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저소득층 학생들의 창의적 음악활동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저소득층 학생들의 창의적 음악활동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experiences of creative music activities of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 A study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a local children’s center
Authors
이애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염현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study mus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activities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music activities and analyzing their various empirical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 case study was used within a social constructionism paradigm which understands phenomenon through subjective empirical interpretations and the process of how distinctiveness and complexity of the participants were underst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 elementary 3rd grade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t local children’s center which is located in K-Gu, Seoul. A researcher is currently working as an instructor for creative music activities and she/he conducted 17-sessions program for this study. To collect the data, process of creative music activities was recorded, participants observation journal was written and the activity results were filed as portfolio and video feed. The participants’ group discussion after each music activity was performed and after all 17 session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made. Also, by interviewing with social worker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the head of the center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information of other aspects of the participants that are presented in other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creative music activities was acquired and their attitudes in other subjects by referencing individual chil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that has been recorded at the center was monitored. An art therapist was involved to interpret their mental states with their drawings while listening to the music.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with 5-step process, filing data, reading and memos, categorization, interpretation, presentation and visualization, and each step was connected to each other spirally circulating repeatedly. To obtain reliability of the study in relation to the derived results through analysis, triangulation method that uses various data and resources was used, adequacy and feasibility through peer debriefing was verified and analyzed results were confirmed by conducting member checks for the interpreted results to see if the analyzed results are actually understood correctly. Furthermore, any interference that can result in error to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is removed in advance by recording reflective research journals after each session’s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 The result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ho attended creative music activities show 6 distinguishing marks. Firstly, participants now share their thoughts with others without constraints of thinking that there is only single answ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veryone’s thought and individuality and formed constructive peer relationship based on diversity. Secondly, the participants who now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diversity formed a discussion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a subject of music and each participant played a role as catalyst which stimulates each other’s ideas during the process of sharing own thoughts with others and expend their thoughts. Thirdly, the participants became interested in music personally and now pay more attention on the lessons, and their interests played a role as a mediator which reinforces their concentration and raise their more interests in learning. Fourthly, they were able to go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at show them how to express themselves. They now have confidence to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unbridling themselves from constrained thoughts without just following existing results. And they formed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turning their opinions into the musical results, and this leads to the improvement of self-respect and improve an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Fifthly, sense of musical achievement gained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made them to look at the phenomenon more positively and form internal motivational factors that provides developmental potential. Finally,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s joy of the music now enjoy music in their everyday life and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o their lives with emotional stability. However, the participants who attended at the end of the study had negative views by pointing out their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ason for their problems of behavioral outcomes. Also, they showed aggressive personality that the existing participants had at the start of the study. The results that different participation time shows different outcomes addresses a possibility that continuous music activities will finally have the musical effects and if the participants who joined the study at the end could develop themselves if they experience continuous music education. Thus, based on this study, a future qualitative study about sustainability of the music activities, that investigate the effects during the music activities attendance and experience process is suggested. Furthermore, at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of creativity, it is expected that studies for the process of interactions among sub-elements such as mental faculties, personalities, motivational factors, social environment shall be conducted, and methods to improve creativity by applying proper elements, if necessary, shall be developed.;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음악활동에 참여한 저소득층 3학년 초등학생들의 활동 과정을 탐색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다양한 경험적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육을 학습하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징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주관적 경험의 해석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는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 안에서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독특성과 복잡성에 대하여 이해하며 경험이 전개되는 방식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K구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의 저소득층 아동으로서 5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연구자는 창의적 음악 활동 지도 교사로서 연구에 참여하여 총 18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창의적 음악 활동 과정은 녹화 자료로 기록한 후 참여관찰일지를 작성하였고 활동 결과물은 포트폴리오와 영상자료로 정리하였다. 매회 음악 활동이 끝난 후에는 연구 참여자들의 그룹면담을 실시하였고 18회의 모든 활동이 종료된 다음에는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 공익근무요원, 그리고 센터장과의 면담을 실시하여 창의적 음악 활동 시간 외의 생활에서 나타나는 연구 참여자들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얻었으며 센터 내에서 기록되고 있는 과목별 개별아동평가서를 참고하여 타 과목에서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활동 결과물 중 음악 감상을 표현한 그림은 미술치료사에게 분석을 의뢰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자료정리, 읽기와 메모, 범주화, 해석, 제시와 시각화의 다섯 단계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단계는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나선형으로 연결된 전체로서 사용되었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 수집과 출처를 사용하는 삼각측정 방법을 사용하였고, 동료 연구자의 조언과 지적을 통해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해석 결과에 대한 참여자 확인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가 실제의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매회 참여관찰일지 기록 후에 반성적 연구 저널을 함께 작성하여 연구의 객관성의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방해 요소를 미리 제거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창의적 음악 활동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정해진 하나의 정답이라는 제한 없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며 자신과 다른 의견의 차이를 인정하고 개성을 존중하게 되었으며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발전적인 교우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둘째, 다양성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 연구 참여자들은 음악을 주제로 한 대화 안에서 일종의 토론 형식을 구축하게 되었고 자신과 다른 새로운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서로가 서로의 아이디어를 자극하는 촉매역할을 하며 사고를 확장시키게 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흥미가 음악으로 전환되면서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게 되었고 결국 음악적 흥미가 수업상황의 주의집중력 강화의 매개체로 적용되며 학습의 흥미를 높이게 되었다. 넷째,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쌓게 되었다. 기존의 결과물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정답이라고 인정받는 제한된 사고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자신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의견이 음악적 결과물로 산출되는 과정을 경험하며 성취감과 자신감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는 곧 자아 존중감의 향상으로 이어지며 의사표현력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다섯째, 다양한 음악 활동 경험을 통하여 얻은 음악적인 성취감은 긍정적인 시각으로 현상을 바라보는 결과로 이어지며 발전적 가능성을 마련할 수 있는 내적인 동기 요소를 형성하게 되었다. 여섯째, 음악의 즐거움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들은 음악을 즐기고 이를 생활화 하며 일생상활에서 음악을 통한 기쁨을 찾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지니게 되었고 정서적 안정을 취하게 되었다. 그러나, 연구 후반부에 합류한 참여자의 경우 기존의 연구 참여자들과 달리 행동 결과의 문제에 대한 원인을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주변 환경 요소로 해석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형성하고 있었고 기존의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 초반에 나타내던 공격적인 성향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연구 참여자들의 참여 시기에 따라 경험의 결과가 다르게 해석된다는 연구 결과는 지속적인 음악 활동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음악에 대한 효과가 발현될 수 있으며 연구 후반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도 지속적인 음악교육을 경험한다면 충분히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의 바탕으로 음악 활동 참여와 경험 과정에서의 효과를 탐색하는 음악활동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창의성의 발현 과정에서 지적인 능력, 성격, 동기요소, 사회적 환경과 같은 하위 요소들이 관계 맺는 과정을 연구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요소를 투입하며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