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아영-
dc.contributor.author허예빈-
dc.creator허예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61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First of all, this study modified a scale to measur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more appropriately.The subjects were 400 students, fifth grade who attended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y filled out a questionnaire containing 3 scales.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398 copies. SPSS Win 17.0 program and AMOS 7.0 were used. This study made use of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d conduc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ified self-directed learning scale had reason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that constructed four factors: intrinsic motivation, meta-cognition, cognitive strategy, self-efficacy. Second,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autonomy support predicte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self-directed learning. Third,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d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ignificantly impact self-directed learning.;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기본심리욕구 그리고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남녀 학생 400명으로 학년 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실시에 앞서 우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좀 더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기존에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 문항들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기본심리욕구 척도와 함께 설문지에 포함시켜 자료를 수집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들은 서구에서 개발된 것을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거나, 수정하고 개발하여 사용하였어도 자기주도 학습이라는 개념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척도의 신뢰성과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자기주도 학습이 학습전략과 정의적 특성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을 분명히 하고 문항들을 선별·분석한 결과, 내재동기, 메타인지, 인지전략, 자기효능감을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네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모두 정적으로 예측하고,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모두 자기주도 학습을 정적으로 예측한 것으로 보아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본심리욕구가 교사의 자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모든 변인들을 함께 포함시킨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유능성이 가장 강력한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관계성은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기본심리욕구 간의 상관성이 크기 때문에 설명 변수간의 억압효과가 일어난 것이라 판단하고 세 개의 기본심리욕구를 따로 분리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자율성, 관계성의 매개효과가 크게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모두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자율성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를 만족시켜주는 것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문제 4 Ⅱ.이론적 배경 5 A.자기결정성이론 5 B.기본심리욕구이론 6 C.교사의 자율성 지지 10 D.자기주도 학습 10 Ⅲ.연구가설 13 Ⅳ.연구방법 14 A.연구대상 14 B.연구절차 14 C.측정도구 15 D.분석방법 16 Ⅴ.연구결과 18 A.자기주도 학습능력 예비척도 분석 결과 18 B.최종 척도의 구성요인 확인 22 C.기술통계 분석 26 D.하위 요인 간 상관 26 E.구조 모형 검증 28 Ⅵ.논의 33 참고문헌 37 부록-1.문항번호 및 내용,평균,표준편차,문항-총점 상관,신뢰도 41 부록-2.설문지 45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48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tudents as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dc.creator.othernameHuh, Ye Bin-
dc.format.pagevi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