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미-
dc.contributor.author윤미선-
dc.creator윤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6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6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거문고 연주가 양성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보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법으로 우리나라 음악대학 국악과 24개교 중 거문고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5개 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5개교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거문고를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현재 각 연주단체 교직 개인활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거문고 전문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5개 대학교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으로 정악· 산조·창작곡 분야로 나누어 운영 되었다. 그리고 졸업연주회 준비를 위해 개별적으로 3곡(정악 1곡·산조 1곡·창작곡 1곡)을 선정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었으며 각 대학별로 비중 있게 다루는 음악 분야와 교육과정(이수내용)의 양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21세기 글로벌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현재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창작곡 구성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은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만족도, 거문고 전공실기 및 실습교과 내용, 거문고 연주가들의 전문성 및 실태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100명의 거문고 전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만족도에 대해서 55%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보였으며 음악대학 국악과 교육과정 중 가장 많은 경험과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 중 가장 중요한 교과목으로 전공실기 수업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전문적인 거문고 연주가 양성을 위해 거문고 전공실기 이수시간과 지도시간의 배정을 현재보다 더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문고 전공실기 수업의 교재로 『거문고 산조 세바탕』,『거문고 독주곡집 수리재』,『정악 거문고보』, 교수가 선택한 작품이나 교재,『현금정악』을 선택하였고 거문고 전공실기 수업시간 가장 중점을 두는 지도 방법의 종류로는 음색 만들기, 운지법, 테크닉, 연주 자세, 다이나믹 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교육목표로 ‘국악 전공자의 활동영역 확대’라고 38%의 거문고 전문인들이 응답하였다. 셋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거문고 연주가의 전문적인 연주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보았으며, 49%의 거문고 전문인들이 자신의 연주력에 대해 때에 따라 한계가 있거나 대체로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자신 없는 분야에 대한 이유로는 자신의 능력 부족 때문이라고 35%가 응답하였다. 그리고 대학에서의 충분한 바탕 마련과 연주 경험, 연주가 자신의 노력을 통해 연주가의 자질 향상이 이루어지며 거문고 전문 연주가 자질의 증진을 위해 중요한 과목이 전공실기라고 답했다. 또한 거문고 연주가들의 선택의 폭 내지는 연주 능력 증대를 위해 전공실기 교육의 시수 확대와 더불어 세분화된 전공실기를 통해 전통과 창작의 각 음악분야에 맞는 차별적·체계적·효과적인 연주 교육, 거문고의 정신과 거문고 음악의 중요성 및 이론적 지식 교육, 전문화 · 세계화 된 실기 및 이론의 교육과정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악곡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보다 심화된 실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공실기 이수시간 및 지도시간의 배정을 늘릴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21세기 글로벌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음악적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실기와 이론적 분야가 통합된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 및 교수법 개발, 거문고에 대한 효율적 지식을 전달하는 학습과정의 거문고 전문 교육자 과정으로서 거문고 교수법 개발, 교육 시스템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ctual state of a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and to find out both organized and efficient ways to grow Geomungo perform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convenience sampling was adopted and a total of five colleges out of 24 music schools of Geomungo department were selected to be a research object. The Geomungo curriculums of those five colleges were compared and anlayzed while a survey to learn activities of 100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concert parties, school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five different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s, it was found out that those curriculums are supposed to be divided into three fields as the classical music, the solo and the creative music. In addition, for a graduation concert, those Geomungo majors at the five colleges would pick three pieces (one from the classical music, one from the solo and one from the creative music) and master the pieces until the graduation. Each college, however, appeared to have a different educational weight (educational contents) on those three music fields in the curriculum. Add to that,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demands from the 21st global age, all the colleges in the study grea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music in the current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For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a total of three main topics as the curriculum satisfaction, performance curriculum contents and practical subjects contents of Geomungo an lastly, expertise and real conditions of Geomungo performers were discussed. 100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satisfaction, 55% of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nswered 'average' while they responded that this performance curriculum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all the other Geomungo relevant subjects for it would have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the instrument as much personally as possible. Secon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sessions for the performance and teaching should be increased even more than now in order to rai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s the most popular Geomungo performance textbooks,『Three Geomungo Solo Backgrounds』,『Surijae, Geomungo Solo Collection』and『Classical Geomungo Music』were picked while the students would also refer to other pieces or textbooks recommended by a professor including『Classical String Music』. Regarding topics that would be emphasized the most in the performance class, the performers came up with the five ones as the tone-creating, the fingering, techniques, playing postures and dynamic. 38% of the professional performers added that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should have a new educational objective, which is to 'expand activity area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Third,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nswered that the competent performing technique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for a Geomungo performer. 49% of tho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the study believed that Geomungo performers should work harder than now to improve their techniques. For a question for why they would have a relatively little confidence in a certain field, 3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their lack of ability. In addition, the respondents also said that a performer's qualification is built up based on a solid support from a college, the performer's performing experience and the performer's own hard work as well. Tho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believed that a Geomungo performer should do one's best with the performance class if one wants to be good at playing the Geomungo. In order to develop a choice and performing ability of Geomungo performers, the respondents said that first, the sessions of the performance class should be increased and second, the students should get an individual, systematic and efficient performing education via any subspecialized performance classes. Not only that,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the study emphasized that those Geomungo majors should understand the spirit of Geomungo, the importance of Geomungo music and Geomungo theoretical knowledge while they are given a chance to take a Geomungo performance and theory curriculum that would be specialized and globali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bove, the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the students should receive a more profound performance education with more time given for each piece but also that the music schools should increase performance class and the teaching class sessions. In addition, in order to keep up with flows of the 21st global age, any following studies in the future should focus on how to expand Geomungo performers' musical experience as those studies discuss developments of Geomungo teaching methods and Geomungo education systems. That way, a new special performance curriculum made of various performances and theories would be built with new textbooks and new teaching methods proper for a new Geomungo special course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udies in the future, efficient ways to deliver Geomungo knowledge to the students will be also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대학교 교육과정 및 전공교육 5 B. 전국 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현황 8 C. 음악대학 국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 10 D. 거문고 및 거문고 교육 13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A. 연구 대상 16 B. 연구 방법 16 C. 연구의 제한점 20 Ⅳ.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분석 21 A. 대학별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비교 21 B. 대학별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종합 및 분석 31 Ⅴ.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실태조사 분석 34 A.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34 B. 거문고 전공실기 및 실습 교과 내용 37 C. 거문고 연주가들의 전문성 및 실태 43 Ⅵ. 결론 및 제언 51 A. 결론 51 B. 제언 54 참고문헌 55 부록 - 설문지 60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8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실태조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n Actual State of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dc.creator.othernameYoun, Mi Seon-
dc.format.pagev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