiveness) by expression about alcohol in music that was ‘explicit/repetitive’, and there wasn't a big influence in their visible changes such as attitude. Therefore, expression of alcohol in popular music did have influence on adolescents via the MIP model but the effects on identifying, liking and attitude was only for the ‘explicit/repetitive’ category. So by not categorizing the expressions and regulating all kinds of expression altogether cannot help but be excessive regulation. But adults thought that expressions about alcohol, no matter the type, would have a big effect (potential or immediate) on adolescents' attitudes and thoughts about alcohol. They were especially worried about these potential effects showing up when the youngster is feeble in mind and body or when their judgment is clouded. So we can conjecture that the current excessive regulations come from the legislator adults excessively judging the harmful effects on adolescents based on the third person effect theory. Of course this study was not able to control all the variables and study subjects perfectly and only have short-term results, so it is far-fetched to generalize these results. However if there is a follow-up study that improves these limitations, it will have great significance academically and municipally. Therefore, for there to be a deliberation on music harmful to juveniles which has the consent of society and also is consistent and valid, there needs to be amendment and supplementation of the legislation and policy based on relevant research. Also, problem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deliberative body which have constantly come to the fore must be dealt with along with correct juvenile education. From then on, we hope for a more mature, advanced music deliberation system for juveniles to be established.;본 연구는 최근에 논란이 되고 있는 여성가족부의 청소년유해음반심의를 청소년 보호 법익과 표현의 자유 기본권 경합의 관점에서 이익형량하고,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는 현재 법률의 과잉규제여부를 헌법적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금의 청소년유해음반심의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헌법적 쟁점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쟁점을 중심으로 하여, 특히 논란의 중심에 있는 주류표현 관련 유해음반심의의 과잉규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과학적 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궁극적으로 이를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심의의 입법적·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청소년유해음반심의의 근간이 되는 청소년보호법은 청소년에게 유해한 사회적 환경을 규제하여 청소년을 보호하고 우리 사회를 위한 올바르고 건전한 구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입법 취지의 법률이다. 이러한 범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규제가 유해환경 규제에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강한 규제의 당위성은 사회적으로 인정되고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해성을 판별하는 심의의 기준과 그 적용에서 야기되는 문제점 등이 과잉으로 이뤄져서 논란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관련 국내외 판례를 분석하여 구체적 위험과의 개연성 여부와 기준의 모호성과 광범위성을 판단하는 것이 과잉규제여부를 판단하는 논점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점을 기준으로 하여 대중음악의 주류표현관련 청소년유해음반심의의 과잉규제여부를 논하였다. 이 두 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현재의 대중음악의 주류표현 유해음반심의의 입법과 그 적용을 논의해보면, 그 표현물의 구체적 위험성에 대한 객관적 근거의 미비하고 기준의 모호성과 광범위성으로 인하여 헌법적 해석학적 관점에서 과잉규제가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에 대한 사회과학적 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증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구체적 위험성 즉, 주류표현 대중음악 가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메시지해석과정(MIP) 모델을 적용하여 청소년 대상 필드 서베이를 진행하였다. 또 성인들이 자신은 유해한 메시지의 영향을 안 받지만 청소년은 쉽게 많은 악영향을 받는 다고 판단하여 과잉규제를 지지하고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3자 효과 이론을 근거로 하여 성인 대상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대중음악의 주류표현을 ‘명시적/반복적’, ‘명시적/일회적’, ‘암시적/반복적’, ‘암시적/일회적’ 총 4가지로 유형화하고 해당 유형에 속하는 대중음악을 선별하여 처치했다. 연구 결과, 청소년은 4가지 유형 중 ‘명시적/반복적’ 주류 표현에 대하여 동일시·호감도·태도(효과 기대) 차원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행동과 같은 가시적인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중음악의 주류표현이 청소년에게 메시지해석과정(MIP)모델에 따라 효과를 나타내지만 이는 ‘명시적/반복적’인 유형에 국한하여 청소년에게 주류에 대한 동일시·호감도·태도(효과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표현을 유형화 하지 않고 일체의 관련 표현을 규제하는 현 기준으로는 과잉규제가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성인들은 유형에 상관없이 대중음악의 주류 표현이 청소년의 주류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즉각적이거나 잠재적인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이러한 영향이 잠재되어 있다가 청소년들이 심신이 미약하거나 판단력이 흐려지는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날 것을 크게 우려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과잉규제는 입법자인 성인이 제3자 효과에 의해서 청소년에게 실질적으로 미치는 유해성을 과도하게 판단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물론 본 연구는 연구 대상 및 상황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하고 단기적인 효과를 살펴보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지면 학술적·시의적으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관성과 타당성을 갖추고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 청소년유해음반심의의 기준과 적용을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한 법률과 정책에 대한 개정과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 또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심의기관 운영의 문제와 청소년 교육도 상응하여 이뤄져야 한다. 이로써 성숙하고 발전된 청소년유해음반심의시스템이 정착해나가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청소년유해음반심의의 현황과 문제점 1 Ⅱ. 청소년보호법 제9조(청소년유해매체물의 심의기준)의 입법적 함의 5 A. 청소년보호법의 입법 목적 5 1. 청소년보호법 제정 배경 5 2. 청소년 보호 법익의 중요성 6 B. 청소년보호법 제9조(청소년유해매체물의 심의기준)의 기준과 적용 8 1. 청소년유해매체물 심의의 기준 8 2. 청소년유해매체물 심의의 기준의 적용 9 C. 청소년유해매체물 심의와 등급분류제도 10 D. 소결 13 Ⅲ. 표현의 자유 관점에서의 청소년보호법 9조의 해석 14 A. 표현의 자유에 관한 헌법적 논의 14 1. 표현의 자유 보장과 제한 14 2. 과잉규제금지원칙 16 B. 관련 영역에서의 과잉규제 판례 18 1. 외국 판례 18 가. Central hudson gas 판례 19 나. 캘리포니아주 청소년폭력비디오게임금지법 판례 20 2. 국내 판례 21 가. 여명808 판례 22 나. SM사 판례 23 C. 소결 26 Ⅳ. 주류표현 음반심의의 과잉규제여부와 사회과학적 논거 28 A. 주류표현 음반심의의 과잉규제여부 28 1. 구체적 위험의 개연성 28 2. 기준의 모호성과 광범위성 32 가. 약물의 의미 33 나. 남용의 의미 35 다. 조장의 의미 37 B. 사회과학적 논거 39 1. 분석 대상 및 관련 이론 40 가. 주류표현의 유형화 40 나. 메시지해석과정(Message Interpretation Process, MIP) 모델 42 다. 제3자 효과 46 라. 연구 분석틀 48 2. 연구 방법 49 가. 주요 개념과 조작적 정의 49 나. 연구 설계 51 다. 연구 결과 및 분석 52 C. 소결 58 Ⅴ. 결론 60 A. 요약 및 논의 60 B. 입법 및 정책적 제언 62 Ⅵ. 연구의 함의 및 한계 66 참고문헌 67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46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청소년보호법 제9조(청소년유해매체물의심의기준)에 대한 헌법적 해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MIP모델에 기초한 사회과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n Article 9 of the Juvenile Protection Act : Focus on the MIP model-
dc.creator.othernameJeong, Ji Yeong-
dc.format.pagev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